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미쓰비시 자동차)] [[파일:external/6a58d8952b69601a523cc469a2c3cefc794f0123b647b3a6320a4d25c72b88ea.jpg]] [목차] '''Mitsubishi Diamante / Magna[*1 호주시장 수출명.] / Verida[*1 ] / Sigma[* 유럽시장 수출명.] / V3000[* 뉴질랜드 수출명.]''' == 개요 == [[미쓰비시 자동차]]에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생산된 준대형차이다. == 역사 == === 1세대 (F10, 1990~1995) === ||[[파일:external/aa8bfc31e14dc95a27167a81f4645ce8c9ed9813d8d2841f1d223e03a25109f7.jpg|width=100%]]||[[파일:external/i.wheelsage.org/autowp.ru_mitsubishi_diamante_6.jpg|width=100%]]|| || 4도어 하드톱 전면부 || 4도어 하드톱 후면부 || 미쓰비시는 기존 대형차 시장의 판매부진이 계속 이어지자, 제대로 된 준대형차가 절실했다. 그래서 데보네어와 갤랑/에테르나 사이에 포지션을 새로 추가하게 되었고 그 결과물이 바로 1990년에 출시된 1세대 디아망떼였다. 당시 호주 지부[* 호주 [[크라이슬러]]를 인수하면서 얻은 인력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크라이슬러 차들을 현지화하면서 얻은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http://www.valiant.org/ausval.html|#]])]에서는 갤랑을 호주 시장에 맞게 현지화해서 크기를 키운 [[미쓰비시 마그나|마그나]](Magna)를 판매하고 있었고, 그 중에서 2세대 마그나를 기반 삼아서 고급차 라인을 만들었다. 엔진은 V6 2.0 / 2.5 / 3.0L [[미쓰비시 사이클론 엔진|사이클론 엔진]]이 적용되었고, 5단 수동 또는 4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다. 또한 경쟁 차량이었던 [[토요타 크라운]], [[닛산 세드릭]]/[[닛산 글로리아|글로리아]], [[마쓰다 루체]]와 다르게 정말 생각치 않았던 고급 승용차에 AWD(4륜구동)를 적용하였고, 외관 디자인은 일체형 전조등에 블랙베젤을 더하여 마치 멀리서 보면 1980년대의 [[BMW 5시리즈]]처럼 보이는 스타일이었다. 이 덕에 정말로 일본의 BMW 5시리즈라는 별칭도 있었을 정도(...). 그러다 보니 경쟁이 치열하던 일본 준대형차 시장에서 엄청난 판매고를 자랑했다. 호주 사양인 마그나에는 2.6L [[미쓰비시 아스트론 엔진|아스트론 엔진]][* 4G54형 가솔린 SOHC 엔진]이 장착되기도 했다. 호주 현지생산이 이루어진 것은 물론, 왜건 버전은 호주에서만 생산해 전 세계에 판매했다. 여담으로 당시 [[현대자동차]]에서 [[현대 마르샤]]를 이 모델을 들여와 생산하려 했었으나, 미쓰비시의 인기 주력차량인데다가 라이센스 비용이 너무 비싼 탓에 결국 철회되었고, 마지못해 기존의 [[현대 쏘나타|쏘나타2]]를 고급화하게 되었다.--그리고 마르샤는 시원하게 망했다-- === 2세대 (F30, 1995~2005) === ||[[파일:external/2176bf821ae3886d4fb1b8182219578bf2146f0e2776fee03ebda47226ddebdb.jpg|width=100%]]||[[파일:external/70b04856fe8a7e7831f09889b00084fa4696b261601963c3032713b3290faef0.jpg|width=100%]]|| |||| 전기형 || F30은 [[1995년]] [[1월]]에 출시되었다. 엔진은 6G71형 2.0L가 삭제되고 6G74형 3.5L가 추가되었다. 변속기는 5단 수동이 삭제되고 5단 자동변속기가 추가되었다. 이후 1996년부터 수출형이 판매되기 시작했다. 수출형에는 2.4L [[미쓰비시 시리우스 엔진|시리우스 엔진]]이 장착되기도 했다. 또한 호주에서는 마그나와 베라다(Verada)라는 이름으로 현지 생산되었다. 1998년에 나온 현대차의 [[현대 그랜저|그랜저 XG]]가 이 차와 디자인이 비슷하다는 이야기가 있으나, 그랜저는 디아망떼와 전혀 상관없는 차다. 다만 그렌져가 디아망떼를 조금 참고하긴 했다. ||[[파일:external/aefa841b85a49fdbcb22a899805aa09a6f38c80c4ef381473c04525a6c02479a.jpg|width=100%]]||[[파일:external/bd555bfc0cb9f07ec5477767bb34008fa79c387f4739bb54b7c890c4ba35b3af.jpg|width=100%]]|| |||| 중기형 || 1997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중기형이 출시되었다. ||[[파일:external/6a58d8952b69601a523cc469a2c3cefc794f0123b647b3a6320a4d25c72b88ea.jpg|width=100%]]||[[파일:external/f4b89c5e7163df75b33d373bb226eead0036cbb2bc11314e4ee83313169b010f.jpg|width=100%]]|| |||| 후기형(내수용) || 1999년에는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이 출시되었다. 하지만 미쓰비시의 [[GDI 엔진]] 결함사건이 터져 판매량에 타격이 커진 탓에 남들과 달리 풀 모델 체인지조차 못한 채 후기형을 2005년까지 우려먹다가 단종되었다. 이후 미쓰비시의 E세그먼트 준대형차의 자리는 닛산의 E세그먼트 세단인 [[닛산 푸가|푸가]]를 그대로 들여와 만든 [[미쓰비시 프라우디아|2세대 프라우디아]]가 가져가게 된다. 한편 호주에서 판매하던 마그나/베라다도 비슷한 시기에 단종되었고, 후속은 [[미쓰비시 갤랑|갤랑]]의 호주 버전인 미쓰비시 380이다. 가면라이더 쿠우가에서 스기타 모리미치 형사의 자가용으로 전기형이 등장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미쓰비시자동차의 차량)] [[분류:미쓰비시자동차/생산차량]][[분류:1990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