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헌정보학)] [목차]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 개요 ==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만든 분류법이다. [[듀이십진분류법]](DDC)과 함께 외국 도서에 적용하는 사용하는 자료 분류법의 양대 산맥을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는 DDC만으로도 전문도서 분류에 무리가 없어서 보통 대학도서관에서도 DDC를 사용하는 편이고, 해외에서는 보통 LCC를 학술전문으로, DDC를 공공도서관용으로 나눠서 사용한다. == 상세 == 약어로 'LCC'를 사용한다. 출판시도서목록(Catalog in Publication, 약칭 CIP)에도 찍혀나오며, 국내에서도 DDC나 KDC로는 세부분류가 힘든 KAIST 학술도서관의 경우 LCC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주로 과학분야의 연구소에서도 주로 사용한다. DDC나 [[한국십진분류법|KDC]]같은 십진분류와는 달리, 시작부터 알파벳으로 시작한다. 가령 문헌정보학은 Z번으로 시작. 10개의 항목으로 나누는 십진분류법에 비해, 학문에 대해 더 세밀하게 나눠놨다. 그래도 총 길이는 DDC와 비슷한 꼴. 다만 십진분류법처럼 아랫자리로 내려갈수록 생기는 계층성이 없어, 분류번호만 가지고 타 항목과 묶는 것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한다. DDC가 일개 대학에서 시작했다는 것에 비해, LCC는 미국의 국가 중앙 도서관인 [[미국 의회도서관]]에서 발행해 나갔다는 차이점이 있다. LCC를 미국의 각 대학에 보급한 결정적인 이유는 CIP(출판시도서목록). 초기의 CIP는 미국 의회도서관을 거치는 검열제로부터 시작했는데, 이 때 미 의회도서관의 사서들이 LCC를 CIP에 기록했고, 그것을 받은 각 도서관의 사서들이 ~~분류하기 귀찮아서~~ 그대로 적었다는게 통설. 여담으로, DDC의 편집기관이 미국 의회도서관으로 넘어간 이후로는 DDC 또한 CIP에 찍혀나오고 있다. LCC는 분류번호를 계층적으로 파고들어가기 어렵기에, 이를 위해 별도의 통제어[* 사용자가 일정 언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기능. [[리다이렉트]]?]를 적어둔 LCSH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이것도 영어고, 단어 to 단어로 연결되어 있기에 어느 단어를 상위로 찾느냐에 따라 분류번호가 산으로 갈린다. 주의하자. ~~그보다 그걸 찾아야 되는 사람이 여기서 위키질을 할 여력이 될까?~~ [[사서(직업)|사서]]직 공무원시험에 DDC나 KDC처럼 자세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반드시 1문제 이상은 반드시 나오는 항목. 공무원시험을 보려는 계획이 있으면 참고하자. == 기타 참조 == [[영어 위키백과]]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Library_of_Congress_Classification|색인]]을 볼 수 있다. [[분류:문헌정보학]][[분류:미국 의회도서관]][[분류:서지분류법]]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CC, version=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