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인도네시아 의회의 원내 구성)] ||<-2> [[파일:민주항쟁당 로고.png|width=200]] || ||<-2> {{{#fff '''Partai Demokrasi Indonesia Perjuangan (PDI-P, PDI Perjuangan)'''}}} || ||<-2> '''Kerja Kita, Kerja Indonesia[br]우리의 일, 인도네시아의 일''' || || {{{#fff '''영문 명칭'''}}} ||Indonesian Democratic Party of Struggle|| || {{{#fff '''한글 명칭'''}}} ||민주항쟁당||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db2016;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빨간색}}}}}} || || {{{#fff '''총의장'''}}}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 {{{#fff '''창당일'''}}} ||[[1999년]] [[2월 15일]]|| || {{{#fff '''당 주소'''}}} ||Jl. Diponegoro No. 58 Menteng[br][[자카르타]] Pusat 10310|| || {{{#fff '''이념'''}}} ||인도네시아 [[내셔널리즘]][* [[좌익 내셔널리즘]], [[경제적 내셔널리즘]] 등등][br][[판차실라]][br][[좌익대중주의]][br][[사회자유주의]][* Robin Jacobitz, ed. (2021). [[https://books.google.com/books?id=QiY7EAAAQBAJ&pg=PT655&dq|Gramsci's Plan: Kant and the Enlightenment 1500 to 1800]]. tredition. "... election was won by Joko Widodo, the candidate of the predominantly secular and socially liberal PDI-P party."][* 부분적으로 [[이슬람 자유주의]] 성향도 있다.][br][[마르하엔주의]][* [[수카르노]]가 내세운 사회주의 사상이라 수카르노주의라는 별칭이 있다.]|| || {{{#fff '''정치적 스펙트럼'''}}} ||[[중도좌파]]|| || {{{#fff '''청년 조직'''}}} ||인도네시아의 젊은 황소|| || {{{#fff '''국제 조직'''}}} ||[Include(틀:진보동맹)]|| || {{{#fff '''하원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2016 calc(128*100%/575), #fff 0%)" {{{#000 '''128석 / 575석'''}}}}}} || || {{{#fff '''웹사이트'''}}} ||[[http://www.pdiperjuangan.id/|[[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PDIPerjuang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DI_Perjuangan, 크기=25)] [[https://www.instagram.com/p/CQdaEoZMQX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uhKk14fe10jGBSXHRp8eF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도네시아]]의 대중주의, 중도좌파 정당으로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당이다. == 상세 == [[수하르토]]가 집권한 신질서 시대인 [[1973년]]에 정당 통폐합으로 인도네시아 민주당이 창당되었다. 민주당에서는 [[1993년]]에 [[수카르노]]의 딸이었던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가 의장으로 선출되었지만, 수하르토 정부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그 뒤로 민주당은 당내에서 메가와티 파벌과 당시 의장이었던 수랴디(Suryadi)의 반메가와티 파벌로 나뉘었다. [[1996년]] [[7월 27일]], 메가와티 반대파들이 지지파들이 결집한 민주당 본부를 공격하여 대규모 폭력 사태가 발생하게 된다. 사태는 정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정작 정부는 [[공산주의자]] 소행이라고 발표했다. 이를 계기로 오히려 메가와티가 정치적으로 크게 성장하게 되었다. 수하르토 정권이 무너지고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로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민중들의 정치적 분노가 커지자 메가와티의 개혁적 성향이 더 주목을 받으면서 [[1999년]]에 민주당 의장이 되었고, 경선에서 부통령 후보로 선출된 후 부통령에 당선된다. [[압두라만 와힛]] 대통령이 임기 도중 탄핵당해 물러나자 메가와티가 대통령직을 승계하게 된다. [[2003년]] 인도네시아 민주당이 해체하면서 메가와티파는 기존에(1999년) 민주당에서 분당해 나온 민주항쟁당으로 더욱 결집했다. 그러나 [[2004년]] 총선, 대선에서 개혁 기대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한 민주항쟁당은 제2당으로 떨어졌고, 대선에서도 후보 메가와티가 패배하게 된다. [[2009년]] 총선에서도 지지율이 더 떨어지기도 했고, 대선 결선에도 진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2014년]] 총선을 거치면서 재기하여 제1당이 되었고 민주항쟁당의 후보 [[조코 위도도]]가 대선에서 당선되면서 오랜만에 정국을 주도하는 여당이 되었다. 경제적 성장을 바탕으로 조코 위도도는 2019년 대선에서 재선되었고, 민주항쟁당은 총선에서도 여당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분류:인도네시아의 정당]][[분류:1999년 정당]][[분류:좌익 내셔널리즘 정당]][[분류:사회주의 정당]][[분류:좌익대중주의 정당]][[분류:사회자유주의 정당]][[분류:진보동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