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67746 0%, #177C49 20%, #177C49 80%, #167746)" [[파일:mishaal.jpg|width=100%]]}}} || ||<|2> '''{{{#ffffff 본명}}}''' ||[[영어]] : Princess Mishaal bint Fahd Al Saud || ||[[아랍어]] : الأميرة مشاعل بنت فهد آل سعود || ||<|2> '''{{{#ffffff 출생일}}}''' ||[[1958년]] ||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8]] || ||<|2> '''{{{#ffffff 사망일}}}''' ||[[1977년]] [[7월 15일]] (향년 18세) || ||[[제다]]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8]] || [목차] [clearfix] == 소개 == [youtube(qKJMgMgjNEM)] 파흐드 빈 무함마드 빈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의 4남이다.]의 딸이다. 국왕의 딸은 아니었지만 1977년에 발생한 [[명예살인]] 사건 때문에 유명해졌다. == 공주의 죽음(Death of a Princess) == 미샬 공주는 [[베이루트]]에서 공부할 때 칼리드 알 샤에르 무할할(Khaled al Sha'er Muhalhal)이라는 남성과 사귀게 되었는데 이는 후일에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눈치챈 [[사우드 왕조]]는 요원들을 베이루트로 파견해 미샬 공주와 칼리드를 압송하려고 했고 둘은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로 도망가려고 했다. 그러나 공항에서 둘은 구속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로 압송되었다. 당시 파흐드 빈 무함마드는 자신의 딸을 살리기 위해 딸에게 "칼리드가 너를 현혹시켰다고 거짓 자백을 해라"고 명했지만 미샬 공주는 이를 거절하고 [[총살형]]을 선택했다. 이 사건은 [[영국]]에 알려졌고 1980년에 <공주의 죽음(Death of a Princess)>이라는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당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이에 대한 항의로 [[영국]]에 무역보복을 하면서 미샬 공주의 존재가 사후에 알려지게 되었다.[* 1980년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 혁명]]과 그랜드 모스크 공성전의 영향으로 [[와하비즘]] 정책을 강화하던 시기였다.] 또 이 사건 이후 사우디에서는 본격적으로 여성에 대한 남성후견인 제도를 법제화했다. == 관련 문서 == * [[명예살인]] == 관련 사이트 == * [[https://ppss.kr/archives/115469|이슬람의 명예살인: 사우디아라비아 미샤 공주의 죽음]] [각주] [[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무슬림]][[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왕족]][[분류:1958년 출생]][[분류:1977년 사망]][[분류:총살형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