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집.png|width=60%&align=center]]}}} || ||<-6><#493949> '''[[VIA 6|{{{#ffffff VIA 6}}}]]'''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4 || '''미로''' || 3:32 || 강우현 || 송기원 || 서의성 || ||<-6>
[[파일:attachment/MAX_UNLIMITED.jpg|align=center]] || ||<-6><#322e2d> [[언리미티드(M.C The Max)|{{{#ffffff '''UNLIMITED 1CD'''}}}]]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6 || '''미로''' || 3:36 || 송기원 || 강우현 || 서의성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IRI9z_swv8,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ZVH_PmHQUM,width=100%,align=center)]}}} || || '''▲ 6집 수록 음원''' || '''▲ 2013년 12월 24일 언베일링 콘서트 라이브''' || == 가사 == ||
<:> {{{#fff '''{{{+3 미로}}}'''}}}|| ||<:> 아무도 없는 고요함 속을 오늘도 애써 버티고 내뿜은 짙은 한숨에 눈물을 담아서 얇아진 가슴 끝을 털어내지만 내일이 '''{{{#green 와도}}}''' 다시 살'''{{{#green 아나}}}{{{#blue,#dodgerblue ㅡ}}}{{{#yellowgreen 는}}}''' 모자란 '''{{{#yellowgreen 그}}}'''리움이 다시 두'''{{{#yellowgreen 려워}}}{{{#green 지고}}}''' 눈물이 '''{{{#green 몰아}}}{{{#blue,#dodgerblue 치}}}{{{#green 는 휘}}}{{{#yellowgreen 청대}}}'''는 '''{{{#green 가}}}'''{{{#red 슴}}} '''{{{#green 안}}}{{{#yellowgreen 고}}}''' 하루를 비틀대'''{{{#green 며}}}''' 살겠죠 그리워해도 잡고 싶어도 아무도 보지 않을래 오늘은 괜찮을 거야 내 마음 달래도 숨가쁜 외로움이 자라나는데 내일이 '''{{{#green 와도}}}''' 다시 살'''{{{#green 아나}}}{{{#blue,#dodgerblue ㅡ}}}{{{#yellowgreen 는}}}''' 모자란 '''{{{#yellowgreen 그}}}'''리움이 다시 두'''{{{#yellowgreen 려워}}}{{{#green 지고}}}''' 눈물이 '''{{{#green 몰아}}}{{{#blue,#dodgerblue 치}}}{{{#green 는 휘}}}{{{#yellowgreen 청대}}}'''는 '''{{{#green 가}}}'''{{{#red 슴}}} '''{{{#green 안}}}{{{#yellowgreen 고}}}''' 하루를 비틀대'''{{{#green 며}}}''' 살겠죠 한 번 두 번 널 지우'''{{{#green 다}}}''' 나마저 사라져'''{{{#green 도}}}''' 다 지나 버린 모두 끝나 버린 '''{{{#yellowgreen 흐}}}'''린 '''{{{#yellowgreen 기}}}'''억 '''{{{#yellowgreen 속}}}{{{#green 으로}}}''' '''{{{#green 점점}}} {{{#yellowgreen 더}}} {{{#green 빠}}}{{{#orange 져}}}{{{#green 들}}}{{{#yellowgreen 고}}}''' '''{{{#yellowgreen 내 마}}}'''{{{#orange 음}}} {{{#red 갈}}} {{{#orange 곳}}} '''{{{#green 잃}}}{{{#yellowgreen 어}}}''' 또 '''{{{#yellowgreen 그 안}}}'''을 '''{{{#blue,#dodgerblue 헤매이}}}{{{#green 는데}}}''' 내일이 {{{#green 와도}}} 다시 살'''{{{#green 아나}}}{{{#blue,#dodgerblue ㅡ}}}{{{#yellowgreen 는}}}''' 모자란 '''{{{#yellowgreen 그}}}'''리움이 다시 두'''{{{#yellowgreen 려워}}}{{{#green 지고}}}''' 내일이 '''{{{#green 와도}}}''' 다시 살'''{{{#green 아나}}}{{{#blue,#dodgerblue ㅡ}}}{{{#yellowgreen 는}}}''' 모자란 '''{{{#yellowgreen 그}}}'''리움이 다시 두'''{{{#yellowgreen 려워}}}{{{#green 지고}}}''' 눈물이 '''{{{#green 몰아}}}{{{#blue,#dodgerblue 치}}}{{{#green 는 휘}}}{{{#yellowgreen 청대}}}'''는 '''{{{#green 가}}}'''{{{#red 슴}}} '''{{{#green 안}}}{{{#yellowgreen 고}}}''' 하루를 비틀대'''{{{#green 며}}}''' 살겠죠 || ||2옥타브 솔♯(G♯4) 구간은 '''{{{#yellowgreen 연두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red 빨간색}}}'''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곡 분석 == * 조성 : 내림마단조(E♭ minor) * 최고음 : '''진성 최고음 3옥타브 도♯(C♯5)/가성 최고음 3옥타브 레♯(D♯5)''' 6집의 숨은 헬곡이자 최고의 난이도로 평가받는다. 브릿지 부분에서 '''3옥타브 도♯(C♯5)'''[* 점점 더 빠'''져'''들고]을 찍으며 1절과 2절 사이에 간주가 '''2초''' 정도밖에 없다.[* 라이브에서는 브릿지 이후 나오는 싸비 멜로디를 부르지 않는다.] 호흡을 빼고 보아도 순수하게 난이도가 엄청난 노래인 게, 이 곡의 2옥타브 솔♯(G♯4) 이상의 음은 3분 32초라는 짧은 시간 동안 정확히 '''100개''' 나온다. 2옥타브 솔♯(G♯4) 이상의 음은 단련되지 않은 테너도 올리기 힘든 음인데, 그 이상의 음이 100개가 나온다는 것 자체가 이 노래의 난이도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곡의 난이도 상승의 주범은 상술하듯이 하이라이트마다 2옥타브 솔♯(G♯4)~ 2옥타브 라♯(A♯4)으로 도배되어 있고 2옥타브 시(B4)로 꺾는 후렴 이후의 쉴 구간이 2초밖에 없다는 것과 '''이 곡 최악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브릿지~3절 후렴 구간이 있다.''' 브릿지에서는 진성으로 '''3옥타브 도♯(C♯5)'''을 찍으며, 그 직후 '''3옥타브 레♯(D♯5)'''을 가성으로 올린 뒤 2옥타브 시(B4)를 유지하며 2옥타브 라♯(A♯4)을 5초 동안 끌어야 한다. 그렇다고 그 뒤가 쉽냐 하면 그것도 아닌 게, 위에서 언급한 후렴구를 다시 이어가며 숨쉴 구간을 철저히 없애고[* 라이브에선 스킵한다.], 1~2초 쉰 뒤에 후렴구를 진성으로 다시 불러야 한다. 거기다가 비트까지 다른 발라드 곡에 비하면 빠르기 때문에 여러모로 답이 보이지 않는 노래다. 그래도 라이브 할 기세도 보이지 않고, 라이브 기록도 안 남아 있는 [[My Way(이수)|다른]] [[어김없이|곡들]][* 어김없이는 인스타 라이브로 짧게나마 부르긴 했다.]에 비하면 노래도 짧고 쉽기 때문에 라이브 기록은 많이 남아 있다. 2013년 이후로 라이브가 없다는 게 문제일 뿐.[* 인지도가 높은 곡이 아니고, 7집 이후 곡들 중에서 미로와 난이도가 동급 또는 그 이상의 곡들이 워낙 많다.] 2티어에 충분히 드는 난곡으로 동급의 곡들로는 [[빈자리(M.C The Max)|빈자리]], [[행복하지 말아요]], [[넘쳐흘러]], [[사랑을 찾아서]], [[Find your true self]], [[Returns(M.C The Max)|Returns]], [[What a wonderful world(M.C The Max)|WAWW]], [[다시, 노래...]]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 난이도 개편으로 이 곡이 타 6집 곡들에 비하면 확실히 어려운 곡이라서 1.5티어로 올라갔다. == 여담 == * 3집의 [[To Me]]와 더불어 MR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곡 중 하나로, 공식 Inst.가 없는 것은 물론 비공식이라도 멜로디 제거 버전 MR은 구할 방법이 '''아예 없으며,'''[* 네이버 뮤직이나 멜론, 벅스에는 물론이고, 비교적 음지인 MR 제작 사이트를 뒤져봐도 만들어진 MR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나마 유튜브 등지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멜로디 MR들도 대부분 1키가 내려져 있어 멜로디 MR이라도 원키는 찾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그나마 있는 MR들도 원곡의 휘몰아치는 듯한 바이올린 파트를 전혀 살리지 못하는 등 퀄리티가 좋지 않다.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에서 30294, 금영에서는 85960이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VIA 6]] [[분류: M.C The Max/노래]][[분류: 록 발라드]][[분류: 2008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