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도호쿠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미야기현 선거구}}}}}}'''[br]{{{-1 {{{#ffffff 宮城県選挙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ninsen_Miyagi.svg|width=100%]]}}}|| ||<-2><:>'''선거인 수'''||<-2><:>1,929,935명 (2021)|| ||<-2><:>'''구성 행정구역'''||<-2><:>[[미야기현]]|| ||<-2><:>'''의원정수'''||<-2><:>2인|| ||<|2><:>'''국회의원'''||<:>'''2025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이시가키 노리코]]|| ||<:>'''2028 개선'''||<:>[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사쿠라이 미쓰루]]||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야기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이다. 유권자 수는 약 193만 명이다.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한다.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5년(17회)]]부터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3년(23회)]] 선거까지는 정수가 4인이었다. 1977~1986년에는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후보만이 당선되었으나, 그 외에는 [[일본사회당(1945년)|사회당]]이나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등 비자민계 후보가 1석씩 가져갔다. 2000년 이후 선거에서는 2007년을 제외하면 2위 후보와의 득표율 격차가 5%p 내외였으며,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9년 25회 선거]]에서는 0.98%p까지 좁혀지는 등 격전지로 분류된다. == 현재 국회의원 == ||<:>{{{#ffffff 2025년 개선}}}||<(>[include(틀:입헌민주당 표시)] [[이시가키 노리코|이시가키 노리코(石垣のりこ)]]|| ||<:>{{{#ffffff 2028년 개선}}}||<(>[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사쿠라이 미쓰루|사쿠라이 미쓰루(櫻井充)]]|| == 역대 국회의원 == ||<:>'''{{{#ffffff 연도(회차)}}}'''||<:>'''{{{#ffffff 의원명}}}'''||<:>'''{{{#ffffff 소속 정당}}}'''||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86(14회)]]||<:>엔도 가나메||<:>[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89(15회)]]||<:>쿠리무라 카즈오||<:>[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2(16회)]]||<:>엔도 가나메||<:>[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2><:>[[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5(17회)]]||<:>이치카와 이치로||<:>[include(틀:무소속)]|| ||<:>가메야 히로아키||<:>[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1997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1997(17보)]][* 이치카와 이치로 의원이 미야기현지사 선거 출마로 인해 사퇴했다. [[오자와 이치로]]의 지원으로 자민/[[신진당|신진]]/[[공명당|공명]] 3당의 추천을 받았으나, [[신생당|신생]]/[[일본신당]]/[[신당 사키가케|사키가케]]의 추천을 받은 아사노 시로(浅野史郎)에게 밀려 낙선했다.]||<:>오카자키 도미코||<|2><:>[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1998(18회)]]||<:>사쿠라이 미쓰루|| ||<:>이치카와 이치로||<:>[include(틀:무소속)]|| ||<|2><:>[[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1(19회)]]||<:>오카자키 도미코||<:>[include(틀:민주당(일본))]|| ||<:>아이치 지로||<|2><:>[include(틀:무소속)]|| ||<|2><:>[[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4(20회)]]||<:>이치카와 이치로|| ||<:>사쿠라이 미쓰루||<|2><:>[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07(21회)]]||<:>오카자키 도미코|| ||<:>아이치 지로||<|2><:>[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2><:>[[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0(22회)]]||<:>구마가이 유타카|| ||<:>사쿠라이 미쓰루||<:>[include(틀:민주당(일본))]|| ||<|2><:>[[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3(23회)]]||<:>아이치 지로||<:>[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와다 마사무네||<:>[include(틀:모두의 당)]||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6(24회)]]||<:>사쿠라이 미쓰루||<:>[include(틀:민진당(일본))][* [[2019년]] [[9월 30일]],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탈당.]||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19(25회)]]||<:>[[이시가키 노리코]]||<:>[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2022(26회)]]||<:>사쿠라이 미쓰루||<:>[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미야기현 선거구|{{{#fff 미야기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릿켄 포함 하얀색.svg|width=50]]]] || '''[[이시가키 노리코]][br](石垣のりこ)''' || '''474,692'''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공산 [include(틀:일본 공산당)] 미야기현위원회 추천][*사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국 [include(틀:국민민주당(2018년))] 지지] || '''48.63%''' || '''당선'''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아이치 지로[br](愛知治郎) || 465,194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공명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7.65%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미야케 노리아키[br](三宅紀昭) || 36,321 || 3위 || || [include(틀:NHK당)] || 3.72% || 낙선 || ||<|2> '''계''' || 총 투표 수 || 976,207 ||<|2> '''투표율'''[br] 51.17% || || 선거인 수 || 1,942,518 || '''엄청난 접전이 펼쳐졌다.''' 개표 최후반까지 승자가 가려지지 않다가 결국 [[입헌민주당(2017년)|입헌민주당]]의 신인 정치인인 [[이시가키 노리코]] 후보가 현역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던 [[자유민주당(일본)|자민당]] 아이치 지로 후보를 1.1%p[* 9,498표 차이]로 승리했다. 일종의 자이언트 킬링이 일어난 것도 물론이거니와 NHK 기준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승패가 갈린 이후에도 승자가 확정되지 않아 마지막까지 엄청난 주목을 받았다. 선거를 앞두고 [[한일 무역 분쟁]]까지 일으키면서 개헌을 위한 2/3선 확보를 위해 사력을 기울였던 [[아베 신조]] 총리와 자민당 입장에서는 최종 목표 달성[* 선거 직전에는 자공 과반 확보까지 목표치를 낮췄고 이에는 성공했다.]에 실패한 상황에서 [[미야기현]]에서 마지막 카운터 펀치까지 맞으면서 입맛을 쓸 수 밖에 없었고, [[에다노 유키오]] 대표와 입헌민주당 입장에서는 기대에 미치진 못했지만 호헌파 야당의 개헌저지선 확보에 성공한 상황에서 보너스까지 받은 셈이 됐다. 그래서 자민당 입장에서는 2022년 있을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승리를 위해 칼을 갈고 있을 것이다. ==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4> '''{{{+1 [[미야기현 선거구|{{{#fff 미야기현 선거구}}}]]}}}'''[br]{{{#fff 1인 선출 선거구}}}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사쿠라이 미쓰루{{{-2 [* 추천: [include(틀:공명당)]]}}}''' || '''472,96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1.9%'''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오바타 기미코 || 271,455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29.8%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히라이 미도리 || 91,924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0.1% || 낙선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B6100, #F39800)" [[참정당|[[파일:참정당 심볼.svg|width=45]]]]}}} || 로렌스 아야코 || 52,938표 || 4위 || || [include(틀:참정당)] || 5.8% || 낙선 || ||<|2><#ffee02> [[NHK당|[[파일:NHK수신료를 지불하지 않는 방법을 알리는 당 로고.svg|width=50]]]] || 나카에 도모야 || 21,286표 || 5위 || || [include(틀:NHK당)] || 2.3% || 낙선 || ||<|2> '''계''' || 총 투표 수 || 000표 ||<|2> '''투표율'''[br]48.80% || || 선거인 수 || 1,921,486인 || 여당 자민당에서는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 출신으로 지난 선거에도 [[민진당(일본)|민진당]] 소속으로 나서 당선되었던 사쿠라이 미쓰루 참의원이 이번에는 자민당 당적을 가지고 5선 도전에 나선다. 당초 자민당 미야기현련에서는 이시카와 미쓰지로 현의원을 공천하려 했지만, 갑자기 사쿠라이 의원이 자민당에 입당하면서 논의를 통해 사쿠라이가 이번 선거에 나서고 다음 선거에 이시카와가 나서기로 합의했다. 제1야당 입헌민주당에서는 전 미야기현의원이자 간호사 출신인 오바타 키미코를 공천했다. 그 외 일본 유신회에서는 센다이시의원을 지낸 히라이 미도리 후보를, NHK당에서는 나카에 토모야, 참정당에서는 로렌스 아야코를 각각 공천했다. 자민당의 현역 프리미엄에다 사쿠라이 후보 개인의 경쟁력이 더해져 선거를 앞두고 1인 선거구 중 자민당 우세구로 분류되었다. [[분류:선거구/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