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애니메이션 런닝맨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미요(런닝맨))] [include(틀:패러블 엔터테인먼트)] ||<-2> '''{{{+5 미요님}}}[br]hi_mey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eyo_profile.jpg|width= 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거주지''' ||[[서울특별시]]|| || '''성별''' ||[[여성]]|| || '''직업''' ||[[트위치/스트리머|트위치 스트리머]][br][[버츄얼 유튜버|버츄얼 스트리머]]|| || '''MBTI''' ||[[ENTP]][* 꽃 MBTI 테스트에서는 변덕쟁이 "흰 수국"이 나왔다.]|| || '''소속'''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롤큐]][* [[https://lolq.co.kr/content/creator|#]]] || || '''생일''' ||[[1월 3일]]|| || '''첫 방송일''' ||[[2019년]] [[7월 21일]] '''([dday(2019-07-21)]일째)''' || || '''별명''' ||김미요, 묘님[* 미요를 빠르게 발음해보자.], 미역님[* --미요 역겨워 아니다.--] || || '''팬덤명''' ||'''아람단'''[* 아기 다람쥐 군단의 줄임말][* [[트수]]들이 아기 다람쥐 같다고 한다. ] || || '''상징 색상'''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90000;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진홍색 {{{-2 (#C90000)}}}}}}}}}[* #C90000과 #DB0000 사이에 고민을 했지만 씨구만이라고 읽힌다는 이유로 #C90000을 택했다.] || || '''플랫폼 현황'''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88xGKK70q-nllqL4j4Ff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미요''' 구독자: 1.59만명[*기준 2022년 3월 1일] 조회수: 650,424회[*기준] {{{#d9d9d9,#555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LsBlPVDXI3sbFkoCk_L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미요토리''' 구독자: 9.14만명[*기준] 조회수: 26,030,519회[*기준] {{{#d9d9d9,#555 ⸻}}} '''[[https://www.twitch.tv/hi_meyo|[[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트위치''' 팔로워: 1.75만명[*기준]}}}|| ||<-2> '''관련 링크''' || ||<|2> '''플랫폼''' ||[[https://www.twitch.tv/hi_meyo|[[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88xGKK70q-nllqL4j4Ff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2 미요}}}^^ [[https://www.youtube.com/channel/UCELsBlPVDXI3sbFkoCk_Lj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2 미요토리}}}^^ [[https://www.youtube.com/channel/UCVgtezauRiRdgy-jznOG1i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2 밤이요 ASMR}}}^^ [[https://www.youtube.com/channel/UC6LCEmfNc04AYZ6Lt8_5SD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2 긴미요}}}^^ || || '''SNS''' ||[[https://www.instagram.com/godmey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커뮤니티''' ||[[https://shelter.id/meyo|[[파일:쉘터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 및 [[버츄얼 스트리머]]. == 특징 == === 목소리 === * 목소리가 매우 좋다. 좋은 목소리를 장점으로 언더 성우로서 활동하며 외주를 받아 녹음일을 하기도 한다. * 본인 채널 외에도 다양한 채널과 영상, 광고 등에서 미요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미요가 성우로 참여한 영상의 댓글들을 보면 미요의 목소리를 칭찬하는 글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우왁굳]]이 주최한 좋은 목소리 컨테스트에 참여하여 [[https://youtu.be/iwNoFTwRrno?t=905|우승을 차지했다.]] * 다만 목이 약한 편이라 장시간 방송 시 목소리가 쉽게 상하기도 한다. === 성격 === * [[INFP]]답게 감수성이 풍부하고 눈물이 많다. 감동적인 요소가 있는 게임을 진행할 때면 100%의 확률로 눈물을 보인다. * 무서운걸 아주 싫어하며 그 때문에 공포 게임을 기피한다. 어쩌다 한 번 공포게임을 할 때면 공포 영화에서 나오는 비명 소리에 버금가는 엄청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https://youtu.be/RD3KMySBtPI?t=319|직접 한 번 들어보자.]] * 칭찬은 좋아하지만 주접에는 견디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인다.[* 채널 포인트로 주접을 구매하면 받아주기는 한다.] * 미요 본인이 성격이 좋은 탓인지 방송 분위기가 매우 좋으며, 채팅창이 굉장히 클린하다. * 망상 장인이다. [[저스트 채팅]]을 할 때면 이세계에 떨어진다거나 하는 등의 망상에 관한 대화를 자주 한다. == 개인 방송 == === 방송 규칙 === > 묘하 ٩(ˊᗜˋ♡)و > 속상하고 싶지 않아요... 예쁜 채팅 부탁드립니다 ♥ > - 반말 금지 > - 어그로 금지 (이모티콘 도배, 무의미한 채팅 등) > - 방송과 관련 없는 갑작스러운 본인 얘기 금지 > - 타스 언급 금지 > - 트수끼리 닉언급, 대화 금지 > - 정치 발언 금지 > - 성적 드립 금지 > - 시청자수 언급 금지 > - 팔로우 취소, 구독 취소 협박 금지 === 구독배지 및 구독티콘 === 컨셉과 아바타가 결정 중에 있기 때문에 차차 개편해나갈 예정이다. === 컨텐츠 === ==== [[저스트 채팅]] ==== 방송의 시작과 끝을 담당하는 컨텐츠로, 본 컨텐츠를 시작하기 전후로 1~2시간 정도 진행한다. 망상 장인 김미요답게 망상의 주제가 끝이 없으며 대화 소재가 정말 다양하다. 미요 본인도 저스트 채팅을 할 때에는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종종 언급할 정도로 [[트수]]들과의 티키타카가 잘 이루어진다. 상술한 좋은 방송 분위기와 깨끗한 채팅창 덕분에 굉장히 편안하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다. ==== 게임 ==== * 종합 게임 스트리머로서 거의 매일 게임을 진행하며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에 과몰입을 잘하는 편이며, 특히 [[미연시]]를 비롯한 스토리 게임을 할 때 엄청난 과몰입을 보여주며 자주 눈물을 보인다. * 미요 본인의 게임 피지컬이 좋은 편이 아닌지라 피지컬이 필요한 게임을 할 때 [[https://youtu.be/GsYRllqIjSo?list=PLCJBBxG2MqUeZdxEnkxGzd1joU4b96d1f&t=10|자주 찡찡대는 모습을 보여준다.]] 게임이 끝나고 나면 본인의 플레이에 답답함을 느꼈을 시청자에게 사과를 하기도 하지만 사실 답답해하는 미요를 보는게 재미 포인트이다. * 공포 게임은 시청자가 미요의 과몰입과 피지컬 이슈를 모두 즐길 수 있는 종합 선물 세트이다. 하지만 공포 게임을 플레이하면 워낙 비명을 많이 질러서 목이 쉽게 상하는지라 자주 플레이하지는 않는다. * 게임을 할 때 종종 트위치의 포인트 도박 기능을 이용하기도 한다. 미요가 미션에 실패할 것이다가 항상 정배이며, 미요의 게임 실력을 의심하는 트수들을 살살 꼬드기며 본인을 믿어보라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 반전은 없다.. * 게임을 플레이하다 피지컬의 벽을 느낄땐 '나는 멋진 사람이야'라고 자기 최면을 건다. 플레이한 게임 목록은 [[#s-8|8번]] 문단 참고. == 방송 역사 == || '''{{{#ffffff 미요의 발자취}}}'''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ffffff 2019년 7월 21일}}} || 첫 방송 || || {{{#ffffff 2020년 1월 4일}}} || 트위치 파트너 달성[* 이 전 날 생일 방송에서 아직 파트너를 못달았다고 투정을 부렸었다.] || || {{{#ffffff 2020년 5월 7일}}} || 트위치 팔로워 5천명 달성 || || {{{#ffffff 2020년 11월 27일}}} || 트위치 팔로워 1만명 달성 || || {{{#ffffff 2020년 12월 2일}}} || 방송 500일 || || {{{#ffffff 2021년 3월 22일}}}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계약 || || {{{#ffffff 2022년 2월 20일}}} || [[버츄얼 스트리머]] 데뷔 || || {{{#ffffff 2020년 4월 15일}}} || '''방송 1000일''' || }}}}}}}}} || === 방송 초창기 === [[트위치]]에서 [[듀라한|듀라한 스트리머]]로서 방송을 진행하였으며 본인의 집에서 방송을 진행하였다.[* 완전 초창기에는 연화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평소에 여러 유튜브 채널들의 녹음 작업과 기타 녹음 외주를 맡으며 언더 성우로서의 일도 겸하고 있기 때문에 스케줄이 일정하지 않아 방송 시작 시간이 일정하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매일의 방송 시작 시간, 휴방 유무 등은 본인의 펜카페인 [[쉘터(웹사이트)|쉘터]]에서 공지해주었다.[* 완전 초창기에는 [[트게더]]를 이용했다.] 불규칙한 방송시간으로 인해 다음날 새벽까지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생방송 편집 영상의 유튜브 업로드 주기도 불규칙하였다. === [[패러블 엔터테인먼트]] === 2021년 3월 22일 부로 [[패러블 엔터테인먼트]]와 계약하여 본인의 집이 아닌 회사의 방음 부스로 출근하여 방송을 진행했다. 회사에서 방송을 진행하기 시작한 이후로 방송 시간도 규칙적으로 바뀌어 방송 요일은 매주 월, 화, 수, 목, 일요일, 방송 시작 시간은 오후 6~7시로 고정되었다. 유튜브 영상 업로드도 활발해졌으며, [[패러블 엔터테인먼트|같은 회사]]의 [[달러왕]]이 썸네일과 일러스트를 담당하였다. === 휴식기 === 약 2년간 방송을 하다 [[번아웃]]이 와서 갑작스럽게 장기 휴방을 선언했다. 방송 휴식을 결정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서는 방송 복귀 시점 뿐만 아니라 방송 복귀 유무마저 불투명했지만, 방송 휴식 6개월 후 [[쉘터(웹사이트)|쉘터]]의 글을 통해 2022년 중으로 꼭 방송에 복귀할 것을 약속했다. [[트위치]] 생방송은 진행하지 않았지만 언더 성우로서의 활동과 외주 녹음, 그리고 미요토리 채널의 영상 업로드는 쉬지 않고 계속 진행하였으며, 팬들과의 소통을 위해 가끔씩 인스타그램을 이용하거나 팬카페인 쉘터에 글을 작성하기도 하였다. ==== 복귀 ==== 8개월 간의 휴식기 끝에 2022년 2월 20일, 복귀 방송을 진행했다. 앞으로 본인의 자취방에서 [[버츄얼 스트리머]]로서 방송을 진행할 것임을 밝혔으며, 8개월 동안 기다려준 팬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표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IaS_8KZ_uQ&list=PLCJBBxG2MqUeZdxEnkxGzd1joU4b96d1f|복귀 방송 요약본]] == 유튜브 == [youtube(GJj0jtFNvVw)] 미요의 유튜브 채널들에 대한 동영상으로 각 채널들에 대해 잘 모르거나, 미요를 처음 본 트수들이 보기를 추천한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C88xGKK70q-nllqL4j4FfQ|미요]] === > '''아이 유튜브 친구들 안녕! 나 킴미요~ 오늘 할 게임은~''' > -게임 플레이 영상을 시작할 때 하는 말 미요의 본 채널이다. 트위치 방송의 게임 플레이 편집 영상, 저스트 채팅 편집 영상 등이 올라오는 채널이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LsBlPVDXI3sbFkoCk_Ljg|미요토리]] === [[머또]] 채널의 편집자와 함께 운영하는 채널이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들의 스토리를 비롯한 다양한 게임의 스토리를 읽어주는 채널로, 게임 스토리 외에도 북 트레일러나 웹 소설 영상 등 다양한 영상이 올라오며 [[노벨피아]]와의 협업을 통해 제작된 영상들도 올라오고 있다. 원래는 묘토리라는 이름이었으나 처음 오신분들께는 '미요'와 '묘'가 구분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관계로 풀네임인 미요토리로 채널명을 변경하였다. 현재 4개의 채널들 중 유일하게 멤버십이 존재하는 채널이며, 가장 규모가 크고 활동이 활발한 채널이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VgtezauRiRdgy-jznOG1iw|밤이요 ASMR]] === 미요 본인이 직접 대본 작성, 녹음, 편집까지 진행하는 오디오 드라마 채널이다. 하지만 2020년 11월 29일 영상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운영하지 않는다. --미요와 밤이요는 다른 사람이다.----타스언급 밴-- === [[https://www.youtube.com/channel/UC6LCEmfNc04AYZ6Lt8_5SDQ|긴미요]] === 트위치 생방송에서 진행한 게임을 무편집 풀영상으로 올리는 채널이다. == 타 스트리머와의 관계 == * [[최고당도복숭아]] 과거 미요가 아내, [[최당복]]이 남편 역할로 둘이 컨셉으로 우결을 진행한 적이 있으며 마인크래프트, Super bunnyman, It Takes Two 등 여러 합방을 진행했다. 사석에서 만나서 놀 정도로 매우 친한 사이이다.[[https://www.instagram.com/p/CVFGRVepgJv/|#]] * [[영래기]] [[영래기]] 채널의 나레이션을 담당했었지만 현재는 맡고 있지 않다. [[영래기]]가 가끔 미요의 방송에 놀러올 때가 있으며, [[영래기]]와 지뢰찾기 내기를 하여 승리한 대가로 주인님 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https://youtu.be/nS6TSVs2Z7A?t=273|#]] 미요가 [[패러블]]에 합류하면서 같은 회사 식구가 되었다. * [[머또|우히힛]] 미요가 [[머또]] 채널에서 다양한 작품의 성우로 활동하고 있으며, 미요토리 채널의 편집자와 [[머또|머또]] 채널의 편집자는 동일 인물이다. [[머또|우히힛]]과 어몽어스 등의 합방을 진행한 적이 있다. 우히힛과 미요가 커버한 [[수지(1994)|수지]], [[백현]]의 Dream 영상이 우히힛 채널에 업로드 되어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eN7QUNW5Dyk|#]] == 여담 == * 트수들에게 인사를 정말 잘 해주는 편이다. * 미요라는 닉네임에 별 뜻은 없다고 한다. --미묘하게 요망한 스트리머-- * [[팬치]]이다. 상술했듯이 [[우왁굳]]이 주최한 좋은 목소리 컨테스트에서 [[https://youtu.be/iwNoFTwRrno?t=905|1위를 달성한 적이 있으며,]] 우왁굳이 주최한 [[FIFA 21]] 게임 리그인 WPL에도 참가했던 적이 있다. 처음에는 의외로 잘하는 드리블, 생각보다 잘 보는 패스 각 등으로 포텐이 보인다며 시청자들을 흥분하게 했지만 결국 포텐은 터지지 못했다. * [[장삐쭈]]의 나레이션 모집에 지원하여 1차는 합격했지만 2차에서 아쉽게 떨어졌다. 많이 아쉬워했지만 [[장삐쭈]]님과 직접 전화를 할 수 있었어서 좋았다고 한다. * [[영래기]] 채널의 [[이터널 리턴]] 리뷰 영상에서 부른 [[https://www.youtube.com/watch?v=nKAgPHrLv8o|노래]]가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귀엽다는 평이 절대 다수이며, 가사 중 '도끼랑 단검' 부분이 [[몬더그린|'토끼랑 당근'으로 들린다는]] 반응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9Ujjlx1-HM|한 시간 편집 영상]]도 있다. * [[https://youtu.be/RD3KMySBtPI?t=319|비명 소리가 매우 크다.]] [[https://youtu.be/XOOyl1nJFmc?t=299|방음 부스를 뚫고]] 옆 방에 있던 [[영래기]]에게 들릴 정도.[* 심지어 [[영래기]]는 이어폰을 끼고 있었다...] 유튜브 영상에도 비명 소리는 20db 줄여서 편집된다.[* -20db이면 클럽의 EDM도 조용해진다.] 본인도 비명 소리가 매우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공포 게임과 같이 비명 소리가 예상되는 게임을 진행할 때는 마이크를 멀리 떨어트려 놓는다거나 [[https://youtu.be/iauhwosgajU?t=475|입에 인형을 물고]] 게임을 하는 등 비명 소리를 줄이기 위해 노력한다. * [[SKT]]에서 주관한 좋은 생각 서포터즈 1기에 뽑혀 라디오 DJ를 한 경험이 있다. * 미요토리 채널 덕분에 [[라이엇 게임즈]]로부터 [[아케인: 리그 오브 레전드|아케인]] 시사회에 초청 받아 다녀왔다.[[https://www.instagram.com/p/CV-Ya70pGlL/|#]] * 대학교 연극영화과를 준비했다가 성우과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후 성우 준비를 했었으며 현재 성우 준비는 하고 있지 않지만 언더 성우로 녹음 외주 일들을 받고있다. * 입이 굉장히 짧은 편이다. 라면은 반 개 정도 먹으며 치킨 한 마리로 3~4끼도 먹는다. 배가 쉽게 부르는것도 있지만 쉽게 질려하는 성격도 한 몫하는 것 같다. * 그에 비해 연어나 마라탕은 정말 좋아하는지 자주 먹는다. 특히 연어를 매우 좋아하여 연어를 먹는 모습은 방송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편이다. * 신기한 꿈을 많이 꾸는 편이며 방송에서 자신이 꿨던 꿈에 대한 얘기들을 많이 한다. * 숫자 [[3]]을 가장 좋아한다. 본인의 생일이 1월 3일이기 때문. * [[반민초파]]이다. * 미요토리 채널을 통해 롤 챔피언들의 스토리를 소개하기 때문에 이 채널로 유입된 시청자들은 착각하기 쉽지만 정작 본인은 롤을 자주하지는 않는다. * 롤은 거의 하지 않지만 [[롤토체스]]는 플레이한 적이 있으며 플래티넘 티어까지 달성했다. * 예전에 팬덤명을 미요의 트수를 줄여서 묘수라고 바꾸면 어떨까 생각을 했다고 한다. 지금 생각해보니 안바꿔서 정말 다행이라고 한다. * 초중고 개근을 단 한번도 놓치지 않았다고 한다. * 근육 빵빵 아저씨와 친구의 싸움을 말린적이 있다고 한다. 본인이 두 손으로 싹싹 빌었다고... == 플레이한 게임 목록 == * [[Inscryption]] * [[Behind the Frame: 가장 아름다운 경치]] * [[러브 딜리버리]] * [[There is no game]] * [[Poppy Playtime]] * [[Vampire Survivors]] * [[바이오하자드 RE:2]] *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 [[Skul: The Hero Slayer]] * [[60 Seconds!]] * [[A Dance of Fire and Ice]] * [[Agrou]] * [[Among Us]] * [[A Way Out]] * [[Baldi's Basics in Education and Learning]] * [[Brain Meltdown - Into Despair]] * Brain out * Bear party adventure * [[Cat in the Box]] * [[Chasing Light]] * [[Coffee Talk]] * [[DEEMO -Reborn-]] * [[Dying Light]] * [[Emily Wants To Play]] * [[Fall Guys]] * [[Finding Paradise]] * [[Five Nights at Freddy's]] * Floerence Foster Jenkins * [[From The Darkness]] * Goregoa * [[GRIS]] * [[Hades(게임)|Hades]] * Hidden Through Time * [[In Silence]] * IRIS FALL * [[It Takes Two]] * Jenny LeClue * [[Journey(게임)|Journey]] * [[Kill It With Fire]] * [[Last Day of June]] * [[Layers of Fear]] * [[Layers of Fear 2]] * Love Choice * [[Night in the Woods]] * [[No Umbrellas Allowed]] * [[One Shot]] * [[Ori and the Blind Forest]] * PHOTOGRARHS *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Raft]] * [[Return of the Obra Dinn]] * [[Rhythm Doctor]] * Rounds * [[Saiko no Sutoka]] * Samorost * [[Say No! More]] * [[Sayonara Wild Hearts]] * [[Shadow Corridor]] * [[Super Bunny man]] * [[SUPERHOT]] * [[Superliminal]] * [[Surviv.io]] * Tangle tower * [[Teamfight Manager]] * [[The Henry Stickmin Collection]] * The Normal Thing * [[The Stanley Parable]] * [[The Wolf Among Us]] * [[This War of Mine]] * TOHU * [[Totally Accurate Battle Simulator]] * [[To the Moon]] * [[Turmoil]] * [[Valheim]] * [[What Remains of Edith Finch]] * When the past was around * [[감옥탈출]] * [[고군분투]] * [[고양이 마리오]] * [[고향만두]] * [[괴혼]] * 관문고[* 데모버전] * [[기적의 분식집]] * 길고양이 이야기 * [[끄투]] * [[노베나 디아볼로스]] * [[노트북 부수기]] * [[다크 소울]] * [[더 워킹 데드 시즌 1(게임)|워킹 데드]] * [[단간론파 -희망의 학원과 절망의 고교생-]]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 [[더 룸(게임)|더 룸]] *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 * [[던전로드]] * 도박묵시록 다구리 * [[두근두근 문예부!]]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 라쿠나 * [[레전드 오브 룬테라]] * [[레플리카(게임)|레플리카]] * [[리틀 나이트메어]][* DLC 미진행] * [[리틀 나이트메어 II]] * [[리그 오브 레전드]] * [[리그 오브 레전드/전략적 팀 전투]] * [[마인크래프트]] * [[마피아42]] * [[명일방주]] * [[모여봐요 동물의 숲]] * [[모태솔로(게임)|모태솔로]] * [[모험가 이야기]] * [[몬스터 헌터: 월드]] * [[미래세계의 맹인]] * [[미래의 여친님이 나에게 인사를 건네왔다]]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반교 -Detention-]][* 공포장르의 게임중에서는 최초로 클리어한 게임] * [[발로란트]] * 발할라: 사이버펑크 바텐더 액션 * [[비욘드: 투 소울즈]] * [[사망여각]] * [[사모로스트]] 3 * [[산나비]] * [[서브노티카]] * 서클 Re: 홍월침식 * [[셜록 홈즈: 악마의 딸]] *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 * 숲 속의 작은마녀 * [[썸썸 편의점]] * [[여름의 끝에 피는 꽃]] * [[아이작의 번제]] * 아재능력고사 * [[역전재판]] * [[이터널 리턴]] * [[저스트 댄스 2020]] * [[제2의 나라]] * [[지뢰찾기]] * 집주인이 너무해! * [[캐치마인드]] * [[쿠키런: 킹덤]] * [[쿠키요미]] * [[툼 레이더(2013)|툼 레이더]] * 품멜파티 * [[프로젝트 윈터]] * 하나님의 캠퍼스 라이프 * [[헤비 레인]] * [[헬테이커]] * [[호텔 소울즈]] * [[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2017)|화이트데이: 학교라는 이름의 미궁]] * [[환원 -Devotion-]] * [[港詭實錄ParanormalHK]] [[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유튜버]][[분류:한국어 버츄얼 유튜버]][[분류:트위치 파트너 스트리머]][[분류:패러블 엔터테인먼트/소속 크리에이터]][[분류:롤큐/소속 크리에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