[include(틀:베네수엘라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민주행동당(베네수엘라) 로고.png|width=200]] || ||<-2> {{{#fff '''Acción Democrática'''}}} || || {{{#fff '''한글명칭'''}}} ||민주행동당||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000 흰색}}}}}}|| || {{{#fff '''창당일'''}}} ||[[1941년]] [[9월 13일]] ([age(1941-09-13)]주년)|| || {{{#fff '''이념'''}}} ||[[사회민주주의]][br][[좌익 내셔널리즘]] ||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 || || {{{#fff '''주소'''}}} ||Calle Los Cedros, Edificio[br]Romulo Betancourt, La Florida, [[카라카스]] || || {{{#fff '''대표'''}}} ||루벤 안토니오|| || {{{#fff '''국제 조직'''}}} ||[include(틀:사회주의 인터내셔널)] || || {{{#fff '''청년 조직'''}}} ||청년 민주행동 || || {{{#fff '''정당 연합'''}}} ||민주 동맹 || || {{{#fff '''국민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08080 calc(11*100%/277), #fff 0%)" {{{#000 '''11석 / 277석'''}}}}}} || || {{{#fff '''웹사이트'''}}} ||[[http://acciondemocratica.org.v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m.facebook.com/ADemocratica-110962687344838/|[[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ADemocratica_VE, 크기=25)] [[http://instagram.com/ADemocratic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A8T04IVu7PFcQl4-ZZQwdQ/video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베네수엘라]]의 [[사회주의]] 정당으로 사회기독당(코페이)와 양당제를 이루며 번갈아 집권했던 정당이다. == 상세 == 전신은 [[1931년]] 로물로 베탕쿠르가 [[콜롬비아]]에서 창당한 좌파혁명연합(Agrupación Revolucionaria de Izquierda)이다. 당시 후안 비센테 고메스의 독재를 타도하기 위해서 투쟁하였고, 베네수엘라로 돌아와서 국민민주당이라는 당명을 쓰다가 현재 당명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1945년 10월 혁명으로 민주화 정치 개혁에 나섰다. [[1947년]] 대선에 승리하여 집권하지만, 다시 쿠데타가 일어나 불법 정당이 되었다. 그러다가 1958년에 다시 민주공화당, [[사회기독당(베네수엘라)|사회기독당]]과 함께 푼토 피호 협정을 맺음에 따라 민주화를 달성한다. 이 때부터 중도좌파 성향에서 중도 정당으로 변화한다. 사회기독당과 번갈아가며 집권하면서 정치적 안정을 이뤘지만, 경제적으로는 불안요소가 매우 컸다. 그러다 [[1980년대]] 저유가와 더불어 외채난과 물가상승으로 인한 불경기에 시달리며 빈곤율이 늘어나는 상황속에서 베네수엘라의 번영을 약속한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가 집권하고 [[신자유주의]] 정책을 도입하게 되었고 이는 카라카조라는 대규모 시위로 이어져 대중들의 지지를 상실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이후 베네수엘라의 빈부격차가 심화되자, [[1992년]] [[우고 차베스]]의 쿠데타로 이어졌다. 페레스는 쿠데타 위기를 간당하게 넘겼지만 결국 1993년 비리 혐의로 탄핵되었다. 그래도 베네수엘라 노총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었기 때문에 제1야당으로 남았으나, 1998년 총대선 당시 사이다스러운 공약을 내건 우고 차베스에게 지지층 상당수를 내주었고 이후 [[2000년대]] 초중반 타 정당과 연합하여 석유파업을 주동하여 우고 차베스를 위기에 빠트렸지만 우고 차베스가 빈민층을 신경쓰는 정책을 강하게 유지하면서 2004년 국민투표에서 42%의 찬성표만을 얻는데 그치며 패배했다. 이후 우고 차베스가 사망하고 [[니콜라스 마두로]] 집권 이후인 [[2014년]]부터 저유가와 정치혼란으로 베네수엘라의 경제가 급속히 악화되면서 기회를 얻는듯싶었지만 경제재제 도입에 대한 호불호로 인해서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는데 실패했고 [[후안 과이도]]의 집권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며 분열상태가 되었다. [[분류:베네수엘라의 정당]][[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1941년 정당]][[분류: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