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2 '''미전선'''}}}[br]美田線 / Mijeon Line}}} || ||<-2> ||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노선번호''' || 30211 || || '''노선명''' || 경부선 미전선 (京釜線 美田線) || || '''종류''' || [[지선철도]], [[대한민국의 일반철도|일반철도]] || || '''영업거리''' || 1.6㎞ || || '''궤간''' || 1,435㎜ || || '''역수''' || 2 || || '''기점''' || [[미전신호소]] || || '''종점''' || [[낙동강역]] || || '''급전방식''' ||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 || '''신호방식''' || [[열차자동정지장치|ATS-S2]] || || '''선로 수''' ||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2|2]] || || '''선로최고속도''' || 120km/h || || '''개업일''' || [[1944년]] [[6월 1일]] || || '''운영노선''' || [[KTX]][br][[ITX-새마을]][br][[무궁화호]][br][[화차(철도)|화물열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부선]] [[미전신호소|미전역]]과 [[경전선]] [[낙동강역]]을 잇는 [[지선철도|삼각선]]. [[경전선]]에서 [[경부선]] 서울 방면으로 갈 수 있게 해 주는 삼각선이다. 1944년에 [[미전신호소|미전역]]과 함께 개업했다. [youtube(rkWiyqoLK0k)] 형식은 지선이지만, 경전선 열차 대부분이 경부선 부산행 하행선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경전선으로 진입하거나 경전선에서 미전선을 경유해 경부선 서울행 상행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본선이나 다름없는 역할을 한다. 경전선에서 경부선 부산행 하행선으로 진입하거나 그 반대로 운행하는 열차는 일부 부전착발 [[무궁화호]] 정도로 많지 않다. 서울이나 대구에서 오는 마산이나 [[진해선]]을 이용하는 열차가 이 삼각선을 이용한다. 경부선 지선 중에서는 이용률이 높은 편. 원래는 단선이었고 미전역에서 평면교차로 경부선으로 진입했다. 그러다 1994년 8월에 경부선과 경전선 열차가 [[https://imnews.imbc.com/replay/1994/nwdesk/article/1935817_30690.html|정면으로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이후 [[KTX]]의 개통을 앞둔 [[2003년]]에 입체교차 선로를 하나 더 놓아 복선화되었다. [[경전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확정된 이후에 건설되었으므로 전차선을 가설할 공간을 미리 마련해 비전철 구간으로 개통하였고, 이 구간은 [[2010년]]에 [[경전선]]에 [[KTX]]가 들어가면서 [[경전선]] 본선과 함께 덩달아 전철화가 되었다. 경전선 경유 [[KTX]]는 [[밀양역]] 정차 후 미전선을 통하여 [[진영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마산역]], [[진주역]]으로 향한다. [[경전선]] 본선은 [[낙동강역]]에서 [[삼랑진역]]으로 진입하는데, 이쪽은 지금도 여전히 평면교차를 한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2008년 5월 13일 기준[*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147호] || {{{#fff ㎞}}} ||<-2> {{{#fff 역명}}} || {{{#fff ARS}}} || {{{#fff 여객}}} || {{{#fff 화물}}} || {{{#fff 등급}}} || {{{#fff 분기선}}} || {{{#fff 소재지}}} || || 0.0|| [[미전신호소|미 전]] || 美 田 || 620 ||─ || ─ || † || [[경부선]] ||<|2> [[경상남도]] [[밀양시]] || || 1.6|| [[낙동강역|낙동강]] || 洛東江 || 477 ||─ || ─ || ◑ ||[[경전선]] || [[분류:경부선의 지선철도]][[분류:1944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