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통가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통가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 || [[통가|{{{#fff '''통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통가]]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 2000년대 ==== 2003년 12월 9일, 미국은 이라크 재건사업 참여 63개국을 발표했으며 여기에 통가도 있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351655?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8/0000036761?sid=104|#]] 2004년과 2007년 [[이라크 전쟁]] 때 작은 규모로 [[통가군]]을 파병해서 미군을 지원했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0407050069893961?did=tw|#]],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1796283?sid=100|#]], [[https://monthly.chosun.com/client/mdaily/daily_view.asp?idx=2610&Newsnumb=201801261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084765?sid=101|#]] 2008년 8월 13일 기준으로 [[몽골]]과 통가가 [[이라크]] 파병을 고수했다. [[https://www.mbn.co.kr/news/world/375602|#]] ==== 2010년대 ==== 2011년, [[시아오시 투포우 5세]] [[통가 국왕]]은 암에 걸려 미국에서 수술을 받기도 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524229.html|#]] ==== 2020년대 ==== 2022년 1월 19일, 미국 국제개발처(USAID)는 통가에 10만 달러를 지원했다. [[https://www.joseilbo.com/news/htmls/2022/01/20220119444309.html|#]] 2022년 8월 7일, 웬디 셔먼 미 국무부는 통가를 방문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080714360000152?did=NA|#]] 2023년 7월 27일, 통가를 찾은 [[토니 블링컨]]은 중국이 통가에 약탈적 투자를 했다며 언급했고, 중국 관영매체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30727091851083?input=1195m|#]],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33236&ref=A|#]] == 상호 교류 == [[뉴질랜드]] [[오클랜드 대학교]], 미국 [[산타 바바라]] [[캘리포니아 대학교]]를 졸업했던 코나이 탐만(Konai Thaman) 여교수는 통가 출신이다. == 대사관 == [[캘리포니아]]에 통가 명예영사관이 있으며, 누쿠알로파에 미국 대사관이 세워져 있다.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을 직접 잇는 노선이 없어서 [[푸아모투 국제공항]]은 뉴질랜드 [[오클랜드 공항]]이나 [[피지]] [[난디 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경유한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통가/외교]] * [[미국/경제]] * [[통가#경제|통가/경제]]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통가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