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 소설]][[분류:문예]][[분류:패러디]] ||<-2><:>[[파일:Trout-Fishing-in-America.png|width=350]][* 표지 사진 속 남자가 리처드 브라우티건이다. 오른쪽에 앉아 있는 여자는 그의 친구인 미카엘라 르 그랑드이다.]|| ||제목||미국의 송어낚시[br](Trout Fishing in America)|| ||저자||[[리처드 브라우티건]]|| ||초판 출간일자||[[1967년]] [[10월 12일]]|| ||장르||장편소설(연작단편집), 산문시집|| [목차] [clearfix] == 개요 == [[리처드 브라우티건]]이 1967년에 출간한 장편소설/산문시집. 《빅서에서 온 남부 장군》에 이어 두 번째로 출간한 소설로 [[반문화]] 운동이 한창이던 1960년대 미국에서 수백만 부가 넘게 판매되며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정수로 꼽힌다. == 특징 == [[리처드 브라우티건]]은 1960년대 초까지 [[샌프란시스코]]를 거점으로 시인으로서 활동하다 1961년 《미국의 송어낚시》와 《빅서에서 온 남부 장군》이라는 두 개의 소설을 썼다. 그는 《미국의 송어낚시》를 먼저 출간하여 소설가로서 활동하고자 했으나 무명 시인인 탓에 지명도가 낮았고 또 기성 소설의 문법에서 탈피한 원고가 출판사들로부터 거절당한 탓에 1965년에야 《빅서에서 온 남부 장군》으로 소설가 활동을 시작했다. 《빅서에서 온 남부 장군》은 상업적으로나 비평적으로나 크게 주목받지 못했으나 당대 떠오르는 작가였던 [[커트 보네거트]][* 그 역시 당시에는 인기 작가라고 할 수 없었으나 1969년 출간한 《제5도살장》이 공전의 인기를 기록하면서 리처드 브라우티건보다 더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다.]가 이에 관심을 가져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후견인을 자처했다. [[커트 보네거트]]를 통해 연결된 출판사에서 그는 1967년 《미국의 송어낚시》를 출간했고 이는 당시 미국을 휩쓸던 [[히피]] 세대로부터 큰 주목을 받아 4백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이를 통해 절판되었던 《빅서에서 온 남부 장군》도 재출간되어 큰 인기를 누렸다.] 《미국의 송어낚시》엔 일정한 줄거리가 존재하지 않는다. 각 장으로 나뉜 일화들엔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서사가 없으며 장면들은 대부분 비유와 상징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미국에선 이를 소설이 아닌 산문시집으로 보기도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특징인 탈장르성에 해당한다.] 제목으로 표현되는 '미국의 송어낚시'만이 각 일화들을 관통하는 유일한 제재인데, 이 또한 작품 내에 등장하는 책 제목에서부터 인물의 이름, 현상, 사상, 호텔, 낚시 행위 그 자체, 문화, 수식어 등의 형태로 변주되어 독자를 혼란에 빠뜨린다. 거대한 [[메타포]]로 구성된 작품인 만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나 작가의 해설에 따르면 [[문명]]에 대한 맹목적인 찬양과 물질주의·기계주의에 경도된 현대인의 상실감과 허무감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그는 당대 주류 문화의 성질을 비틀어 작품 곳곳에 갖가지 [[블랙유머]]와 [[패러디]]를 배치했는데, 때문에 합리성·개연성에 근거를 둔 기성 소설의 어법[* 거대 서사를 다루고 고급 문화와 하위 문화를 구분짓는 전통 소설의 경향을 의미한다.]과 전혀 달라 오늘날까지도 이 작품의 문체에 대해선 호평과 혹평이 엇갈린다.[* 이는 [[해체주의]]를 표방하는 대부분의 [[포스트모더니즘]] 예술 작품의 특징이기도 하다.] 1960년대 [[커트 보네거트]]의 《[[제5도살장]]》, [[토마스 핀천]]의 《제49호 품목의 경매》 등과 함께 히피 세대의 '문화 바이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당대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근간을 형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영향 == 1972년 [[아폴로 17호]]의 조종사 해리슨 슈미트는 월면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타우루스-리트로우 계곡의 분화구에 《미국의 송어낚시》의 등장인물인 미국의 송어낚시 쇼티의 이름을 따서 쇼티라는 이름을 붙였다. 미국 민속음악과 동요를 연주하는 듀오 미국의 송어낚시는 리처드 브라우티건의 소설 《미국의 송어낚시》에서 유래했다. 1994년 3월 [[캘리포니아]] 주의 피터 이스트만이라는 사람이 미국의 송어낚시로 개명하여 유명세를 탔다. 미국 공영 라디오([[NPR]])는 아이에게 미국의 아기 송어낚시라는 이름을 붙인 신혼부부의 사연을 보도하기도 했다. [[무라카미 하루키]], [[신경숙]] 등의 작가들이 좋아하는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문장 ==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난 계단을 하천으로 바꿀 수는 없었다. 소년은 자신이 떠나온 곳으로 다시 되돌아갔다. 똑같은 일이 한때 내게도 일어났다. 나는 버몬트 주에서 한 노파를 송어하천으로 착각하고 용서를 구했다. “실례했습니다.” 나는 말했다. “전 할머니가 송어하천인 줄 알았어요.” “난 아냐.” 할머니가 말했다. >그 남자는 동료를 정신없이 먹어대는 쥐 한 마리에게 다가가 머리에 권총을 겨누었다. 그 쥐는 아무런 반응도 없이 계속해서 먹고 있었다. 총의 공이가 짤깍 하자, 쥐는 먹는 것을 잠시 멈추고 눈 가장자리로 남자를 바라보았다. 쥐는 우선 권총을, 다음에는 그 남자를 바라보았다. 그 눈은 친절하게 보였고, “우리 엄마가 어렸을 때 디나 더빈처럼 노래했답니다”라고 말하려는 듯했다. 남자는 방아쇠를 당겼다. 그에게는 유머 감각이 없었다. >아, 그렇다. 정신병원에는 미래가 있었다. 거기서 보내는 겨울은 결코 완전한 손해가 아니었다. >결국 나무에 새겨진 그런 말들은, 세월이 지나면 마치 기차역 옆 식당에서 졸린 눈을 비비며 즉석 음식을 주문받는 요리사가 그릴에 깬 계란처럼 알아볼 수 없게 될 것이었다. 그러나 부자들은 정식 요리처럼 대리석에 자신들의 이름을 새겨, 마치 멋진 거리를 떠난 말이 하늘로 날아가듯 할 것이었다. >나는 그녀와 섹스를 했다. 그것은 막 1분이 되기 전의 영원한 59초와도 같았고, 아주 수줍게 느껴졌다.[* 한국에선 [[윤대녕]]이 인용한 문장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인디 일렉트로니카 유닛인 [[.59]]의 작명 모티브가 된 문장이기도 하다.] >그러자 교장선생님은 다시 한 번 우리를 다룰 때면 늘 사용하는 자신의 특허인 E=MC²식 6학년용 속임수를 썼다. >미국은 다른 증거가 필요 없다. 간디식의 비폭력 트로이의 목마의 ‘붉은’ 그림자가 미국을 뒤덮었고, 샌프란시스코는 그 목마의 마구간이다. 미친 강간범의 전설적인 달콤한 얘기도 이것에 비하면 시대에 뒤떨어졌다. 바로 이 순간에도 공산주의 에이전트들은 케이블카를 타는 순진한 아이들에게 미국의 송어 낚시 평화 소책자들을 나누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