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테마파크)] || [[파일:external/chulsa.kr/IMG_0927.jpg|width=100%]] || || 어안렌즈로 촬영된 미월드 || [목차] == 개요 == [[2004년]] 4월에 개장한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부산)|민락동]]에 '''있었던''' [[테마파크]]로 미월드라는 이름의 유래는 '''M'''illak '''E'''ntertainment park '''WORLD'''(민락 엔터테인먼트 파크 월드)이다.[* 실제로 자유이용권에 이렇게 쓰여 있었다.] 부산 시가지 내에서 가장 큰 테마파크였다. 좁은 부지 면적 탓에 주변의 [[경주월드]], [[통도환타지아]]에 비해 놀이기구들이 얼마 없고 그마저도 시시하다는 평이 많았지만 접근성이 좋아 딱히 파리 날리는 정도는 아니었다. 그러나 미월드 바로 옆에 [[진로비치]], [[롯데캐슬 자이언트]], [[센텀비치 푸르지오]] 등의 아파트 단지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자, [[롯데캐슬 자이언트 ]] 측에서 [[소음]] 문제로 [[님비현상|영업금지 가처분 소송]]을 걸었고 끝내 미월드가 패소하는 바람에 영업시간 규제에 걸리게 된다. 그보다 더 큰 문제는 반대편에 있던 나대지 또한 아파트 개발 예정지였던데다가 직선거리 기준으로 거리차가 20m에 불과하여 해당 부지에 아파트가 완공되고 입주를 시작하게 되면 민원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을 예상한 미월드 측에서 민원 걱정 없는 곳으로 이설을 고려했지만 적합한 부지를 찾지 못해 결국 2013년 6월 30일부로 문을 닫아버렸다. == 폐장 이후 == 공식적으로 문을 닫은 뒤에도 한동안은 그대로 방치되어 있었는데, 입지가 상당히 좋았는지라 차후 어떻게 개발될지에 많은 관심이 모였다. 다만 근처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분야가 크게 한정될 것으로 보인다. [[http://www.knn.co.kr/33049|폐장 이후 놀이기구는 순차적으로 해외에 매각되었으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82&aid=0000645471|2016년 롤러코스터 철거를 끝으로 미월드는 완전히 철거되었다.]] 미월드가 폐장하면서 [[부산광역시]]의 테마파크는 사실상 전멸하고 말았다. 때문에 부산에서 테마파크를 가려면 근처 [[양산시]]의 [[통도환타지아]]나 [[창원시]]의 [[마산로봇랜드]]나 [[경주시]]의 [[경주월드]] 등 좋든 싫든 부산 밖을 벗어나야 했으며 혹은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이나 [[일본]]으로까지 가야 했다.[* 아닌게 아니라 부산에서 거주하는 사람이 테마파크 가려고 서울까지 갈 바엔 차라리 비행기 타고 [[USJ|오사카의 유니버셜]]로 향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어차피 비행기 타나 KTX 타나 소요시간도 엇비슷하고, 국내여행이나 일본여행이나 경비도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차라리 돈 좀 더 쓰고 말면 되기 때문.] 하지만 2022년 3월 31일, [[오시리아관광단지]]에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이 개장했다. 빈 땅에는 호텔이 건설되는 것으로 계획이 잡혔다. 원래는 영국계 랭햄호텔이 들어설 예정이었다가 독일계 켐핀스키 호텔이 들어서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현재는 2가지의 조감도가 나왔고 기초 공사도 진행되었다. 다만 상술한 대로 인근 주민들의 반발과 부산시 당국의 미온적인 태도로 계속 미뤄지고 있으며, 시행사는 계속 이러면 사업을 포기하겠다고 하는 상황이다. 미월드의 부지가 작은 편은 아니기에 여러 회사 중 철거를 할 수 있는 회사를 입찰하였으나 그 회사가 매우 작은 회사였으며 미월드 부지를 모두 철거하기엔 역부족이었다. 하지만 무리하게 철거에 돌입하였다가 결국 파산하였고, 2019년 현재까지도 완전히 철거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작은 회사는 아니고 [[참여정부]] 시절 김상진 게이트의 주인공인 김상진 씨가 직원 명의로 만든 시행사였고 정치권 특혜시비 및 구속으로 사업부지는 공매처리되었으나, 각종특혜 시비 및 주민민원으로 사업성이 불투명해 채권자였던 교회에서 유입하였다. 2019년 티아이부산프이에프이에서 수의계약을 체결하여 사업부지가 확보되였다. 2019년 11월 6일 호텔 건립 사업의 인가가 취소되었다. 해당 부지를 매입한 티아이부산은 당초 같은 해 12월까지였던 실시계획인가를 2024년까지 늘리고자 했지만 시 당국이 사업 진행 가능성을 낮게 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티아이부산서는 호텔 건립 사업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했지만 전문가들은 이미 한번 취소된 이상 힘들 것이라 보고 있다. 2020년 5월 14일 티아이부산이 부지에 특급호텔 대신 생활형 숙박시설을 짓겠다며 수영구에 경관심의를 신청하여 6월 24일에 조건부 통과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최대 42층에 3개 동이 세워질 예정이다. 이에 주변 아파트 주민들은 조망권과 일조권 침해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 집회를 벌이고 있다. 수영구 역시 적절성 등 일부 사항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다 여겼는지 당초 7월 20일에 열릴 예정이었던 건축심의위원회를 취소하였다. 이후 2021년 11월 건축위원회 심의 신청하였으나 2021년12월29일 건축위원회 심의신청이 반려되었고, 사업시행사인 티아이부산피에프브이는 2022년1월 행정신판 청구하여 2022년 3월 24일 건축위원회 심의신청 반려 처분 취소에 대한 행정신판 승소하였다. 또한 롯데캐슬자이언트 주민들의 반대로 기존계획에서 설계변경하여 2개동으로 축소하였다. 2022년 6월 15일 건축위원회심의 접수 되었으며 8월 심의예정이다. 2022년 7월 기준으로는 [[철거]] 공사중으로 2023년 1월 철거가 완료되었다. == 미월드의 모습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p1nqbffBhk)]}}}|| || '''▲ 미월드의 놀이기구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OS_OpxNaWo)]}}}|| || '''▲ 다이빙코스터 탑승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4_kRbl6IsE)]}}}|| || '''▲ 파워써지 탑승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IGcvQ2wLDo)]}}}|| || '''▲ 급류타기 탑승영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GdriUo9gs)]}}}|| || '''▲ 바이킹 탑승영상''' || == 여담 == [[파일:/image/082/2004/08/05/10270505i1.jpg]] *자이로드롭과 비슷한 제트폴스를 타고 69m[* 68.3m 추정] 높이까지 올라가면 해운대 바다의 전경을 볼 수 있었다. 그 전에 시속 95~98km정도 되는 급상승을 버텨야 했지만. * 한창 주변 아파트들과 소음과의 싸움을 하던 시절, 놀이기구를 탈 때 이용객들이 비명 없이 조용히 탈 수 있도록 [[마스크]]를 나눠주었다. [[스펀지(KBS)|스펀지]]에서 방영된 적도 있어서 당시 화제가 되었다. 다만 이는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성수기만 해당되었다. [youtube(SiIOAHRZ7-Y)] * 놀이기구 타는 프로그램으로 유명했던 MBC [[상상원정대]]가 이곳에서 촬영한 적이 있다. * 근처 경치가 좋고[* 민락동 수변공원 인근은 사진가들의 단골 출사 장소이다.] [[광안리해수욕장]]도 가까이 있다. * SBS [[런닝맨]]이 2012년에 부산 바캉스 특집을 촬영할 때 이곳을 방문하였다. * 근처에 광안비치랜드라고 바이킹이 돋보이는 작은 놀이동산이 있는데, 미월드와는 달리 주변엔 온통 횟집 뿐이라 잘 운영되다가 2019년 수익성 악화와 근처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영업을 종료하고 철거되었다. * 영화 [[마음이]]에서도 잠깐 등장한다. [[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테마파크]][[분류:2004년 설립]][[분류:2013년 해체]][[분류:수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