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미겔(가수)|[[파일:miguel_logo.png|width=80]]]]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iguel___.jpg|width=100%]]}}}|| || '''본명''' ||Miguel Jontel Pimentel[br]미겔 존텔 피멘텔|| ||<|2> '''출생''' ||[[1985년]] [[10월 23일]] ([age(1985-10-23)]세)||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샌피드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싱어송라이터]], 레코드 프로듀서|| || '''장르''' ||[[컨템퍼러리 R&B|R&B]], [[얼터너티브 R&B|PBR&B]] || || '''소속''' ||[[RCA Records]]|| || '''데뷔''' ||2010년 1집 'All I Want Is You'|| || '''링크''' ||[[https://www.youtube.com/user/miguelvev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instagram.com/migue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iguel, 크기=20)] | [[https://www.facebook.com/miguelmusi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threads.net/@miguel|[[파일:Threads 아이콘.svg|width=20]]]]|| [목차] [clearfix] == 개요 == >"Don't ever sell yourself short for acceptance >Accept the new, don't linger on the past >Believe yourself, trust your intuition >You're here for a reason, you know." > >"사회의 인정을 받기 위해 너의 진심을 팔지 마 >새로운 것들을 받아들이고, 과거에 머무르지 마 >네 자신을 믿고, 그 직감을 믿어 >넌 이유가 있어 여기에 있는 거야, 알잖아." > >Miguel - A Beautiful Exit 中 미국의 R&B 가수, --댄서--[* 흑역사인 데뷔 뮤직비디오를 보면 [[어셔]]를 연상시키는 댄스가수로 활동을 했으며, 춤 실력도 꽤나 준수하다.]와 레코드 프로듀서. == 가수가 되기 전 ==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샌페드로에서 멕시코인 아버지와 흑인 어머니 밑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이름에서 알다시피 스페인식 작명. [[히스패닉]]계 미국인.] 아버지와 어머니의 음악 취향 ([[R&B|알앤비]], [[힙합 음악|힙합]], [[펑크(음악)|펑크(Funk)]], [[재즈]], [[락 음악|클래식 록]] 등)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그의 부모님은 그가 8살 때 이혼하였다. 5살때 춤의 매력에 빠져서 댄서가 되길 결심하는데, 13살에 음악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14살 삼촌이 사준 멀티트랙 레코더를 이용하며 작곡을 하기 시작했고, 친구의 추천을 받아 음악 프로덕션 회사에 들어가 학과는 때려치고 음악 외골수 인생을 시작하게 된다. == 가수로서 == 2004년에 블랙 아이스라는 레이블에 계약을 하고 라는 앨범 작업에 들어가는데, 'Getcha Hands Up'이라는 싱글 한 장만 내고 앨범은 보류되었다. 인터뷰에 따르면 레이블이 강요하는 이미지에 맞추는게 심리적으로 힘들었다고 고백을 했다. 본인도 흑역사를 쿨하게 인정하고 있다.[* "We shot a video, and if you ever see it, you will laugh your ass off. I have a fitted hat on and a white T-shirt and baggy jeans. I was 19 years old and it was the first time anyone had ever given me money" (뮤비도 찍었죠. 만약에 보시게 된다면 X나게 웃을거에요. 촌스러운 모자와 하얀 티셔츠차림을 하고있죠...)"] 레이블에서는 음악채널 106 & Park에서 싱글 데뷔를 시켜주기로 결정하지만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는지 레이블을 나가버린다. 2007년 자이브 레코드와 계약한 후 2010년 11월에 데뷔앨범 를 발매한다.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지만, 부족해도 너무나 부족한 홍보로 인해 빌보드 200차트에서 109위를 하고 3주만에 차트에서 순삭. 11,000장의 음반 판매량을 올렸다. 타이틀곡인 "All I Want Is You"와 싱글 "Quickie"가 라디오에서 플레이가 많이 되고, [[트레이 송즈]]와 [[어셔]]의 도움으로 투어를 돌게 되면서, 다시 빌보드 200에 진입하여 최고 34위까지 찍고 차트에 45주 동안 머무는 등 좋은 성과를 내었다. 앨범도 미국에서만 404,000장이 팔리게 되었다. 어쨌든 미겔은 이 앨범으로 어느정도 상업적으로 성공하게 되었지만, 2011년 자이브와 결별 후 그는 RCA 레코드와 계약하고, 2012년 평단의 찬사를 받은 정규 2집 Kaleidoscope Dream을 발매한다. 이때 부터 음악이 상당히 난해해지는데, R&B를 기본으로 사이키델릭 록, 펑크, 일렉트로니카 등 다양한 장르를 선보이며 비슷한 시기에 뜬 [[더 위켄드]]와 [[프랭크 오션]]과 함께 PBR&B라는 장르를 주류로 끌어올린다. 앞의 둘과는 달리 [[프린스(음악가)|프린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스타일을 갖고 있다. 현지에서도 가끔 '포스트 프린스'라고 불릴 정도. 현지에서 [[프랭크 오션]]과는 라이벌 기믹이 있다. 2015년에 미겔이 "존중하지 않으려는 건 아니지만 내가 프랭크 오션보다 더 나은 음악을 한다. 모든 면에서" 라고 발언한 것이 가장 유명하다. 2017년에는 본인은 오션의 음악과 창조성의 팬이며 [[Blonde|그 발언에 대해 후회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사실 2000년대 후반에 둘은 아주 친했다고 했다. 하지만 지금은 무슨 일 때문인지 몰라도 "솔직히 말해 친구는 아닌 사이"가 되었다고. 2015년 정규 3집 Wildheart를 발매했다. 항상 그랬듯 평단과 대중의 반응 모두 커리어 최고작이라는 평. 2017년 정규 4집 War & Leisure를 발매했다. 전작들에 비해 상당히 힘뺀 음악이 특징이다. 이 앨범도 언제나 그랬듯이 평단의 찬사를 받았지만 빌보드 200에서 최고 순위 9위에 그치는 등 세일즈에 있어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 여담 == * 2015년에 첫 내한공연을 했다. 10월 30일, 서울 세종대학교 대양홀 및 11월 1일, 대구 엑스코 전시 1홀에서 진행되었다. [[https://youtu.be/ePTdBxpK50g|#]] * 2019년 오프 루트 페스트 2019에 초청되어 두번째 내한공연을 했다. 하입비스트와 인터뷰도 가졌다. [[https://hypebeast.kr/2019/10/street-snaps-miguel-interview-off-route-fest-seoul|#]]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음반 === ==== '''All I Want Is You (2010)''' ==== ||<-2>
'''{{{+1 ''{{{#fff All I Want Is You}}}''}}}'''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guel_all_i_want_is_you.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0. 11. 30.}}}''' || || '''{{{#fff 트랙}}}''' || '''{{{#fff 곡명}}}''' || || 1 || '''Sure Thing''' || || 2 || All I Want Is You[br]{{{-2 (Feat. [[J. Cole]])}}} || || 3 || Girl With The Tattoo (Enter.lewd) || || 4 || Pay Me || || 5 || Quickie || || 6 || Girls Like You || || 7 || Overload (Enter.lewd) || || 8 || Hard Way || || 9 || Teach Me || || 10 || Hero || || 11 || Vixen || || 12 || To The Moon || || 13 || My Piece || ==== '''Kaleidoscope Dream (2012)'''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00대 힙합/R&B 명반, 순위=53)]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9)] ||<-2>
'''{{{+1 ''{{{#392f36 Kaleidoscope Drea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guel_kaledioscope_dream.jpg|width=100%]]}}} || ||<-2> '''{{{#392f36 발매 : 2012. 09. 25.}}}''' || || '''{{{#392f36 트랙}}}''' || '''{{{#392f36 곡명}}}''' || || 1 || '''Adorn''' || || 2 || Don't Look Back || || 3 || '''Use Me''' || || 4 || Do You... || || 5 || Kaleidoscope Dream || || 6 || The Thrill || || 7 || How Many Drinks? || || 8 || Where's the Fun in Forever || || 9 || Arch & Point || || 10 || Pussy Is Mine || || 11 || Candles in the Sun || ||<-2> '''{{{#392f36 아이튠즈 보너스 트랙}}}''' || || 12 || Adorn (Remix)[br]{{{-2 (Feat. [[Wiz Khalifa]])}}} || ||<-2> '''{{{#392f36 UK 보너스 트랙}}}''' || || 13 || Gravity || || 14 || ...All || || 15 || Adorn (Remix)[br]{{{-2 (Feat. [[Wiz Khalifa]])}}} || ||<-2> '''{{{#392f36 인터네셔널 보너스 트랙}}}''' || || 16 || How Many Drinks (Remix)[br]{{{-2 (Feat. [[Kendrick Lamar]])}}} || ==== '''Wildheart (2015)''' ==== ||<-2>
'''{{{+1 ''{{{#fff Wildhear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guel_wildheart.jpg|width=100%]]}}} || ||<-2> '''{{{#fff 발매 : 2015. 06. 29.}}}''' || || '''{{{#fff 트랙}}}''' || '''{{{#fff 곡명}}}''' || || 1 || A Beautiful Exit || || 2 || Deal || || 3 || The Valley || || 4 || '''Coffee''' || || 5 || NWA[br]{{{-2 (Feat. Kurupt)}}} || || 6 || '''Waves''' || || 7 || '''What's Normal Anyway''' || || 8 || '''Hollywood Dreams''' || || 9 || Destinado a Morir (Enter.lewd) || || 10 || '''...Goingtohell''' || || 11 || Flesh || || 12 || '''Leaves''' || || 13 || Face the Sun[br]{{{-2 (Feat. Lenny Kravitz)}}} || ||<-2> '''{{{#fff 디럭스 버전[* 스탠다드 버전의 1~8번 트랙과 같음.]}}}''' || || 9 || ...Goingtohell || || 10 || Flesh || || 11 || Leaves || || 12 || Face the Sun[br]{{{-2 (Feat. Lenny Kravitz)}}} || || 13 || GFG || || 14 || Destinado a Morir || || 15 || Simple Things || || 16 || Damned || ||<-2> '''{{{#fff 일본 보너스 트랙}}}''' || || 17 || Coffee (Fucking)[br]{{{-2 (Feat. Wale)}}} || ==== '''War & Leisure (2017)''' ==== ||<-2>
'''{{{+1 ''{{{#7e2636 War & Leisur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guel_war&leisure.jpg|width=100%]]}}} || ||<-2> '''{{{#7e2636 발매 : 2017. 12. 01.}}}''' || || '''{{{#7e2636 트랙}}}''' || '''{{{#7e2636 곡명}}}''' || || 1 || Criminal[br]{{{-2 (Feat. [[Rick Ross]])}}} || || 2 || '''Pineapple Skies''' || || 3 || '''Sky Walker'''[br]{{{-2 (Feat. [[Travis Scott]])}}} || || 4 || '''Banana Clip''' || || 5 || Wolf[br]{{{-2 (Feat. Quiñ)}}} || || 6 || Harem || || 7 || Told You So || || 8 || City of Angels || || 9 || Caramelo Duro[br]{{{-2 (Feat. [[Kali Uchis]])}}} || || 10 || '''Come Through and Chill'''[br]{{{-2 (Feat. [[J. Cole]] and Salaam Remi)}}} || || 11 || Anointed || || 12 || Now || [[분류:1985년 출생]][[분류:2010년 데뷔]][[분류:미국의 R&B 가수]][[분류:미국 남가수]][[분류:샌피드로(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멕시코계 미국인]][[분류:아프리카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