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d1e57, #2d1e57 20%, #2d1e57 80%, #2d1e57)" '''{{{#ffffff {{{-2 みなみ はるお}}}[br]{{{+1 三波 春夫}}}[br]미나미 하루오 | Minami Haruo}}}'''}}}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나미 하루오.jpg|width=100%]]}}} || || '''본명''' ||키타즈메 분지 (北詰 文司) || || '''출생''' ||[[1923년]] [[7월 19일]] || || '''사망''' ||[[2001년]] [[4월 14일]] (향년 77세) || || '''데뷔''' || || || '''활동기간''' ||[[1939년]] ~ [[1944년]][br][[1957년]] ~ [[2001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お客様は神様です。''' >손님 (관객분)은 '하느님' 이십니다. [* [[1961년]]에 했던 어록으로, 가수는 청중을 감동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한다는, 직업에 대한 자신의 신념이 들어간 말이다. ] [[일본]]의 [[가수]]이다. == 생애 == 1939년, 16세의 나이에 낭곡사로 데뷔한다. 하지만 1944년, 21세의 나이로 일본 육군 [[관동군]]에 징병되어 만주에서 복무 생활을 했었다. [[만주 전략 공세 작전|하지만 패전을 만주에서 맞이했고]], 패전 후 4년간 시베리아 억류 생활을 겪으면서 소련하면 이를 갈 게 되는 보수주의자 겸 반공주의자가 되었다. [[쇼지 타로]] 이래 양복 중심이던 일본 가요계의 남자 가수 복장에 다시 화복(和服)을 유행시킨 사람이다. 현대 [[엔카]] 가수들이 화복을 입는 것은 이 사람이 시초. 귀국 후 1957년에 가요계로 데뷔하여 수 많은 명곡들을 남겼다. 데뷔곡은 챤치키 오케사(チャンチキオケサ)[* 데뷔곡으로 고향을 그리는 당시 젊은이의 심정을 적절히 표현하였다.], 최후의 곡은 후지산(富士山)이다. 그 외에도 뱃사공이여(船方さんよ)라든가, 도쿄 올림픽 타령(東京五輪音頭), 방긋 타령(ニッコリ音頭)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젊은 사람들한테 유명한 건 [[1970 오사카 엑스포]] 테마송인 [[세계의 나라에서 안녕하세요]]와 [[1964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발표했던 도쿄 올림픽 온도[[https://www.youtube.com/watch?v=3_3pQf4Gewo|東京五輪音頭]][* 1963년 NHK 홍백가합전의 마무리 노래였다.]. 홍백가합전에도 1958년부터 1986년까지 매년 29회에 1989년, 1999년까지 총 31회 출연했다. 로쿄쿠시 출신이라 그런지 로쿄쿠를 가요로 만든 8~10분 짜리 로쿄쿠 장편 가요 시리즈로도 유명하다. 호상일대 키노쿠니야 분자에몬(豪商一代紀伊國屋文左衛門)[* 에도 시대의 전설적인 호상 [[키노쿠니야 분자에몬]]을 소재로 한 노래이다.], 겐로쿠명창보 타와라보시 겐바(元禄名槍譜 俵星玄蕃) 등. 특히 추신구라 관련 곡이 정말 많은데 미나미 하루오의 로쿄쿠를 모두 모으면 추신구라 라디오 드라마가 만들어진다는 농담도 있을 정도다. 말년에는 개인적 연구를 바탕으로 역사서를 썼다. 그리고 [[전립선암]] 판정을 받고 2001년 4월 14일 도쿄도내의 병원에서 77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 여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Minami_Haruo_Statue_001.jpg]]|| || 고향 [[니가타현]] 나가오카시에 있는 동상 || 매우 보수적으로 보이는 겉모습과는 다르게 중증의 [[당구]] 덕후였고 1990년대 악곡에는 전자악기를 매우 애용했다. 이때 [[Rap|랩]]에 도전하기도. 1992년에 방영된 심야 마작 애니메이션 '슈퍼 즈간'의 엔딩곡에서 그의 랩을 들을 수 있다. [[http://youtu.be/QentW21CVu4|#]] 이 사람을 보면 [[20세기 소년/등장인물#s-3|하루 나미오]]가 떠오르는 사람이 있을 텐데, 당연한 이야기지만 하루 나미오는 미나미 하루오의 패러디이다. 연기자는 후루타 아라타(古田新太). 그가 부르는 헬로헬로 타령(ハロハロ音頭)을 감상해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HORH2pejz4c&feature=player_embedded|#]] 1997년 개봉한 짱구 극장판 《암흑마왕 대추적》에 그가 부른 [[세계의 나라에서 안녕하세요]]가 수록된 인연 때문인지 "신짱 선창 나와 함게 춤추자"[* 그전엔 유우코(ゆうこ)가 불렀는데 '''반주가 무려 하드코어(!!!)다.'''--주…줄리아나 도쿄?!-- 실제로 두곡의 발매사는 [[에이벡스]]와 TEICHIKU로 각각 다르다.][* 미나미 하루오 버전은 반주가 삼바에서 엔카로 바뀐다.]를 부른 적이 있다. 외모가 묘하게 [[김대중]] 전 대통령을 닮았다. 김대중 대통령은 [[1924년]] 출생, 미나미 하루오는 1923년생으로 나이도 비슷하다. == 주요 곡 == ||[youtube(WAxksEvIH0Y)] || || '''チャンチキオケサ''' || ||[youtube(sUqi1Gz3e70)] || || '''船方さんょ (뱃사공이여)''' || ||[youtube(XpsooFBO9ak)] || || '''東京五輪音頭 ([[1964 도쿄 올림픽|도쿄 올림픽 타령]])''' || [[분류:만주국의 군인]][[분류:일본 남가수]][[분류:나가오카시 출신 인물]][[분류:1923년 출생]][[분류:2001년 사망]][[분류:1957년 데뷔]][[분류:전립선암으로 죽은 인물]][[분류:자수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