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e5e5e5 ''' 대한민국의 농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성주2021-22.png|width=80%]]}}} || ||<-3> '''{{{+2 {{{#000000 민성주}}}}}}[br]{{{#000000 閔成周 | Sung-Joo Min}}}''' || ||<-2> {{{#000000 ''' 출생 ''' }}} ||[[1987년]] [[7월 19일]] ([age(1987-07-19)]세) || ||<-2> {{{#000000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000000 '''신체''' }}} ||[[키(신체)|키]] 201cm|[[체중]] 105kg || ||<-2> {{{#000000 '''포지션''' }}} ||[[센터(농구)|센터]] || ||<-2> {{{#000000 '''학력''' }}} ||반원초등학교 {{{-2 (졸업)}}} [br] 단국대학교부속중학교 {{{-2 (졸업)}}} [br] [[휘문고등학교]] {{{-2 (졸업)}}} [br] [[연세대학교]] {{{-2 (졸업)}}} || ||<-2> {{{#000000 '''프로 입단''' }}} ||[[2010 KBL 국내신인선수 드래프트|2010년 드래프트]] {{{-2 (1라운드 7순위,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 ||<-2> {{{#000000 '''병역''' }}} ||[[상무 농구단|신협 상무]] (2014~2016.01) || ||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서울 삼성 썬더스]] (2010~2011.11) [br]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고양 오리온스]] (2011.11~2012) [br] [[부산 kt 소닉붐]] (2012~2017) [br]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17~2019) [br] {{{-1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19~20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농구선수였다. == 아마추어 시절 == 휘문고 시절 [[오세근]], [[유성호]], [[김동량]]과 함께 고교 센터 빅4로 이름을 날렸고, 당시 고교 최고의 센터였던 [[오세근]]과도 겨룰 정도였다. 그러나 대학 입학 후 기량이 급격히 하락하며 성장세가 더뎠지만 4학년 시절인 2009년부터 기량을 회복하여 장신 기대주로 다시 주목을 받았고, 2010년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7순위로 [[서울 삼성 썬더스]]에 지명되었다. == 선수 시절 == 1라운더로 입단했으나 당시 삼성에는 확실한 센터 자원인 [[이승준(농구선수)|이승준]]이 있었으며 백업 역시 [[차재영]]이 자리를 확실히 잡고 있던 상황이였다. 결국 삼성에서 두 시즌 동안 겨우 23경기 출장에 그쳤고, 11-12 시즌 중 [[박재현]]을 상대로 트레이드 되며 오리온스로 이적하게 되었다. 당시 오리온스는 높이가 부족했기 때문에 민성주를 영입했고 나름 백업센터로 쏠쏠한 활약을 보였다. 그러나 그렇게 눈에 띄는 활약을 아니였고 시즌이 끝난 후 kt로 트레이드되었다. kt에서의 이적 첫 해 출전 시간이 늘어나며 커리어하이를 찍었고, 13-14시즌에는 무려 43경기에 출장하면서 평균2.3득점 2.02리바운드로 좋은 활약을 보인 뒤 2014년 상무로 군입대했다. 2년간에 군 복무 이후 2016년 초 팀에 복귀했으나 5경기밖에 출장하지 못했고, 설상가상으로 16-17시즌 초 무릎부상을 당하며 단 3경기 밖에 뛰지 못했다. 시즌 후 FA 자격을 얻게 되었고, 마침 [[이승현(농구선수)|이승현]]의 입대로 장신라인이 부족했던 오리온과 3년 9,500만원에 계약을 맺으며 5년만에 오리온으로 복귀하게 되었다. 오리온에서 [[송창무]]와 번갈아가면서 출장하며 백업 센터로써 좋은 활약을 보였으나 18-19 시즌 후반 이승현이 군제대를 하며 입지가 매우 줄어들었고, 시즌 후 웨이버 공시가 되었다. 이후 높이 보강이 필요했던 전자랜드에서 영입하며 전자랜드로 이적하게 되었다. 전자랜드에서의 첫 시즌 2013-2014 시즌 이후 가장 많은 경기인 31경기에 출장하면서 평균1.61득점1.9리바운드로 전자랜드의 취약점을 보강해주었고, 시즌 후 FA에서 2년 8천만원에 재계약하였다. 2021-2022 시즌이 끝나고 FA 신분이 된 뒤 계약 미체결자로 남았지만 사실상 프로선수에서 은퇴했다. 그 후 3x3 농구선수로 태양모터스에서 활약하다가 함께했던 [[장동영]] 원장의 권유로 2023년 2월에 개원한 일산 국가대표 LINE 농구교실의 원장을 맡고 있다. == 여담 == * 등번호는 15번[* 서울 삼성 시절, 고양 오리온스 1기 시절]과 1번[* 부산 KT 시절, 고양 오리온 2기 시절, 현재]이다. * 덩크슛을 상당히 잘한다. 2019-2020 시즌 올스타전 덩크슛 컨테스트에서 멋진 덩크를 여러 차례 선보였으나, 아쉽게 결선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 2018년부터 머리를 묶고 경기에 출전하고 있었으나 2020-21시즌부터 다시 머리를 자르고 출전하고 있다. == 역대 프로필 사진 == || '''{{{#fff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fff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성주2020-2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성주2021-22.png|width=100%]]}}} || || '''{{{#fff 2020-21 시즌}}}''' || '''{{{#fff 2021-22 시즌}}}''' || == 관련 문서 == * [[농구 관련 인물(한국)]]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분류:1987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2022년 은퇴]][[분류:센터(농구)]][[분류:서울 삼성 썬더스/은퇴, 이적]][[분류: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은퇴, 이적]][[분류:수원 kt 소닉붐/은퇴, 이적]][[분류: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은퇴, 이적]][[분류:상무 농구단/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