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자동차 브랜드)] ||<-2>
{{{#white {{{+1 '''Mitsuoka Motors'''}}}}}}[br]{{{#white 光岡自動車 / 미츠오카}}}[* 2004년에 한국에 진출했을 때의 공식 표기는 "미츠오카"였으며, 2013년 재진출했을 때는 "미'''쯔'''오카"로 표기가 바뀌었다. 재재진출 후에는 "미츠오카" 표기를 사용한다.]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logonoid.com/mitsuoka-logo.png|width=80%]]}}} || || '''설립연도''' ||[[1968년]] || || '''설립자''' ||미츠오카 스스무 || || '''본사 소재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 || || '''업종''' ||자동차 제조업 || || '''홈페이지''' ||[[http://www.mitsuoka-moto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1968년 2월에 설립된 [[일본]]의 소규모 [[수제]]작 [[자동차]] 회사. 본사와 공장은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다. [[토요타]]. [[닛산자동차]] 등 다른 회사의 차종을 베이스로 독특한 [[클래식]]풍 디자인으로 스킨체인지한 차량들을 생산하는 회사로 코치빌더(Coachbuilder)에 해당한다. 디자인은 대체로 1950년대 [[벤틀리]]나 [[재규어]]의 선두부를 흉내낸 형태인데, 정작 측면이 현대 일본차 그대로이다 보니 서로 맞지 않는 기괴함과 어설픔을 자랑한다. 썩어도 수제 차량이라고 차급에 비해 가격이 상당히 비싸며[* 가령, 최신 모델인 버디의 가격이 소비세 포함 486만엔 정도부터 시작하는데, 원본인 [[토요타 라브4|라브4]]는 277만엔 정도부터 시작한다. 참고로 480만엔에다가 30만엔 정도만 보태면 라브4보다 체급이 세 단계는 더 위인 플래그십 SUV [[토요타 랜드 크루저|랜드 크루저]]의 최하위 트림 깡통 모델을 살 수 있다. 비유하자면 [[현대 코나]]를 기반으로 해서 외장을 그럴싸하게 뜯어고친 차량을 [[현대 펠리세이드|펠리세이드]]에 맞먹는 가격으로 팔고 있는 것이라고 보면 이해가 쉽다.] 외관도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기 때문에 일본 현지에서도 미츠오카 차량은 일종의 [[웃음벨]] 취급을 받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2018년 출시한 락스타를 기점으로 미국적인(일본에서 흔히 'アメ車'(아메샤)로 지칭) 취향이 가미되어, 2020년 나온 첫 SUV 버디는 2세대 [[쉐보레 K5 블레이저]] 차종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 설립 초기에는 [[중고차]] 판매 업체였다. 창업자인 미츠오카 스스무는 원래 닛산 영업사원 출신으로, [[히노자동차]]를 거쳐 1968년 정비소를 차렸다. 이후 BUBU(부부)라는 브랜드명으로 중고차 매매에 진출했다가 1982년에 첫 모델인 배기량 50cc의 [[마이크로카]] '셔틀'을 생산하였으며, 1994년에 생산한 [[케이터햄 세븐|로터스 세븐]]의 [[레플리카]]인 '제로 원'이 처음으로 형식 승인을 받음으로써 1996년이 되어서야 [[일본]]의 10번째 자동차 회사로 등록되었다. 현재도 [[제너럴 모터스]] 브랜드인 [[캐딜락]]과 [[쉐보레]]를 중심으로 한 수입차 딜러 및 중고차 사업을 병행하고 있으며 사실 매출로 보면 이쪽이 본업이다. 자체 모델 매출은 단 7.5%에 불과하며, 판매점 또한 캐딜락 딜러에 더부살이하는 형태가 많다. 도야마시의 본사는 아예 자사 모델이 아닌 [[지프]] 매장에 있다. 연간 판매량은 400대 정도이다가 2021년 버디 출시로 1천대 고지를 재탈환했다. 다만 생산능력은 500~600대 정도로, 버디는 주문 대기가 2년에 이른다. [[대한민국]]에는 2004년에 처음 들어와 라세드와 가류 III를 판매하다가 철수한 후 2013년에 재진출했으며,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에 쇼룸이 있었다. 그러고서 또 다시 철수하고 이번에는 럭셔리가 아닌 보급형 라인업으로 바꿔서 재진출했다.[[https://blog.naver.com/sciencenicky/221375662995|#]] [[https://blog.naver.com/mitsuokakorea|#]] 그러나 여러 가지 문제로 인증에 난항을 겪고 있어 현재까지 출고된 레인보우는 단 한 대라는 듯. == 생산 차량 == [include(틀:미츠오카의 차량)] 최상단의 사진이 현행 모델이며, 그 아래의 사진들은 구모델들이다. 한국에서 판매했던 차는 3종인데 [[미츠오카 오로치|오로치]], [[미츠오카 가류|가류]], 히미코이다. 그마저도 비싸게 팔아서 거의 팔리지 않는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8년에 재진출하면서 [[스즈키 허슬러|레인보우]]와 뷰트 같은 소형차 라인업으로 바뀌었다. === 판매 중 ===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yugi_ph05.jpg|width=700]] * '''[[미츠오카 류기|류기]](Ryugi/リューギ/流儀) (2014~)''' [[토요타 코롤라]] E160 베이스의 준중형 세단, 가류 2-04/클래식 및 누에라 6-02의 후속모델. [[파일:2023 미츠오카 뷰트.jpg|width=700]] * '''[[미츠오카 뷰트|뷰트]](Viewt/ビュート/美遊人)''': [[닛산 마치]]를 개조한 [[소형차]]. [[재규어(자동차)|재규어]] MK2와 비슷한 디자인이다. [[2023년]] 이후에는 마치가 단종됨으로 인해 [[토요타 야리스]] 기반 차량으로 대체되었다. * 1세대 (1993~2003) 닛산 마치 K11 베이스 (2도어/4도어 세단, 3도어/5도어 [[해치백]], 컨버터블/[[로드스터]]) * 2세대 (2005~2010) 닛산 마치 K12 베이스 (4도어 세단) * 큐트(Cute/キュート/喜遊人) (2009~2013): 5도어 해치백 모델. * 뷰트 트럭(Viewt Truck/ビュート トラック) (2009): 소수 제작된 3도어 해치백 기반의 [[픽업트럭]]. * 3세대 (2012~2023) 닛산 마치 K13 베이스 (4도어 세단) * 뷰트 나데시코(Viewt Nadeshiko/ビュートなでしこ/美遊人[[나데시코|なでしこ]]) (2015~): 5도어 해치백 모델. * '''4세대 (2023~) 토요타 야리스 XP210 베이스 (5도어 해치백)'''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himiko_ph05.jpg|width=700]] * '''[[미츠오카 히미코|히미코]](Himiko/ヒミコ/[[히미코|卑弥呼]]) (2008~)''': [[마쓰다]] [[마쓰다 MX-5|MX-5]] 기반의 로드스터.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liket3_ph05.jpg|width=700]] * '''라이크-T3 (Like-T3/ライク-T3/雷駆-T3) (2012~)''': 적재량 0.1톤의 2인승 [[삼륜차|삼륜]] [[전기자동차|전동]] 트럭. [[파일:미츠오카 버디.jpg|width=700]] * [[미츠오카 버디|버디]](Buddy/バーディー) (2020~) [[토요타 라브4]] 베이스의 미츠오카 최초의 SUV모델. 2020년 11월 26일 사전계약을 시작하고 21년 6월 24일에 정식 출시되었다. === 단종 ===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nouera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nouera_ph03.jpg]] * [[미츠오카 누에라|누에라]](Nouera/ヌエラ): 중형/준중형 세단, [[왜건]]. 차명은 뉴 에라(New Era)의 변형. * 1세대 (2004~2008) [[혼다 어코드]] CL7/CM2 베이스. 왜건형은 소수 제작되었다. * 누에라 6-02 (2세대) (2008~2012) 토요타 코롤라 E140/E140G 베이스. 가류 2-04/클래식과 베이스가 같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leseyde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leseyde_ph03.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leseyde_ph04.jpg]] * [[미츠오카 라세드|라세드]](Le-Seyde/ラセード) [[닛산 실비아]] S13모델을 베이스로 만들어졌다. 차명은 '라이프 세컨드 드림'의 약자. 짐머 골든 스피릿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 1세대 (1990~1993) * 도라 (Dore[DORA]/ドゥーラ) (1991~1993): 3세대 [[포드 머스탱]] 컨버터블을 베이스로 만들어졌으며, V8 5,000cc 엔진을 장착했다. * 2세대 (2000~2001) 닛산 실비아 S15 베이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like_ph02.jpg]] * [[미츠오카 라이크|라이크]](Like/ライク/雷駆) (2010~2012): [[미쓰비시 i-MiEV]] 베이스의 5도어 해치백형 전기차. 라이크-T3와는 전기차라는 공통점을 제외하면 연관성은 없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ay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ay_ph03.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ay_ph04.jpg]] * [[미츠오카 레이|레이]](Ray/レイ/麗): [[경차]]. [[기아 레이]]와는 차급과 영어명의 철자까지 같지만 아무런 관련도 없다. * 1세대 (1996~1999) [[마쓰다 캐롤]] 3세대 베이스 * 2세대 (1999~2002) [[스즈키 알토]] 5세대(마쓰다 캐롤 4세대) 베이스 * 3세대 (2002~2004) 다이하츠 미라 지노 1세대 베이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yoga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ryoga_ph03.jpg]] * [[미츠오카 료가|료가]](Ryoga/リョーガ/凌駕): 준중형 세단, 왜건. * 1세대 (1998~2001) [[닛산 프리메라]] P11 베이스 (4도어 세단, 5도어 왜건) * 2세대 (2001~2004) [[닛산 서니]] B15 베이스 (4도어 세단)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orochi_ph02.jpg]] * [[미츠오카 오로치|오로치]](Orochi/オロチ/[[오로치|大蛇]]) (2006~2014): 미쓰오카의 내연기관 차량으로서는 유일한 오리지널 모델로 이름처럼 뱀을 모티브로 한 강렬한 --괴상한-- 디자인이 특징인 [[MR(자동차)|미드쉽]] 쿠페/컨버터블. 생긴 것만 보면 고성능 [[스포츠카]]로 보이지만, [[렉서스 RX|RX330]]에 사용된 233마력 V6 3.3L 엔진과 5단 [[자동변속기]] 조합의 평범한 성능이다. 국내 가격은 '''2억 원대.'''(...)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yuga_ph02.jpg]] * [[미츠오카 유가|유가]](Yuga/ユーガ/優雅) (2000~2001): [[닛산 큐브]] Z10 베이스의 5도어 해치백으로, 런던 택시와 비슷한 외관으로 디자인되었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zero1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typef_ph01.jpg]] * 제로 원(Zero-1/ゼロワン)1600 (1994~2000): [[로터스 세븐]]의 레플리카. 구동계는 [[마쓰다 MX-5]]의 것을 사용했다. * 클래식 타입 F (1996~2000): 제로원의 디자인을 바꾼 파생형 모델.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356_ph02.jpg]] * BUBU 356 스피드스터 (1989~1990): [[폭스바겐]] [[섀시]]를 기반으로 한 [[포르쉐]] 356 스피드스터 레플리카.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ssk_ph02.jpg]] * BUBU 클래식 SSK (1987~1989): [[메르세데스-벤츠]] SSK 레플리카. --[[팬더 칼리스타]]가 아니다.-- [[파일:미츠오카 록스타.jpg]] * [[미츠오카 록스타|록스타]](Rockstar/ロックスター) (2018) : 마쓰다 MX-5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쉐보레 콜벳]] 2세대 레플리카. 미츠오카의 50주년 기념으로 200대 한정 판매했다. --[[기아 록스타|이 록스타]]와 헷갈리면 곤란하다.-- || [[파일:1996 가류.png|width=100%]]||[[파일:미츠오카 가류 1세대 후면.png|width=100%]]|| |||| 1996년형 미츠오카 가류 1. || * [[미츠오카 가류|가류]](Galue/ガリュー/[[아류|我流]]): 한때 미츠오카의 대표 라인업이었다. [[롤스로이스]] 실버 클라우드와 비슷한 디자인이다. 국내 가격은 '''1억 원대'''(...).[* 일본에서는 400만 엔, 즉 4,000만 원대이다.] * 메인 모델 ([[중형차|중형]]/[[대형차|대형]] [[세단]]) * 가류 I (1996~2001) [[닛산 크루]] 베이스 * 가류 II (1999~2004) [[닛산 세드릭]] Y34 베이스 * 가류 III (2005~2010) [[닛산 푸가]] Y50 베이스 * 가류(4세대) (2010~2014) [[닛산 티아나]] J32 베이스 * 가류(5세대) (2015~2020) 닛산 티아나 L33 베이스 * 파생 모델 ([[준중형차|준중형]] 세단, [[컨버터블]]) * 가류 2-04 (2008~2012) [[토요타 코롤라]] E140 베이스 * 가류 S50 리무진 (2008~2012) [[인피니티 M]] 베이스 * 가류 클래식 (2010~2012) [[토요타 코롤라]] E140 베이스 * 가류 컨버터블 (2007~2012) 5세대 [[포드 머스탱]] 컨버터블 베이스 ==== 마이크로카 ==== [[파일:external/1.bp.blogspot.com/bubushuttle.jpg]] * BUBU 셔틀-50 (1982)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2.jpg]] [youtube(xBlgq8OBgo4)] * BUBU501 (1982)[* 대한민국에 이차량이 매물로 올라온적이 있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3.jpg]] * BUBU502 (1983)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4.jpg]] * BUBU503 (1984) [[파일:external/cs315724.vk.me/WVDdA5tzc9Q.jpg]] * BUBU504 (1985)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6.jpg]] * BUBU505-C (1985)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7.jpg]] * BUBU 보이 (1985)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50series_ph08.jpg]] * BUBU 라임 (1985)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2.jpg]]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4.jpg]] * K-1/MC-1/MC-1T/MC-1EV (1998~2007): 1인승 마이크로카로 조립식 키트카가 K-1, 완제품이 MC-1으로 판매되었다. MC-1T는 적재량을 늘린 파생형이고, MC-1EV(하늘색 모델)는 전기차 버전이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3.jpg]] * K-2 (1998~1999): [[메서슈미트]] KR200을 닮은 1인승 오픈카.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6.jpg]] * K-3/마이크로 타입 F (2005~2006): 조립식 키트카가 K-3, 완제품이 마이크로 타입 F이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7.jpg]] * K-4//마이크로 타입 R (2006~2007): 조립식 키트카가 K-4, 완제품이 마이크로 타입 R이다. [[파일:external/www.mitsuoka-motor.com/microcar_ph05.jpg]] * 콘보이 88 (2002~2007): 1인승 전동 마이크로 트럭. 차명의 88은 차폭이 88cm라는 의미이다. == 기타 == [[코치빌더]]로서 수제(手づくり生産) 자동차를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섀시는 물론이고 내외장 대부분을 기존 베이스모델에 의존하기 때문에[* 20세기 초반의 자동차 전반이나 현대의 버스, 트럭은 그야말로 바닥에 엔진과 바퀴만 붙은 상태이기 때문에 코치빌더가 자신의 '자동차'를 만든다고 할 수 있지만, 미츠오카의 베이스모델은 글자 그대로 완성차를 납품받아 분해해 쓴다.] 실질적으로는 외장 개조 수준을 넘지 않는다. 때문에 차종 중에는 원 베이스모델의 형식승인을 그대로 쓰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닛산[* 창업자 미츠오카 스스무의 첫 직장이기도 하다.] 베이스 차종은 아예 닛산 본사와의 협정으로 보증이나 리콜을 닛산이 맡고 있다. 그외 차종도 베이스 모델 메이커의 정비 대응을 받는 게 보통이다.[* 여기서 정비되는 부분은 물론 베이스 모델에서 가져온 부분에 한한다. 외장 등 미츠오카가 개조한 부분은 미츠오카의 몫.] 유일하게 [[미츠오카 오로치|오로치]]만은 자체 제작 섀시와 외장을 사용했다. 독특한 외관은 주로 [[유리섬유]]를 사용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다만 버디의 경우 수량이 많고 디자인이 직선적이라 일반적인 사출 플라스틱을 사용한다고. [[https://bunshun.jp/articles/-/50371?page=2|주간문춘 탐방기사]] 국내에서도 미츠오카 생산 차량이 운행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https://brunch.co.kr/@d4516e84b9b2470/300|#]] 로고는 [[https://magazine.cartune.me/articles/3366#anchor1|수레 차(車)의 상형문자]]를 모태로 했다.[* [[금문]]으로 보인다.] [[분류:일본의 자동차 제조사]][[분류:1968년 기업]][[분류:키트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