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래에셋자산운용]][[분류:집합투자증권]][[분류:2012년 출시]] [include(틀:미래에셋)] ||
<#FFFFFF,#000000>{{{#!wiki style="margin: -6px -10px" [[미래에셋자산운용|[[파일: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 팜플렛.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출시한 [[집합투자증권|공모 펀드]] (주식형 및 주식혼합형) 상품군이다. [[https://blog.naver.com/m_invest/220932109728|#]] == 연혁 == [[미래에셋 인사이트 펀드]] (미래에셋인사이트증권자투자신탁)의 실패로 인해 펀드런을 겪고 있던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자사 대표 펀드의 운용 전략을 스윙 및 단타에서 리스크 관리 및 [[헤지펀드|헤지]]로 바꾸게 되었다. 이렇게 대대적인 쇄신을 거친 미래에셋이 인사이트 펀드로 인해 투자자들로부터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고자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를 출시하게 되었다. * 2012년,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미래에셋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가 출시되었다. * 2013년, '''미래에셋 글로벌 배당 프리미엄 펀드''' (미래에셋글로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가 출시되었다. * 2014년, '''미래에셋 차이나 배당 프리미엄 펀드''' (미래에셋차이나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가 출시되었다. * 2017년, '''미래에셋 미국 배당 프리미엄 펀드'''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가 출시되었다. == 상품 설명 == 전통적인 배당주 펀드와 같이 주식 매매를 통한 시세 차익과 배당 및 채권 수익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내는 상품군이다. 한편, 기존의 배당주 펀드는 배당락 이후 수많은 [[배당주]]들이 폭락하는 상황에서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안되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는데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는 이를 적극적인 주식 비중 조절과 [[옵션(금융)|파생 거래]]를 통해 극복한다.[* [[미래에셋 인사이트 펀드]]가 출시될 당시에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리스크 관리 대책을 제대로 강구하지 않아서 2008년 [[대침체]] 당시에 큰 손실을 냈다.]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에서는 펀드 매니저가 [[배당주]]를 매수할 때에 해당 종목에 대한 [[옵션(금융)|풋 옵션]]도 같이 매수한다. 즉, 펀드에 편입된 종목들은 무조건 풋 옵션이 같이 있다. 배당락 이후 하락장에서는 운용역이 풋 옵션을 행사하여 마이너스 차익을 최소화한다. 배당주들이 반등 추세로 접어들 때에 운용역은 배당주와 풋 옵션을 매수하는데 이 경우에는 배당주의 주가가 오를 수록 풋 옵션의 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상승장에서는 수익이 나기는 하지만 그 차익이 제한된다고 펀드 약관에 명시되어 있다.[* 다만, 배당 수익이 많아질 경우 오히려 변동성을 줄이면서도 시장 대비 더 높은 수익을 낼 수도 있다.] 이를 '''커버드 콜''' (Covered Call) 매매 전략이라고 한다. 한편, 커버드 콜 전략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방어하기 위해 최소 50개 이상의 종목에 분산 투자를 하고 있고 주식 편입 비중은 평상시에 60% 내외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0 ~ 90% 범위 내에서 유연하게 조절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세계 증시에서 [[부동산투자신탁]] (이하 RITs — '''리츠''';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월배당 주식 및 [[상장지수펀드|ETF]]가 등장함에 따라서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상품군에서도 이러한 종목들을 적극적으로 편입하고 있다.[*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맥쿼리인프라]]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가 대표적인 리츠 종목이다.] 배당 비수기 시즌에도 출시 초기에 비해 배당 수익을 더욱 극대화하여 주가 상승기에는 손실이 날 수 밖에 없는 풋 옵션을 상당히 잘 방어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는 '''폭락장에서 손실이 천천히 나지만 상승장에서도 수익이 느리게 나는 투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지는 못하지만 그 대신에 수익 대비 위험을 방어하여 시장 대비 어느정도 수익 변동성이 낮아지는 것. 그래서 시장 수익률의 50 ~ 70% 정도를 벤치마크 수치로 삼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이 펀드 상품군은 그냥 배당주 펀드 라인업과 비슷한거 같지만 사실상 '''시장중립 수익'''을 추구하는 [[헤지 펀드]] 상품군이라고 봐야 한다. 2000년대까지는 시장 이상의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들이 큰 인기를 끌었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세계 경제 [[대침체]]가 발생하면서 이러한 펀드들에서 자금 이탈이 이어졌다. 하락장에 대한 교훈을 얻은 투자자들이 2010년대부터는 하락장에서 어느정도 선방할 수 있는 [[헤지 펀드]]를 찾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춰서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시리즈가 꾸준히 롱런하고 있다. ===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 === * 상품명: '''미래에셋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html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484110|#]] * 유형: 주식혼합형 * 위험도: 6단계 중 '''2등급''' (높은 위험) * 투자 대상: * 국내 주식 0 ~ 90% * 채권 0 ~ 40% * 집합투자신탁 0 ~ 40% * 환헤지: 대상 아님 * 벤치마크: KOSPI 200 × 70% + MMI × 30% [br][br] ---- 국내 [[배당주]]가 주된 투자 대상이다. 최근에는 리츠 종목을 편입하여 배당 수익을 더욱 늘리고 있다. 출시 이후 급락장마다 상당한 방어력을 보여주었다. === 미래에셋 차이나 배당 프리미엄 펀드 === * 상품명: '''미래에셋차이나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1호'''{{{#!html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536610|#]] * 유형: 주식혼합형 * 위험도: 6단계 중 '''3등급''' (다소 높은 위험) * 투자 대상: * 중국 본주 및 홍콩 주식 50 ~ 70% * 채권 0 ~ 50% * 집합투자신탁 0 ~ 40% * 환헤지: 적용 * 벤치마크: CSI 300 (Price, CNY, D-1) × 25% + HSCE Index (Price, HKD, D-1) × 25% + Call × 50% [br][br] ---- 중국 및 홍콩 증시에 상장된 [[배당주]]가 주된 투자 대상이다. [[미래에셋 인사이트 펀드|인사이트 펀드]]가 중화권 주식에 몰빵해서 수익률을 까먹어서 그런지 새로 출시된 이 중국 펀드는 주식 편입 비중을 상당히 보수적으로 잡았다. === 미래에셋 미국 배당 프리미엄 펀드 === * 상품명: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 (H)'''{{{#!html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480740|#]] * 유형: 주식형 * 위험도: 6단계 중 '''2등급''' (높은 위험) * 투자 대상: * 미국 주식 60 ~ 100% * 채권 0 ~ 40% * 집합투자신탁 0 ~ 40% * 환헤지: 적용 * 벤치마크: S&P 500 Total Return (USD, D-1) × 75% + Call × 25% [br][br] * 상품명: '''미래에셋미국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 (UH)'''{{{#!html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480750|#]] * 유형: 주식형 * 위험도: 6단계 중 '''2등급''' (높은 위험) * 투자 대상: * 미국 주식 60 ~ 100% * 채권 0 ~ 40% * 집합투자신탁 0 ~ 40% * 환헤지: '''미적용''' * 벤치마크: S&P 500 Total Return (KRW, D-1) × 80% + Call × 20% [br][br] ---- 미국 [[배당주]]가 투자 대상인 펀드다. 주식혼합형으로 출시된 다른 패밀리 펀드와는 달리 이 펀드는 주식형으로 출시되었다. 다만, 미국 주식의 변동성은 낮은 편으로 배당락에 따른 주가 하락이 덜한 편이다. 그래서 주식을 많이 편입할 수 있는 순수 주식형으로 출시된 것으로 보인다. 환헤지가 적용되는 펀드와 환노출이 이루어지는 펀드로 나뉘어서 출시되었다. === 미래에셋 글로벌 배당 프리미엄 펀드 === * 상품명: '''미래에셋글로벌배당프리미엄증권자투자신탁1호'''{{{#!html  }}}[[https://investments.miraeasset.com/fund/view.do?fundGb=2&fundCd=536210|#]] * 유형: 주식혼합형 * 위험도: 6단계 중 '''3등급''' (다소 높은 위험) * 투자 대상: * 국내 주식 50 ~ 80% * 글로벌 주식 50 ~ 80% * 채권 0 ~ 40% * 집합투자신탁 0 ~ 40% * 환헤지: 적용 * 벤치마크: MSCI AC World (Gross, Local, D-1) × 50% + Call × 50% [br][br] ---- 글로벌 [[배당주]]가 주된 투자 대상인 펀드다. 국내 주식에는 재간접 방식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에 투자하여 펀드 운용 비용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높은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비중이 적어서 그런지 미래에셋 배당 프리미엄 펀드보다 하락장 방어를 더 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