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ite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의 수상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타임지 선정 역대 최고의 TV 쇼)]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100대 TV쇼)] ---- ||<-5>
{{{#e5d85c ''' 역대 [[피바디상|{{{#e5d85c 피바디상 }}}]]''' }}} || ||<-5> [[파일:B7E9D027-77C1-4CA8-B9B3-51D1B50AE551.gif|width=150]] || ||<-5> '''[[1993년]]''' || ||<-5>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 ||<-5> || ---- }}} || ||<-3>
{{{#000000,#dddddd '''Gizmoplex 오리지널 프로그램'''[br]{{{+1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1988 - )[br]Mystery Science Theater 3000}}}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ST3K-logo.png|width=100%]]}}} || ||<-2> '''장르''' ||[[SF]], [[코미디]], [[인형극]], [[리뷰]]|| ||<-2> '''방송 시간''' |||| ||<-2> '''방송 기간''' ||1988. 11. 24. ~ 현재 || ||<-2> '''방송 횟수''' ||시즌 13, 230부작 || ||<-2> '''제작''' ||Gizmoplex || ||<-2> '''채널''' ||KTMA-TV,,(1988-1989),,[br][[코미디 센트럴|[[파일:코미디 센트럴 로고.svg|width=60]]]],,(1989-1996),,[br][[Syfy|[[파일:Sci-Fi_Channel_logo_1992-1999.svg|width=60]]]],,(1997-1999),,[br][[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60]]]],,(2017 - 2018)[br][[파일:Gizmoplex_logo.png|width=60]] ,,(2022 -),, || ||<|3> '''제[br]작[br]진''' || '''제작''' ||(제작사의 제작 담당자 또는 방송사의 책임 프로듀서) || || '''연출''' ||○○ || || '''극본/원작''' ||○○ || ||<-2> '''출연''' ||○○ || ||<-2> '''독점 스트리밍''' ||[[파일:Gizmoplex_logo.png|width=100]] [[https://www.gizmoplex.com/|▶]]|| ||<-2>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시청 등급}}}''']] ||미정 || ||<-2> '''{{{#000000,#dddddd 관련 사이트}}}''' ||[[https://mst3k.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st3k)] | [[https://www.instagram.com/mst3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링크 주소|[[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mst3koffici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mstlogo.png]] '''Mystery Science Theater 3000'''[* 줄여서 '''MST3[[킬로|K]]'''라 쓰기도 한다.] 고전 [[B급 영화]] 리뷰를 주제로 하는 미국의 코미디 TV쇼. 맨 처음(1988~89년, 시즌 0)에는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의 [[지역방송]]인 KTMA-TV에서 방송했고, 1989~96년(시즌 1~7)에는 [[코미디 센트럴]], 1997~99년(시즌 8~10)에는 [[Syfy|The Sci-Fi Channel]]에서 방송했다. 그 후 오랜 휴방 기간을 가졌다가 [[킥스타터(기업)|킥스타터]]를 통해 부활해[* 일주일만에 목표 금액을 달성했고 총 5,764,229달러를 모았다. 이는 [[Critical Role#s-6|Critical Role 애니메이션]] 이전까지 킥스타터 TV 및 영상 부문 역대 최고 모금액이었다.] 2017~18년(시즌 11~12)에는 [[넷플릭스]]에서 방송했지만[* 한국에서는 시청 불가능하다.] 이후 캔슬되었다. 2021년 2번째 킥스타터 캠페인이 진행되었고, 2022년 5월 6-8일에 독자적인 플랫폼인 [[https://www.gizmoplex.com/|The Gizmoplex]]에서 방영할 것이라고 한다. 보통 영화 리뷰 방송들은 영화 전체의 일부분만 보여주는 것과는 달리,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은 영화를 '''통째로'''[* 그래도 방영시간 때문에 너무 긴 영화인 경우에는 1시간 반 정도 길이로 편집한다. 반대로 영화가 짧다면 다른 단편 영화도 덤으로 틀어준다.] 보여준다. 쇼의 진행자와 캐릭터 인형들이 영화를 관람하면서 실시간으로 드립을 치고 자기 의견 등을 말하는 것이 특징. == 오프닝 == [youtube(wWAz-Ohg13U)] [youtube(uUyzVJOGMPc)] == 줄거리 == 시즌이 지날수록 등장인물이 조금씩 변경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아래와 같다. 사악한 과학자들이 세계정복 계획의 일환으로 어떤 인물(쇼의 진행자)을 납치해서 구린 B급 영화들을 틀어줘 미치게 만들려 한다. 맨 처음 납치되었던 조엘 로빈슨(해당 시리즈의 제작자인 [[조엘 호지슨]] 분)은 미치지 않기 위해 자신과 함께 있을 몇몇 로봇들을 만들었는데, 이 로봇들은 조엘이 탈출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 == 설정 == === 장소 === * 기즈모닉 인스티튜트 (Gizmonic Institute) 조엘과 클레이튼이 일하는 연구소로, 클레이튼은 과학자로, 조엘은 청소부로 고용된 연구소다. * 딥 13 (Deep 13) 지구의 지각 아래에 존재하는 연구소이며, 기즈모닉 산하 연구소. * 새틀라이트 오브 러브 (Satellite of Love) 번역하면 '사랑의 인공위성'. 조엘과 로봇들이 감금되었던 인공위성이다. == 등장인물 == === 역대 납치 대상자 (진행자) === 본명+유명 영화인물(가상인물 포함)의 성씨를 조합해서 이름을 만드는 전통이 있다. * 1대 조엘 로빈슨 (조엘 호지슨)[* Lost in Space 주인공 가족 및 로빈슨 크루소 + 조엘] * 2대 마이크 넬슨(마이크 넬슨) (본인 이름[* 유일한 예외]) * 3대 조나 헤스턴 (조나 레이)[* '''조나''' 레이 + [[찰턴 헤스턴|찰턴 '''헤스턴''']].] * 4대 에밀리 코너 (에밀리 마시) [* '''에밀리''' 마시 + [[사라 코너|사라 '''코너''']]. 초창기에는 에밀리 크렌쇼 (Emily Crenshaw) 였으나 방영 직전에 성씨가 변경되었다.] === 로봇들 === 조엘이 미치지 않으려 '''영사기를 뜯어서''' 만든 로봇들. 덕분에 언제 영화가 시작하고 끝나는지 조절을 못 한다..... * 크로우 (Crow T. Robot) 테마송에서 소개할 때는 왠지 몰라도 크로오오오오오오우!(Croooooooooooooooow!)하면서 늘려 불린다.... * 톰 서보 (Tom Servo) [[검볼]] 기계에 팔과 입을 붙인 모습. [[Red vs. Blue]]의 터커마냥 자기가 여자를 잘 안다(사귄다)라는 망상이 있다. (자칭 여자의 로봇- Lady's Robot...) * 집시 (Gypsy) / GPC[* 시즌 13부터는 [[집시|인종]]비하 논란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홍일점, 천장에 붙어 있기 때문에, 항상 목을 내려서 영화를 봐야 한다.... 시즌 11부터는 여자 인형사가 연기하고 있다. * 캠봇 (Cambot) 영사기 렌즈 파트로 만들어진 로봇, 가장 작다. === 빌런 === 납치 대상자들 (호스트들)에게 매즈(The Mads)라고 불린다. ==== 포레스터 가문 ==== * 클레이튼 포레스터 박사 조엘을 납치한 장본인, 이후로도 포레스터 가문 자체가 이 분의 실험에 동참한다.[* 현재는 고인이다.] * 펄 포레스터 (Pearl Forrester) 클레이튼의 어머니. 혼자 '''버스 모양 우주선'''을 운전해서, 탈출하는 마이크를 쫓는 등 이분도 장난 아니시다. * 킹가 포레스터(Kinga Forrester) 배우는 [[펠리시아 데이]]. 클레이튼의 외동딸. 머리에 뼈를 꽂고 있으며, 조나를 달 뒤편[* Dark Side of the Moon이라고 언급.]에 가둬두었다. [[제4의 벽]]을 자주 깬다. 제작진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 닦달한다거나, 디즈니에 이 프랜차이즈를 팔 거라고 한다던가 '''시청률을 신경쓴다던가...'''[* 이건 조나한테 '''우린 넷플릭스에서 방영중이거든!''' 하면서 까인다.] * 신시아 포레스터 (Synthia Forrester) 펄의 클론. 킹가를 돌보게 하려는 목적으로 탄생하였다. == 극장판 == [[파일:MV5BYzNmN2UzNTAtNmZkMS00MmI3LThhNzEtNjI1YjJlN2JiZjU0XkEyXkFqcGdeQXVyMTQxNzMzNDI@._V1_SY1000_CR0,0,673,1000_AL_[1].jpg|width=50%]] [youtube(IY3shxrxelI)] 1996년 극장판도 나왔다. 제목은 Mystery Science Theater 3000: The Movie. 여기서 리뷰하는 영화는 1955년작 [[https://en.wikipedia.org/wiki/This_Island_Earth|우주수폭전]](This Island Earth)이다. == 코믹스 == [[파일:31177[1].jpg]] 2018년부터 [[다크 호스]] 코믹스에서 6부작 미니 시리즈가 나왔다. 넷플릭스판을 기반으로 한다. == 기타 == 이전까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던 영화들이 이 쇼에서 나온 뒤 유명해지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악명높은 마노스: 운명의 손(Manos: The Hands of Fate,1966년작)이다. 1993년에 시즌 4 24화에서 리뷰했다. 이 영화는 영화에 그 어떤 일도 해본 적이 없는 텍사스 비료 사업자 해롤드 P.워렌(1923~1985)이 도박으로 큰 돈을 벌자, 한 번 만들어본 영화로 감독, 각본, 제작, 주연까지 맡았다. 텍사스 지방 연극배우들을 캐스팅해 만들어서 지방 극장에서 상영해서 비웃음만 받은 호러영화인데 그야말로 대체 뭐하러 만든 영화인지 모를 완성도이다. [[https://www.etoland.co.kr/plugin/mobile/board.php?bo_table=etohumor02&wr_id=1346616|줄거리]]만 봐도 대체 이게 뭔 영화인지 갈피를 못 잡는다.... 아무튼, 이렇게 방영하여 오랫동안 잊혀졌던 이 영화는 화질 복원되어 DVD로 출시하고 재개봉까지 했다. 그 밖에, 1979년작으로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에서 1997년 6월(시즌 8 ,11화)에 방영한 클로너스(Parts: The Clonus Horror)는 나중에 영화 [[아일랜드(영화)]]가 [[표절]]했다고 소송을 제기할 정도로 비슷한 줄거리라서 [[드림웍스]]가 제작비 몇 배가 넘는 돈을 주고 합의했다. 리뷰된 작품들 중 가장 오래된 작품은 1942년 5월 8일에 개봉한 The Mad Monster(시즌 1 3화)와 The Corpse Vanishes(시즌 1 5화)다. 반대로 가장 최신 작품은 짝퉁영화 전문 영화사인 [[어사일럼(영화사)|어사일럼]]이 만든 [[퍼시픽 림]]의 짝퉁 [[어사일럼(영화사)/목버스터 일람#s-13|아틀란틱 림]](시즌 12 2화)으로, 리뷰된 작품들 중 유일한 21세기 영화다. == 참조 == 미국의 덕후들에게는 기념비적인 영향을 끼친 작품이나 안타깝게도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TV쇼이기 때문에 한국어 관련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 * [[https://www.youtube.com/channel/UCFzph9x-n9FR52BI94Zfgww|공식 유튜브 채널]] * [[https://en.wikipedia.org/wiki/Mystery_Science_Theater_3000|위키백과의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항목 (영어)]] * [[https://tvtropes.org/pmwiki/pmwiki.php/Series/MysteryScienceTheater3000|TV Tropes의 "미스터리 과학 극장 3000" 항목]] * [[https://mst3k.fandom.com/wiki/Mystery_Science_Theater_3000_Wiki|팬덤 위키]] [[분류:영화 소개 프로그램]][[분류:미국의 방송]][[분류:1988년 작품]][[분류:1996년 영화]][[분류:미국 만화/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