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국의 대외관계)] [include(틀:카자흐스탄의 대외관계)] || [[파일:미국 국기.svg|width=100%]]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100%]] || || [[미국|{{{#ffffff '''미국'''}}}]] || [[카자흐스탄|{{{#fec50c '''카자흐스탄'''}}}]] || == 개요 == [[미국]]과 [[카자흐스탄]] 사이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 역사적 관계 == 과거에는 친러 성항이 매우 강한 국가들처럼 미국과의 관계는 딱히 가까운 관계는 아니었다.[* 물론 친러와 친미 성항을 가진 국가들도 있긴 있다. 대표적으로 인도, 베트남, 불가리아, 그리스, 이탈리아, 일부 개발도상국들 등이 있다. 당장 한국 또한 강력한 한미동맹 그 자체지만, 친서방권에선 드물게 러시아랑도 사이가 괜찮다.] 이웃 [[우즈베키스탄]]은 2005년 안디잔 사태 전까지 [[친미]] 정책을 유지했으나 카자흐스탄은 독립 초기부터 미국을 탐탁찮아했고, 기어이 2001년 [[테러와의 전쟁]]을 핑계로 [[아프가니스탄]]을 뭉개기 위해 자기 나라에 미군기지까지 두는 행태에 카자흐스탄인들이 기겁을 했으며 카자흐스탄 정부도 항의했지만 미국을 이길 힘이 없어 가만히 있을 수밖에 없었다.[* 물론 당시에 [[이라크 전쟁]]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반미감정이 널리 퍼지던 시기이기도 했다.] 결국 2005년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고 새 아프가니스탄 정부가 들어서자 멋대로 만든 미군 기지는 필요없어져 미군이 철수했고 그 자리에 [[러시아군]]을 불러와 현재에 이른다. 물론 그렇다고 [[북한]], [[이란]]처럼 미국을 대놓고 적대하는 것은 아니며 그냥 마음에 안 든다는 수준이다. 그러다 보니 러시아군이 주둔해도 큰 문제가 없었다. 그래도 최근들어서 러시아하고 갈등이 생겼는지 [[아제르바이잔]]이나 [[벨라루스]]처럼 미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체로 카자흐스탄인들의 미국에 대한 감정은 중립적인 편이고 2012년 조사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인들중 28%가 긍정 27%가 부정 45%가 미국에 대해 중립적이라고 했다. === 21세기 === ==== 2000년대 ==== 2000년 7월 5일,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등 [[상하이 협력 기구]] 국가들은 '두샨베선언'을 발표하면서 미국을 경계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5/0000010790?sid=104|#]] 2000년 8월 31일, [[빌 리처드슨]] 미국 에너지부 장관이 나이지리아, 카자흐스탄, 러시아 극동 지역을 방문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0044620?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023800?sid=104|#]] 2001년 9월 18일, 911 테러 후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5개국들이 미국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100745?sid=104|#]] 2002년 1월, 카자흐스탄 전국에 미군 군사기지 사용을 허가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2/0000000276?sid=104|#]] 2006년 9월 29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영화 [[보랏]]을 두고 미국 [[조지 부시]] 대통령과 회담을 하기로 했다.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1699|#]] ==== 2010년대 ==== 2011년 12월 19일, 카자흐스탄 서부 자나오젠에서 일어난 시위가 강제진압되자 미국은 우려를 표명하였고, 15명이 사망하자 이 사건과 관련된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https://www.ajunews.com/common/redirect.jsp?newsId=20111220000480|#]] 2015년 12월 9일, 카자흐스탄 법원이 야권 지도자 블라디미르 코즐로프의 가석방을 최종 불허하자 미국과 유럽연합 여러 나라들과의 갈등이 나타났다. [[https://www.yna.co.kr/view/AKR20151210188100095?input=1195m|#]] 2018년 1월 17일 나자르바예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하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95284&ref=A|#]] 2019년 5월 4일에 미국과 카자흐스탄은 누르술탄에서 영사특권 및 면책에 관한 협정을 체결했고 알마티에 미국 영사관을 개설할 것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0805517|#]] 또한, 카자흐스탄은 미국과 영공개방협약을 체결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329198|#]] ==== 2020년대 ==== 그러나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우크라이나 전쟁]]을 기점으로 카자흐스탄이 정치개혁을 단행하면서 미국과의 군사 협력을 논의하기에 이르렀다. 단 경제적, 군사적 면에서는 러시아 의존도가 높기에 몽골을 비롯한 몇몇 국가들처럼 친미와 친러를 병행할 가능성이 높다. 2022년 1월 7일, 러시아군이 카자흐스탄으로 입성하자 미국과 유럽연합이 이 상황을 주시했었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1072037025|#]] 2023년 2월 28일. 안보, 에너지 등 분야에서의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하는 데 합의했다.[[https://m.yna.co.kr/view/AKR20230228173600096?section=international/all|#]] == 교통 교류 == 두 나라들을 직접 잇는 공항이 없어서 [[악타우]] 공항을 통해서 [[암스테르담 스키폴 국제공항]]이나 [[이스탄불 공항]]을 경유해 지나간다. == 대사관 == 카자흐스탄 주재 미국대사관은 아스타나에 있고, 미국 명예영사관도 [[알마티]]에 있다. 미국 주재 카자흐스탄 대사관은 [[워싱턴 D.C.]]에 있다. == 관련 문서 == * [[미국/외교]] * [[카자흐스탄/외교]] * [[미국인]] / [[카자흐]] * [[대국관계일람/아메리카 국가/북아메리카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자흐스탄/외교, version=72, paragraph=4.1)] [[분류:미국의 대국관계]][[분류:카자흐스탄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