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8년 설립]][[분류:대한민국의 시민사회단체]] ||<-2> {{{+1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br] Korea Council for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KCRC) || ||<-2> [[파일: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CI.svg|width=100%]] || || 설립일 ||[[1998년]] || || 대표상임의장 ||손명원|| ||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69 || || 형태 ||사회협의체 || ||<-2> [[http://www.kcrc.or.kr|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당]], [[종교]] 그리고 [[시민단체]]로 형성된 [[남북통일]] 협의체. 줄여서 민화협이라고 부른다. == 역사 == [[파일: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CI(1998-2018).svg|width=300]] 창립 당시부터 [[2018년]]까지 사용한 로고 [[국민의 정부]] 시절이였던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민족 화해 및 [[남북통일|통일]] 준비를 위해 협의체로 창설되었다. 통일문제에 대해 국민합의를 이끌어 내고, [[북한]]과의 화해협력과 [[평화]]를 실현해 민족번영을 이루어 나감을 기치로 삼고 있다. [[2021년]] 8월에는 북한에 평화의 쌀을 보내자며 53만톤 조성에 필요한 성금 3000억원 모으기[* 재계·노동계·시민사회계 성금 모금과 코리아 피스 펀드, 해외동포·해외인사의 참여로 충당한다고 밝혔다. 다시 말해 민화협 단체 자체에서 자금을 지원한다는 것은 아니고, 다른 사람들한테서 자금을 받아낸다는 것이다.] 운동에 돌입하였다. 이후 [[주권자전국회의]]와 함께 10여개 단체가 연합하여 '''[[한반도]] 기후 위기를 극복하는 평화의 쌀 나누기 추진 위원회'''를 발족해 대북 쌀 나눔 운동을 시작할 것이라 밝혔다. 목표는 오는 11월까지 북한에 지원하되, 그 중 10만톤은 [[추석]] 전에 전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 사건사고 == 대외협력팀장으로 근무하던 엄모씨가 2019년 1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대북 소금지원 사업에 사용한다는 명목으로 받은 보조금 약 4억 7,000만원을 횡령한 혐의와 약 20만 위안의 보조금을 주중북한대사관에 전달한 혐의로 구속기소되었다.[[https://www.chosun.com/national/court_law/2023/11/10/4PMPRHXJGVD57E2CMEDNLZAJLU/|#]] == 역대 의장 == * 초대 [[한광옥]] * 2대 [[강만길]] * 3대 [[한완상]] * 4대 [[이돈명]] * 5대 [[이수성(정치인)|이수성]] * 6대 [[정세현]] * 7대 [[김덕룡]] * 8대 [[홍사덕]] * 9대 [[김홍걸]](2017~2020) * 10대 [[이종걸]](2020~2023) * 11대 손명원(2023~) == 여담 == * [[남한]]의 민화협과 [[북한]]의 민화협은 미묘하게 다르다. 우선 남측 민화협은 이름부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이고, 정당과 시민단체가 주측을 이룬다. 이에 반해 북측 민화협은 민족화해협의회이며, [[통일전선부]]나 아태위, 그리고 [[조선로동당]] 출신 단체나 인물이 기용된다. * 관련 간부 중에서는 [[통일교육위원]]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으며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을 겸직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