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iero Fiber'''}}} [[파일:s11_3.png|width=500]] [목차] == 개요 == > '''"날씬한 기분, 미에로 화이바"''' [[http://www.miero.co.kr|홈페이지]] [[현대약품]]에서 [[1989년]]부터 생산하는 [[음료수]]로 [[섬유질]](식이섬유)과 과당, [[비타민C]], [[감귤]]추출물, 합성향료(오렌지향) 등이 함유된 혼합음료이다. == 특징 == 투명한 주황색에 깔끔한 오렌지맛에 가까운 새콤달콤한 묘한 맛이 난다.[* 오렌지주스 맛이랑은 또 다르다. 오렌지주스 쪽이 훨씬 묵직한 맛이 난다.] 이 맛과 향은 합성향료(오렌지향)에 기반한 것으로, 감귤추출물도 일부 들어있다. 그 외 색을 내기 위한 색소도 포함되어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 물 속에서 점성을 띠고 장내 세균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분해된다. 아예 흡수 자체가 안 되면서 장내 잔변을 긁어내는 변비에 효과적인 불용성 식이섬유와는 대조적. 대표적인 수용성 식이섬유로는 펙틴이나 알긴산 등이 있다.] "폴리덱스트로스" 70% 수용액을 포함하고 있어서[* 100ml 기준으로 2.5g.] 변비에 효과가 있다는 식의 말도 나온다. 하지만 식이섬유 문서에도 나와있지만 수용성 식이섬유는 '''[[변비]]와는 큰 관련이 없다'''는 말도 있다. 왜냐하면 변비에 효과가 있는건 채소 등에 많이 들어있는 불용성 식이섬유이기 때문이다. 자세한 건 [[섬유질]], [[변비]] 문서로. 다만 불용성 식이섬유와 혼동하는 게 문제인 것이지, 수용성 식이섬유 역시 장내 유익균을 늘려 장 건강을 좋게 한다는 점에서 나름대로 건강에 중요한 물질이다. 그냥 불용성 식이섬유와 완전히 다른 방법과 효과로 작용하는 별개의 물질로 보는 편이 낫다. == 종류 == === 미에로 화이바 === [[파일:mcon3_2.png]] 용량으로는 가장 익히 알려져 있을 100ml 유리병에 담긴 것이 널리 팔리고 있다.(사진 맨 좌측) 210ml 유리병도 있으며(사진 좌측 두번째) 과거에는 다이소 같은 곳에서 가끔 팔았으나 이제는 CU계열 편의점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미에로 화이바 후레쉬" 라 하여 350ml 페트병 판매도 하고 있다.(사진 좌측에서 세번째) "미에로 화이바 패밀리" 1.2L 사이즈도 있다. (사진 맨 오른쪽) 인터넷몰, 식자재마트 같은 곳에서 간혹 볼 수 있으며 2021년 현재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등 SSM에도 입고되는 모양이다. === 헬씨올리고 === [[파일:mcon3_3.png]] [[유산균]] 발효유와 [[올리고당]]이 함유된 [[식이섬유]] 음료. 올리고당 성분을 컨셉으로 잡은 음료다. == 여담 == 건강음료라는 점에서 [[비타 500]]과 비슷한 점도 있지만, 영양소적으로 비타 500은 [[비타민C]]를 더 강조한 케이스고, 이쪽은 [[섬유질]]을 강조한 케이스라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맛도 비타 500은 비타민 특유의 레몬맛 같은 상큼시큼한 맛[* 사실 이건 레몬맛이 아니라 사과과즙에 향을 첨가한 것이다.]이 강하다면, 미에로 화이바는 좀 더 깔끔한 오렌지맛이라는 사람도 있다. 2000년대 후반쯤엔 일정 확률로 뚜껑 안쪽에 '''한병 더'''라고 써있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한병 더라고 쓰인 병뚜껑을 구매한 곳에 들고 가면 한병을 더 얻을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화이브미니[* 국내에서눈 [[동아제약]]에서 생산하고 있다.]같은 맛의 음료수가 화이바라는 이름으로 여러 회사에서 나오는데, 이 중에는 아예 다이어트나 당뇨 환자를 위한 [[제로 칼로리]] 버전도 있다. 사실 현대약품에서 1989년 미에로화이바를 개발한 것도 이들 일본 식이섬유 음료 시장을 보고 뛰어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당시는 일본 산업 전반이 상당히 잘 나갔던 시기라 한국은 벤치마킹 많이 했었다. 이 기조는 2010년대 초반까지 지속되었으나 이후 한일간 산업관계가 일방종속이 아니게 되면서 많이 달라졌는데, 특히 미국이나 유럽 문화가 일본을 거치지 않고 직접 교류하게 된 영향이 크다.] [[긴급구조 119]] [[https://youtu.be/4J59BmSqkV0|1997년 6월 11일 방송분 '유리병 속의 혀' 편]]에서 미에로 화이바를 마지막 한 방울까지 마시려다 진공상태의 병에 혀가 끼어 고생했던 한 여자아이의 이야기를 전한 바 있었다.[* 1996년에 일어났으며, 당시 9살이었다.] 유튜브 shorts에 이 음료 이름에 대한 어원을 분석한 강의가 올려져 있다. [[https://youtube.com/shorts/8XzMLRNGYp4?feature=share|영상]] == 미에로걸 == 미에로 화이바는 '미에로걸'이라는 이름으로 여성 연예인들을 모델로 광고를 한다. 1989년 발매 당시 88년 미스월드 대회에서 2위에 입상한 미스코리아 최연희를 시작으로 90년대 초에는 당시 톱스타였던 [[최수지]]를 모델로 삼아 제품의 인지도를 높이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생소한 제품이었음에도 이러한 [[마케팅]]덕에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하게 되었다. 그 이후 건강음료의 열풍이 불면서 1993년 현대약품은 광고 마케팅에 집중하면서 [[김혜수]]를 미에로 걸을 내세워 식이섬유음료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안착하게 된다. 이후 1996년 '날씬한 기분'으로 광고카피를 전환한 후 10대 모델과 [[이소라(모델)|이소라]]를 미에로걸 모델로 선정, 소비층을 10대로 확대하는 시도를 한다. 이후 [[박민영(배우)|박민영]], [[이유비]], [[G.NA]], [[나나(배우)|나나]], [[고준희]], [[이하늬]], [[강소라]]가 거쳐갔으며 2018년 [[전소민]]이 미에로걸을 맡았다. 2019년에는 [[EXID]]의 [[하니(EXID)|하니]]가 맡았다. 2020년에는 2018년에 찍었던 전소민 버전을 가사를 바꿔 [[재탕]]했다. 2021년에는 미에로 화이바 역사상 최초로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을 광고 모델로 내세웠다. == 광고 == || [youtube(CmiGcGQIp88)] || ||<-2> '''[[고아라]]가 등장하던 20초 광고 --솔라시 레~ 도~--''' || ||<-2> {{{#!html  
}}}[youtube(U93bmyJCfgA, width=640px)] || ||<-2> '''[[이유비]]의 15초 광고 마지막에 보듯이 [[징글]](?)이 약간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솔도솔 라~ 시~--''' || ||<-2> {{{#!html  
}}}[youtube(stixpFHKCds, width=640px)] || ||<-2> '''[[나나(배우)|나나]]의 15초 광고 --위의 것과 같은 솔도솔 라~ 시~--''' || ||<-2> {{{#!html  
}}}[youtube(mJLbRWAy1yg, width=640px)] || ||<-2> '''[[강소라]]의 15초 광고''' || ||<-2> {{{#!html  
}}}[youtube(jnIh6rPZ6Gg, width=640px)] || ||<-2> '''[[전소민]]의 15초 광고''' || 이밖에도, [[코레일]]의 일부 시설물에도 광고 붙인 적이 있었다. 물파스 광고와 함께. 미에로 화이바 출시 전엔 바루나(위장약) 광고가 붙었었다. [[분류:음료 브랜드]][[분류:1989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