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7><#FF2400><:>[[파일:NPB 로고.svg|width=50]] '''[[일본프로야구/2군|{{{#ffffff NPB 2군}}}]]{{{#ffffff 의 시즌 진행}}}''' || ||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 → || [[일본프로야구/2군|본경기]] || ||<-2> [[파일: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로고.svg|width=250]] || ||<|2> {{{#ffffff '''명칭'''}}} ||'''공식''': みやざきフェニックス・リーグ || ||'''영문''': Miyazaki Phoenix League || || '''{{{#white 종목}}}''' ||[[야구]] || || '''{{{#white 리그 창설}}}''' ||[[2004년]] [[10월 11일]]^^([age(2004-10-11)]주년)^^ || || '''{{{#white 국가}}}'''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일본]] || || '''{{{#white 운영 주체}}}''' ||[[일본야구기구]] || || {{{#ffffff '''최근 우승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2021)^^ || || {{{#ffffff '''최다 우승팀'''}}} ||[[오릭스 버팔로즈]]^^(4회)^^ || || {{{#ffffff '''홈페이지'''}}} ||[[http://npb.jp/phoenix/2020/| [[파일:NPB 로고.svg|width=20]]]] | [[http://miyazaki-city-tourism.com/phoenix20/| [[파일:external/www.pref.miyazaki.lg.jp/hlogo.png|height=20]]]] || || {{{#ffffff '''SNS'''}}} ||[[https://www.facebook.com/MiyazakiPhoenixLeagu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iyazaki_phl, 크기=20)]|| ||<|3> '''{{{#white 국내 참가팀}}}''' ||[[두산 베어스]]^^(2006~ )^^ || ||[[한화 이글스]]^^(2009~ )^^ || ||[[삼성 라이온즈]]^^(2017~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8년 기준 [[일본프로야구]] 12개 팀, 독립리그 1팀, [[KBO 리그]] 3개 팀 등 총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10월 초에 시작해서 10월 말까지 15~18경기로 치르며 유망주들에게 동기 부여를 한다. 일본프로야구 2군구단들의 [[시범경기]]. 보통 2군 리그가 열리기 전 봄에 개최되었으나 90년대 후반부터 2군 시즌이 끝난 가을에도 개최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름이 교육리그 인 만큼, 이곳에선 유망주나 백업급 선수들의 기량 향상등을 위해서 성적보다 교육에 철저하게 중심을 두고 리그가 진행되며 따라서 이곳의 성적은 큰 의미를 가지는 건 아니다. == 역사 == 1991년부터 고치현을 중심으로한 12개 팀이 모여 쿠로시오 리그(黒潮リーグ )가 개최되었고 1996년부터는 오키나와에서 하이사이 오키나와 리그(ハイサイ・沖縄リーグ)개 개최되었다. 2000년에 쿠로시오 리그가 폐지되고 2001년부터 코스모스 리그(コスモスリーグ)가 개최되었는데 2003년부터 이스턴리그 소속팀만 참가할수 있도록 변경되면서 웨스턴리그 소속팀이 참가하는 요사코이 고치리그(よさこい・高知リーグ )가 개최되었다. 그리고 2004년에는 코스모스리그 개최지가 고치현에서 미야자키 현으로 옮겨졌고 피닉스리그(フェニックスリーグ )라는 명칭으로 재탄생했으며 2005년부터는 다시 양대리그를 폐지하고 통합해서 운영하고 있다. 2006년부터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와 KBO리그 구단들이 참여하기 시작했다.이미 1996년 쿠로시오 리그와 하이사이 오키나와 리그에 한국 팀들이 참여한 바 있다. >미야자키 교육리그는 한국팀들에게도 많은 인기를 누려왔다. 유망주급 선수들의 기량 향상을 위해 열리는 캠프지만, 1.5군급이나 육성형 외국인 선수 등 수준급 선수들이 상당수 참가하기 때문이다. KBO리그 구단들도 1군 백업 요원들이나 기대주인 유망주들의 성장을 위해 교육리그 참가를 선호한다. 그동안 두산의 '화수분 야구'도 이런 교육리그의 긍정적인 영향이 컸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들 뿐 아니라 다른 구단들도 미야자키 교육리그에 참가하고 싶어하지만, 자리가 없어 참가를 못하고 있다. >---- >2019년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0/2019092000372.html|교육리그 불똥 튈라, NPB 커미셔너 "한국 선수 안전에 최선 다하겠다"]] - [[조선일보]] [[한국프로야구]]팀들도 몇몇 구단이 참여하고 있다. 특히 [[두산 베어스]]의 경우에는 2006년 이후로 매년 가을에 참여하고 있고, [[LG 트윈스]]도 2006년 한 번 참여 이후 2010년부터 매년 참여하고 있다. 2009년 부터는 [[한화 이글스]]도 참가 중. 2017년에는 LG 트윈스 대신 [[삼성 라이온즈]]가 창단이후 처음으로 참가하게 됐다. 2018년에도 역시 2017년과 동일하게 [[두산 베어스]],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세 팀이 참여하게 되었다. 리그 내 성적은 세 팀이 골고루 뒤에서 1,2,3 등 하는 중.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KBO 팀들의 참가가 보류되었고 2023년부터 다시 참가하게 됐는데, 기존의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에 이어 일본 독립리그 야구기구 선발팀이 추가로 참가하게 되면서 짝수를 맞춰야 하는 상황이 됐고 삼성이 두산과 한화와 연합하는 형식으로 맞추게 되면서 짝수를 맞췄다. 선수는 한화 20명+삼성 10명, 두산 20명+삼성 10명으로 팀을 이루었다. == 특징 == NPB와 KBO의 심판이 함께 심판을 맡는다. 여기에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와 [[베이스볼 챌린지 리그]]의 심판도 참여할 수 있다. 감독과 코치는 모두 소속 구단에서 리그에 등록 및 승인을 받아야 하며, 피닉스 리그에 참여하는 감독 또는 코치가 변경될 경우 그때마다 리그에 신고해야 한다. 입장료가 무료고, 주말 경기에는 양 팀 선수들의 사인 볼을 이용한 팬 서비스와 팬들을 초청해 시구 행사를 하기도 한다. 경기는 주로 12시 반에 열리는데, 실력 향상이 목표인 경기이다 보니 경기 종료 후에도 연습을 하기 위함이다. 또 연장전은 따로 개최하지 않는 대신 팀끼리 합의한 뒤 사전에 심판에게 보고하면 이닝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지명타자]]제도를 활용하고, 야수가 2 명 이상 마운드에 모이는 것은 금지된다. 빠른 경기 진행을 위해 투수가 포수로부터 공을 넘겨받은 후 15초이내에 투구하도록 하는 15초 룰을 적용하고, 투수의 이닝 시작 및 도중 교대시에 준비 투구는 원칙적으로 5개까지만 가능하다. 다만 심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5개를 넘겨도 된다. == 사용 구장 == * [[미야자키시]] * 아이비 스타디움 {{{-2 (アイビースタジアム)}}} * 이키메노모리 스포츠공원 제2야구장 {{{-2 (生目の杜運動公園第2野球場)}}} * 히나타 산 마린 스타디움 미야자키 {{{-2 (ひなたサンマリンスタジアム宮崎)}}} * 히나타 히무카 스타디움 {{{-2 (ひなたひむかスタジアム)}}} * SOKKEN 스타디움 {{{-2 (SOKKENスタジアム)}}} * 기요 타케 종합 운동장 제2야구장 {{{-2 (清武総合運動公園第2野球場)}}} * [[니치난시]] * 텐푸쿠구장 {{{-2 (天福球場)}}} * 난고 스타디움 {{{-2 (南郷スタジアム)}}} * [[미야코노죠시]] * 미야코노조시영야구장 {{{-2 (都城運動公園野球場)}}} == 참가 구단 == [include(틀: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 국내 구단 === ||<|2> '''연도''' || [[두산 베어스|[[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width=20]]]] || [[LG 트윈스|[[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width=20]]]] || [[한화 이글스|[[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width=20]]]] || [[삼성 라이온즈|[[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width=20]]]] || || [[두산 베어스|두산]] || [[LG 트윈스|LG]] || [[한화 이글스|한화]] || [[삼성 라이온즈|삼성]] || || 2006 ||<|14> || ||<|3> ||<|11> || || 2007 ||<|3> || || 2008 || || 2009 ||<|11> || || 2010 ||<|7> || || 2011 || || 2012 || || 2013 || || 2014 || || 2015 || || 2016 || || 2017 ||<|3> ||<|3> || || 2018 || || 2019 || ||<-5> || || 2021 ||<-4> || || 2023 || || || || || == 역대 시즌 == || '''연도''' || '''기간''' || '''팀''' || '''경기''' || '''우승''' || || 2004 || 10월 11일 - 24일 || 6 || 48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 || 2005 || 10월 10일 - 23일 || 12 || 72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 || 2006 || 10월 9일 - 25일 ||<|3> 14 ||<|3> 98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세이부]] || || 2007 || 10월 8일 - 24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 || || 2008 || 10월 7일 - 24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 2009 || 10월 5일 - 22일 ||<|11> 16 || 112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 2010 || 10월 5일 - 26일 || 145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 2011 || 10월 10일 - 31일 ||<|8> 144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소프트뱅크]] || || 2012 || 10월 8일 - 29일 ||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 || 2013 || 10월 7일 - 28일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라쿠텐]] || || 2014 || 10월 6일 - 27일 || [[치바 롯데 마린즈|롯데]] || || 2015 || 10월 5일 - 26일 ||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DeNA]] || || 2016 || 10월 3일 - 24일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 || 2017 || 10월 9일 - 30일 || [[한신 타이거스|한신]] || || 2018 || 10월 8일 - 29일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야쿠르트]] || || 2019 || 10월 7일 - 28일 || 143 ||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 || 2020 || 11월 8일 - 29일 || 12 || 108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닛폰햄]]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본프로야구/2군, version=98, paragraph=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