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미인도}}}''' (2008)[br]美人圖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jpg|width=100%]]}}} || || '''감독''' ||[[전윤수]] || || '''각본''' ||한수련 || || '''각색''' ||전윤수 || || '''출연'''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 [[김영호(배우)|김영호]], [[김남길]], [[추자현]] 등 || || '''촬영''' ||박희주, 김태정 || || '''조명''' ||김승규 || || '''음악''' ||황상준 || || '''편집''' ||박곡지 || || '''미술''' ||이하준, 김윤석, 윤일랑 || || '''의상/분장''' ||이유숙, 이운배 || || '''무술감독''' ||최춘범 || || '''제작사''' ||이룸영화사㈜, 영화사참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8년]] [[11월 13일]]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CJ엔터테인먼트]] || || '''상영 시간''' ||108분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2,342,579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fff 청소년 관람불가}}}]]''' || || '''국내 스트리밍''' ||[[https://watcha.com/contents/mDWvrxW|[[파일:왓챠 로고.svg|width=50]]]] [[https://www.netflix.com/title/81196781|[[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50]]]]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V01_KE0000011159|[[파일:wavve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AxZPlhT9b4o)] 감독은 [[전윤수]][* [[쉬리(영화)|쉬리]] 각색을 맡은 바 있으며 [[식객(영화)]]을 연출해 전국 303만 관객을 기록한 바 있다.]. 제작사는 이룸영화사며, 배급은 [[CJ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 == 시놉시스 == >'''250년을 뛰어넘은 센세이션!''' >'''천재화가의 매혹적 비밀!''' >4대째 이어온 화원 가문의 막내딸이자 신묘한 그림솜씨로 오빠 신윤복에게 >남몰래 대신 그림을 그려주던 7살 천재 윤정. 평범하던 그녀의 삶은 >어느날 오빠의 자살로 인해 송두리째 뒤바뀐다. >그림을 위해 여자를 버리고 오빠 신윤복의 삶을 살게 된 것. > >'''욕망과 아름다움의 아슬아슬한 경계'''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마음을 설레이게 할 만큼 빼어난 그림 실력을 >가졌던 윤복은 자유롭고 과감한 사랑을 그려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을 >선보인다. 하지만 그의 '속화'는 음란하고 저급하다는 질타와 시기를 받는다. > >'''<미인도>를 둘러싼 네 남녀의''' >'''은밀하고 치명적인 사랑!''' >그림을 위해 남자로 살았던 윤복 앞에 어느날 강무가 나타나고 >생애 처음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사랑 앞에 여자이고 싶었던 윤복, >윤복을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그녀의 첫사랑 강무, >제자의 재능을 사랑하고 그의 전부를 사랑하게 된 김홍도, >홍도를 향한 사랑으로 질투에 사로잡힌 기녀 설화. >250년간 숨겨진 비밀을 간직한 <미인도>를 둘러싼 그들의 엇갈린 사랑과 >치명적 질투는 예기치 못한 불행을 불러온다.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46334|다음영화]]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4인포스터.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신윤복포스터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신윤복포스터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가로포스터1.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가로포스터2.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인도 가로포스터3.jpg|width=100%]]}}}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xZPlhT9b4o)]}}} || == 등장인물 == *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 [[신윤복]] 역 (아역: 강산) * [[김영호(배우)|김영호]]: [[김홍도]] 역 * [[김남길]]: 강무 역 * [[추자현]]: 설화 역 * 한명구: [[정조(조선)|정조]] 역 * 박지일: 신한평 역 * [[권병길]]: 김거상 역 * [[최규환]]: 최화원 역 * [[여호민]]: 심화원 역 * 황찬우: 허하원 역 * [[김승훈]]: 홍화원 역 * 이라혜: 윤정 역 * 문용철: 장원로 역 * [[전국환]]: 당상관 역 * 박봉서: [[강세황|표암 강세황]] 역 * [[라미란]]: 정경부인(정2품) 역 * 황연희: 숙부인(정4품) 역 * 김요아: 정부인(정3품) 역 * 이상용: 여항문인1 역 * 김태랑: 여항문인2 역 * 오만석: 여항문인3 역 * 선욱현: 관료1 역 * 박용: 관료2 역 * 이성훈: 관료3 역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 critic=, user=)]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I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 user=)]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 presse=, spectateurs=)]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 user=)]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light=)]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 expert=, audience=, user=)]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46334, user=6.2)] [include(틀:평가/CGV, code=, egg=)] [include(틀:평가/롯데시네마, code=, user=)] [include(틀:평가/MRQE, code=, user=)] [include(틀:평가/TMDB, code=, user=)]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 user=)] [include(틀:평가/Google Play 무비, code=, user=)] 화가 [[신윤복]]과 [[김홍도]]를 다룬 픽션 영화인데, '''고증과 스토리 모두를 포기해서라도 신윤복과 김홍도를 [[검열삭제]]시키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TS|신윤복이 여성으로 등장하고]][* 정확히는 자살한 진짜 신윤복 대신 남장한 여동생(가공인물).], [[막장 드라마|그와 김홍도 사이에는 러브라인이 있다.]]''' 비슷한 시기에 거의 같은 소재로 [[바람의 화원]]이 TV 드라마로 발표돼 화제가 되었다. 개봉된 '''영화는 그 자체가 막장 드라마로 신윤복을 [[키잡]]하려는 김홍도'''와 자기 사랑을 지켜 가려는 신윤복의 피맺힌 대결만이 가득하다(...).[* 극중에서 그림에 관련된 내용이 나오는 장면은 다섯 손가락 안에도 안든다.] 의미없는 에로씬이 난무하고 인물들이 얽히게 되는 당위성도 매우 약하다. 더불어 '''[[고인드립|김홍도를 완전히 찌질이에 신윤복을 강간하는 강간마로 묘사했다]]'''(...). '''[[너 고소|김홍도의 본관인 김해 김씨 문중에서 고소를 하지 않은 것이 용하다.]]''' 그래도 TS 신윤복을 맡은 [[김민선]](개명 후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이 젊은 시절이다보니 비록 정사 장면[* 당시 서른을 앞두고 있던 김규리가 평소 운동과 발레 등으로 다져진 20대의 슬림한 몸매를 올누드로 유감없이 과시했다.]은 많이 가렸어도 볼 거리는 있던 편.[*특히 색감이 매우 몽환적이다.] [[김남길]]은 조연으로 나오는데, [[사망전대]] 아니랄까봐 또 죽는다. 여하튼 작품성이 저조한 [[괴작]]이며,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수위 높은 노출이 그 자체로 화제성이 충분해서인지 전국 관객 234만을 기록하면서 그럭저럭 흥행에는 성공했다. 영상도 나쁘지 않았고, [[OST는 좋았다|OST도 좋았다]]. [[https://youtu.be/F4FzxYSlhiM|OST]] [[분류:2008년 영화]][[분류:한국 가상역사 영화]][[분류:조선/창작물]][[분류:청소년관람불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