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연예가 중계)] [include(틀:음악방송 편성표)] [include(틀:KBS 2TV 예능)]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svg|width=50]]]] '''{{{#FBB800 금요일 프로그램}}}''' || || '''이전''' || '''ON AIR''' || '''다음''' || || 16:00~17:10 || 17:10~18:35 || 18:35~19:50 || || [[불후의 명곡]] 스폐셜 || '''뮤직뱅크''' || [[2TV 생생정보]] || ||<-4>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2 {{{#!html 뮤직뱅크}}}}}}'''[br]'''{{{#!html MUSIC BANK}}}'''}}}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usic Bank banner.jpg|width=100%]]}}} || || '''방송 시간''' ||<-3>[[금요일]] 오후 17:10 ~ 18:35 || || '''방송 기간''' ||<-3>[[1998년]] [[6월 16일]] ~ [include(틀:온에어 표시)] || ||<|2> '''채널''' ||<-3>[[KBS 2TV]] || ||<-3>{{{#!folding [ 기타 채널 ] [[KBS World]][* 아시아, 유럽, 북미, 아프리카 포함 전 세계 142개국 생방송]}}} || || '''장르''' ||<-3>[[음악]] || || '''CP''' ||<-3>하태석|| || '''프로듀서''' ||<-3>유정아|| || '''연출''' ||<-3>신수정, 이정욱 || || '''조연출''' ||<-3>김지수 || || '''작가''' ||<-3>김지은, 강윤정, 유혜리, 황예린 || || '''진행''' ||<-3>[[문상민]], [[홍은채]] || ||<|2> '''최다 1위 가수''' ||<-3>남성: [[조용필]] (71회) || ||<-3>여성: [[소녀시대]] (42회) ||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ffffff '''시청 등급'''}}}]] ||<-3>[[15세 이용가|[[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2]]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373a3c ,,(폭력성, 선정성, 언어),,}}} || || '''스트리밍''' ||<-3>[include(틀:wavve 표시)] [[https://www.wavve.com/player/vod?programid=K02_T2000-0027&history=season|▶]] || || '''링크''' ||<-3>[[https://program.kbs.co.kr/2tv/enter/musicbank/pc/index.html|[[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BSMusicBank, 크기=22)] | [[http://tv.naver.com/musicbank|[[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2]]]] | [[https://tv.kakao.com/channel/2653335/info|[[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진화하는 K-POP, 한류 열풍의 중심! 전 세계인과 함께하는 생방송 뮤직~뱅크!''' >'''음악이 필요할 땐, 생방송 뮤직~뱅크!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KBS 2TV]]에서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10분에 방송되는, [[가요톱10]]의 뒤를 잇는 대중음악 순위 프로그램이다. [[1998년]] [[6월 16일]] 시작한 이래 [[2024년]] [[2월 23일]]기준 1195회가 방송되었으며 [[KBS 2TV]] 1990년대 KBS에서 방영됐었던 예능 프로그램 중에서 유일하게 단 한번도 종영하지 않고 꾸준히 방영 중인 [[예능 프로그램]]이다.[* 다만 뮤직뱅크가 음악 순위 프로그램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전체 예능 프로그램 중 가장 긴 방송 기간을 비교하는 것은 무리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현재 방영 중인 KBS 예능 프로그램 중 최장수는 [[개그콘서트]]다.] 현 MC('''은행장''')는 배우 [[문상민]]과 [[LE SSERAFIM]]의 멤버 [[홍은채]]이다. == 역사 == 뮤직뱅크의 전신이라 볼 수 있는 [[가요톱10]]이 종영된 이유가 참 어처구니가 없었는데, '''"[[IMF]] [[외환 위기]](구제금융) 당시에 [[전시행정|국민이 절망에 빠져 있는데]] [[국영방송|연예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라는 말도 안 되는 명분을 내세워서 '''강제 종영했다.''' 사실 IMF 외환위기의 여파로 광고수입이 줄어들기 시작하자 KBS에서 제작비를 감축하려고 했고, 제작비와 출연료가 많이 드는 프로그램을 다수 날렸는데, 이걸 포장해야되니 공익성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던 것이었다.[* 만약 가요톱10이 종영하지 않고 현재까지 존재했더라면 최장수 가요 프로그램으로 남았을 것이다. 다만 2000년대 초반 순위제 논란으로 종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렇지만 문제는 개편 과정에서 가요톱10이 시청률이 상당히 높은 인기 프로그램이었다는 것을 철저하게 간과했다는 점이었다. KBS에서는 땜빵용으로 <[[브라보 신세대]]>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방송했지만 브라보 신세대는 타 대중가요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점도 없었으며, 기존에 가요톱10을 즐겨봤던 시청자들도 정을 못붙이니 시청률이 저조했고, 안 그래도 줄어들었던 광고는 더욱 없어져버렸다. 이러한 행태는 1994년에 [[젊음의 행진]]을 날리고 나서 청소년 열린음악회로 대체한 것과 판박이였는데 후속 프로그램이 망해버린 것도 비슷하다. 그래서 [[가요톱10]]과 비슷한 형식의 음악프로그램을 재신설하기로 했다. [[1998년]] [[6월 16일]]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방송을 하고 있다. 이제는 뮤직뱅크가 가요톱10보다 장수한 프로그램이 되었다.[* [[가요톱10]]이 총 852회 방영되었는데, 뮤직뱅크가 [[2016년]] [[9월 9일]] 방송을 시점으로 가요톱10의 방송 횟수 기록을 넘어서게 되었다.] 뮤직뱅크는 지상파 3사 음악 방송 중 유일하게 국내에서 유튜브로 다시 볼 수 있었으며 매주 월요일에 풀 버전 방송이 올라왔다. [[쇼! 음악중심]]이나 [[SBS 인기가요]]도 서비스를 했었으나 2014년 12월, 광고 수입의 90%를 받는 조건으로 네이버TV로 옮겨 서비스를 시작했다. 단, 국내 한정이며 해외에서는 멀쩡히 유튜브로 시청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국내 이용자들은 해당 방송의 무대를 볼 때 15초 광고를 강제로 시청해야한다. 그리고 2015년 12월부터 뮤직뱅크도 국내 유튜브 다시보기 서비스가 중단되어 마찬가지로 네이버TV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음악 방송 중에선 가요톱10에 이어 립싱크 표시를 했던 방송이다. 립싱크 표시는 1999년 중반부터 2001년 11월 22일 방송분까지 시디가 돌아가는 표시 밑에다 립싱크라고 표기했다.[* 초창기 때는 가요톱10처럼 테이프가 돌아가는 모양으로 립싱크를 표시했으며, 1999년 중반 립싱크 표시가 CD 모양으로 바뀌면서 라이브 표시도 하기 시작했다. 가끔씩 립싱크 무대인데도 립싱크 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부분 립싱크 무대의 경우에는 라이브 표시를 한다. 2000년 하반기부터는 립싱크와 라이브 표시의 노출 시간이 짧아졌다.] 1998년부터 2007년까지 쓰였던 오프닝/엔딩 BGM은 [youtube(BGbt5rgHtEM)][* 여담으로, 이 곡은 황우석 사태 당시 PD수첩의 예고 음악으로 등장한 적이 있으며 [[쇼! 뮤직탱크]]의 1998~2002년 오프닝 앞부분에도 잠시 쓰이기도 했다.], [youtube(_jNDAt08pQs)], [youtube(xR9vrZ8ImZ4)], [youtube(5FiFdhv4S4g)], 1998년 당시 오프닝에는 가요톱10의 후속 프로그램임을 나타내기 위해서인지 뮤직뱅크 '''TOP10'''이라는 제목이 쓰였다. 그런데 뜬금없이 [[https://www.youtube.com/watch?v=Nq1ROLgNL0Q|2015년 7월 3일]]에 이 오프닝 음악을 사용하다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왔다. 7월 10일 방송분부터는 "뮤직뱅크~!!!"라고 크게 외치는 목소리로 바뀌었다. [youtube(2DYs52AFslw)] [youtube(GtuFFONMzA0)] 위 영상은 2016년 12월 23일에 방영된 2016 하반기 결산 특집, 아래 영상은 2017년 6월 30일에 방영된 2017 상반기 결산 특집 오프닝이다. 초기 오프닝을 깨알같이 재현했으며, 당시 방영 내용도 과거 글씨체를 쓰거나 립싱크 표시도 재현했다. 한국 연예인이 인기 있는 중화권에서는 '''음악은행(音乐银行 / 音樂銀行)'''으로 통한다. KBS 신관 공개홀이나 KBS 별관에서 [[HD]]와 [[UHD]] [[생방송]]으로 동시송출되며[* 이것은 [[가요톱10]] 시절부터 20여 년 동안 계속 진행하고 있다.] 예전에는 [[인천]] 세계도시축전과 같은 야외에서 진행되는 공개 방송은 주로 녹화로 진행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대부분 생방송으로 진행된다. [[2010년]] [[8월]]부터 [[위성방송]] KBS 월드를 통해 전 세계 54개국에 동시 생방송을 시작하였고, [[2011년]] [[7월 1일]] 방송부터는 72개국을 대상으로, [[2012년]] [[1월 6일]] 방송부터는 73개국을 대상으로 동시 생방송되었다. [[2013년]] [[1월 4일]] 방송부터는 전 세계 87개국에 동시 생방송되었고, 동년 [[3월 15일]] 방송부터 한 개국 늘어 88개국에 생방송되었다. [[2014년]] [[1월 3일]] 방송부터는 전 세계 '''114개국'''에 동시 생방송되'''었'''다. 그러다가 [[2015년]] [[11월 27일]]부터 '''100개국'''으로 줄어들었다. [[2017년]] [[3월 31일]]부터 '''117개국'''을 대상으로 생방송한다. [[2010년]] [[7월 23일]] 방송분부터 선정성의 문제로 인해 타사의 음악 방송과 함께 [[영상물 등급 제도|시청 등급]]이 12세에서 15세로 상향 조정되었다. 재방송은 [[KBS 월드]]에서 하고 있다. 다른 두 지상파 음악 방송에 비해 방영 시간대 변화가 가장 잦았던 프로그램이었다. 원래 시작이었던 1998년에는 전신이었던 [[가요톱10]]처럼 저녁 황금 시간대였던 화요일 저녁 7시에 시작했으나[* 가요톱10은 수요일 저녁 7시 또는 밤 8시 늦은 시간에 시작했었다.] 2000년 10월부터는 목요일 저녁 7시로, 2003년에는 금요일 저녁 7시로 옮겼다가 가요계의 불황과 시청률 하락 문제로 2005년부터는 가장 최악이었던 시간대인 일요일 낮 1시로 옮겨 생방송이 아닌 녹화방송으로 진행됐으며 이후 2007년 9월, 다시 금요일 저녁 시간대로 이동하며 생방송으로 전환되었고 그 시간대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지상파 3사 음악 방송들 중 가장 늦은 2007년 9월부터 [[HD]] 방송을 시작했다. [[생방송 음악캠프]]와 [[SBS 인기가요]]가 [[2002년]]부터 HD 방송을 시작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늦은 편이다.[* 그 이유는 KBS 신관 공개홀이 1988년에 준공 후 2000년 방송시설을 리모델링 했는데 당시에 HD 방송의 개시를 대비하지 않은 탓에 SD 장비를 구비하였기 때문이다([[http://iaudience.kbs.co.kr/boardView2.do?id=460¤tPage=1&totalCnt=7&countPerPage=10&title=공개홀&list_jsp_url=front/viewerOpinion/producerAnswerList&view_jsp_url=front/viewerOpinion/producerAnswerView&con_len=30&new_dt=1&btn_fg=Y&searchType=2|제작진의 답변]]) 이 때문에 같은 신관 공개홀에서 녹화한 [[윤도현의 러브레터]]와 [[개그콘서트]]도 HD 방송을 각각 2007년 8월 26일, 9월 7일부터 시작했다. 사실 신관 공개홀보다 오래된 별관 공개홀은 2003년에 리모델링하여 HD 장비를 구비하여 2003 KBS 연예대상부터 HD로 생중계해 이후 [[가요무대]]와 [[콘서트 7080]], [[비타민(KBS)]]을 HD로 제작했고 1991년 준공된 KBS홀은 2001년 리모델링 과정에서 HD 장비를 들여놓고 [[열린음악회]]를 HD로 제작했다.] 2012년 1월 셋째 주 방송부터 야외 무대를 갖는 코너를 4주 연속으로 방송하기도 했으며, 첫 주에 등장한 아이유와 연세대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제외하곤 인디 음악 위주로 소개했다. 아무래도 2011년에 방송했던 뮤비 형식의 무대와 [[쇼! 음악중심]]의 야외 무대를 참고한 듯하다. 2012년과 2016년 ~ 2017년 총파업 전 까지 곡 제목 자막에 [[지니뮤직]] PPL 광고를 제공했다. 초창기에는 [[립싱크]] 공연을 하는 경우가 많았고, 방송사에 문제가 발생해 어쩔 수 없이 출연자들이 립싱크를 한 적도 있지만[* 2013년 9월 27일과 11월 29일과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에 노조 총파업으로 음향 담당 인력에도 공백이 생겨 출연 가수 전부 립싱크를 해야했다.], 음향 시설이 좋고 보컬이 부각되게 조정하며 가수에 따라 리허설에서 사전 녹음을 해 영상에 씌우는 방식도 택하기 때문에 목소리 전달이 잘 되는 편이다. 그리고 다른 음악 방송들은 야외로 진행할 때 주로 녹화 방송으로 하는 데 비해, 뮤직뱅크는 어디를 가도 대부분 생방송으로 진행한다. [[2014년]] [[10월 3일]] 오송 엑스포, [[2015년]] [[10월 9일]] [[DDP]], [[10월 16일]] '''[[인천국제공항]]의 잔디 광장''', [[2016년]] [[11월 18일]]에는 '''[[경주시]]'''에서 생방송으로 진행했다. 세트는 여러모로 부족하다는 반응이 많았는데 2016년 이후로 거대한 세트도 자주 보이고 퀄리티도 꽤나 높아졌다. 특히 웬만한 무대는 뒷배경을 [[LED]]로 때우는 경우가 많아 깍두기 현상[* 디지털 방송 특성상 강한 빛이 피사체 뒤에 뜨면 한정된 데이터 송출로 인해 정작 중요한 가수의 모습이 모자이크처럼 일그러진다.]도 심했는데 요즘엔 카메라 초점을 가수에게 맞춰서 LED로 인한 깍두기 현상이 예전만큼 심하지는 않다. [[음악방송 LED 테러]] 항목 참조. 참고로 지상파 3사 중에서 세트 높이가 가장 낮다.[* 다만 상반기나 연말 결산 특집, 야외무대는 예외. 아주 드물지만 어쩌다 한 번 높을 때도 있다.] 그리고 2018년 11월 30일부터 '''스탠딩석'''으로 추가되어 세트 높이가 높으며 2019년 2월경부터 '''스탠딩석'''이 사라지고 2018년 11월 30일 이전처럼 무대 세트 높이가 낮아졌다. 그리고 '''카메라 워크''' 부분은 모든 가수 팬들에게 악평을 받는 단점으로 손꼽히는데, 노래의 분위기나 안무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그냥 전환하는 방식인데다 테크닉도 딱딱하고 밋밋해서 '발카메라'로 불리고 있다. 특히 풀샷과 클로즈업 같은 경우 이유가 궁금할 정도로 실시간으로 줌이 계속 흐느적거리는데, '''고의로 그렇게 찍는 듯하다.''' 특히 워너원의 에너제틱 컴백 무대 때 줌인과 줌아웃이 엄청 심해서 역대급 발캠이라고 팬들에게 신명나게 까였다. [[http://tv.naver.com/v/1991586]] 그런데 무슨 일인지 2018년 5월 4일 방송부터 카메라 워킹이 깔끔해졌다. 5월 4일에는 지미집이나 그 외 풀샷이 안정적이었는데, 개인 샷은 여전히 줌이 흐느적거렸다. 하지만 5월 11일에는 개인 샷도 흔들림 없이 깔끔해졌다. 줌이 흐느적거리는 것도 사라졌고 흔들림도 전보다 많이 개선되었다. 2011년 11월 초까지 음악 방송 중에서 유일하게 MC가 아이돌이 아니었다. 2010년 11월 말까지 [[송중기]]와 [[서효림]]이 담당했고, 이후 [[현우(배우)|현우]]와 [[김민지(배우)|김민지]]로 교체되어 11개월 동안 이어졌다. 이후 스페셜 MC들을 거쳐서 2012년 1월 6일부터 [[이장우(배우)|이장우]]와 [[유이(배우)|유이]]가 정식 MC로 확정되면서 다시 아이돌 MC를 쓰기 시작했다. 이후 뮤직뱅크 MC는 배우+가수의 조합이 공식이 되었다. 2016년 7월에 [[강민혁(CNBLUE)|강민혁]]과 [[솔빈]]이 새 MC가 되면서 이 공식이 잠깐 깨졌으나 [[강민혁(CNBLUE)|강민혁]]이 하차하고 [[이서원]]이 새 MC가 되면서 다시 배우+가수 조합 공식이 이어졌다. 그러나 2018년 5월 16일 [[이서원]]이 성추행 및 협박 사건으로 인해서 하차하면서 2018년 5월 18일부터 6월 8일까지 스페셜 MC들을 쓰면서 다시 아이돌 MC를 썼으나 2018년 6월 15일에는 배우+가수 MC를 진행했고 2020년 7월 24일에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과 [[아린]]이 정식 MC를 쓰게 되면 또다시 아이돌 MC를 쓰게 되었다. 이후 2022년 9월 [[이채민(2000)|이채민]]이, 2024년 5월 [[문상민]]이 MC를 맡으면서 다시 배우+가수 조합이 이뤄졌다. 현재 아이돌을 MC로 쓰지 않는 음악 방송은 없으며 과거엔 [[김신영]]이 단독으로 진행하는 [[쇼챔피언]]이 있었고 뮤직뱅크에서 코미디언 출신인 [[이휘재]]와 [[개그콘서트]] 출신 [[유세윤]]이 있다. 2017년 9월부터는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KBS 노조파업]] 여파로 현직 연출들이 전부 손을 놓아 버리면서 부장급[* 그냥 부장급들이 아니다. 뮤직뱅크라는 프로그램 자체를 만드신 분들이다.]들이 연출하게 되는 일이 발생했는데 되려 아이돌 팬덤에서는 '''"연출도 카메라도 전체적으로 좋아졌다'''"면서 호평이 자자했다. 역시 짬은 무시하지 못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fOcRO1guRAE|아예 댓글모음 영상도 만들어졌다.]] 2018년 3월부터는 각 무대 멤버 개인별 직캠 영상이 업로드되고 있으며[* 단체 직캠 하나, 멤버 2명의 개인직캠으로 항상 동일하다.] 국내에서는 [[네이버TV]]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일부 영상 한정으로 [[V LIVE]]에서도 볼 수 있다. [[네이버TV]]에는 금일 무대 영상이 다 올라오는 대로 모두 업로드되고, [[V LIVE]]에서는 월요일에 업로드된다. 2019년 5월 24일 로고가 교체되었으며 이전 로고 화면 색감이 더 밝아졌다. 2019년 10월 18일 1,000회를 맞이했다. 2020년 새해부터 음원 사이트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PPL을 곡 제목 자막에 제공하고 있다. 지상파 음악 순위 프로그램 중에 가장 마지막에 멜론 광고를 시행한 것으로[* 인기가요(2010년~2023년), 음악중심(2014~2018년), 뮤직뱅크(2020년 ~) 순서다.], 이로써 모든 지상파 음악 방송들은 멜론 광고를 시행하였거나 진행 중이다. == [[간접광고]]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br]'''{{{#000 간접 광고}}}'''}}} || || '''{{{#fff 시기}}}''' || '''{{{#fff PPL}}}''' || || 2012. 05. ~ 2013. 01, 2016. 02. ~ 2017. 10. || [[지니뮤직]] || || 2020. 01. ~ '''현재''' || [[멜론(음원 서비스)|멜론]][* 지니뮤직의 총합 PPL 기간인 2년 4개월에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최장 기간 받고 있는 간접광고이다.] || 2010년, 지상파 [[간접광고]]가 허용되면서 [[쇼! 음악중심]]과 [[SBS 인기가요]]가 차례대로 간접광고를 받기 시작하고 뮤직뱅크도 2012년부터 [[지니뮤직]]을 통해 간접광고를 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2013년 1월부터 PPL이 일시 중단 되었다가 2016년 2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다시 지니뮤직을 통해 간접광고를 받았다. 현재는 2020년 1월부터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을 통해 간접광고를 받고 있다. == 순위제 변천사 == 초창기에는 [[화요일]] 저녁 시간대에 방영되었고 ARS 투표를 실시해서 최다 득표를 받은 출연 가수를 그 주의 MVP로 선정하는 형식의 프로그램이었다.[* 가끔씩 팀전(영스타, 빅스타)으로 MVP를 가리는 경우도 있었다.][* 매달 마지막 주는 차트제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상위 2, 3팀은 예전과 마찬가지로 전화 투표를 통해 1위를 가리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뒤로는 무제한으로 1위를 수여하는 차트 형식을 적용했다. 2000년 10월 12일부터 2001년 8월 2일까지 약 1년 간, [[가요톱10]]의 전통을 살리기 위해 3주 연속 1위를 한 곡에게는 골든컵을 시상하는 명예 졸업 제도가 도입되었다. 2001년 8월 9일에는 순위제가 중단되고 공연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초창기에는 리퀘스트 형식으로 진행되기도 했다. 2007년 9월 7일 방송분부터[* 2003년 9월 3주부터 두 달간 ARS MVP 제도가 시행되었다.] '[[케이 차트]](K-Chart)'라는 순위제로 부활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매주 '''디지털 음원(60%) + 음반 판매(5%) + 방송 횟수(20%) + 글로벌 K-POP 팬 투표 점수(10%) + 소셜 미디어 점수(5%)'''의 점수를 합산하여 1위에서 50위까지의 순위를 결정하고, 1~20위까지에 한해 점수를 공개한다. 한때는 유일하게 점수를 공개하는 음악 방송 차트였으나 2013년부터는 [[SBS 인기가요]]와 [[쇼! 음악중심]] 역시 점수를 공개하고 있다. 2011년 11월 개편 때 방송 점수에서 라디오 방송 횟수를 제외하고 난 후 예능국이 방송 점수를 무기화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신뢰도를 제 손으로 안드로메다로 보내 버렸고, "방점뱅크"라고 불리면서 가루가 되도록 까인다. 다만, 집계 방식에 대해서는 가장 투명하게 공개하는 차트이기는 하며, 방송 점수 문제가 제대로 해결된다면 이상적인 차트가 될 수도 있다. 2013년 8월 5주차부터는 방송 점수가 회당 150점 내외로 대폭 낮아졌다. 아무래도 세부 집계 기준을 변경한 듯 보인다. 음원 및 선호도 점수까지 전체적으로 하향 평준화되었다. 음원 순위 1~100위까지만 표본을 추려서 점유율 상대평가로 총점을 집계했던 기존의 순위 산정 방식을 변경하여, 표본을 더 넓힌 것으로 보인다. 음원 및 선호도 점수의 변별력이 약화되면서, 다시 음반 점수에서 강세를 나타내는 가수들이 유리해지기 시작했다. 2007년 9월 7일 이후 현재까지, 한 곡이 제한 없이 1위를 계속 할 수 있어서[* [[쇼! 음악중심]]도 무제한 형식이긴 하지만 발매된 후 3개월까지 차트에 들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12회까지 가능하며, 2021년 2월 27일부터 5주 연속 (2022년부터는 통산 5주)까지만 가능하도록 바뀌었다가 2024년 4월 13일부터는 여타 음악방송과 마찬가지로 트리플 크라운으로 변경되었다.], 대형 히트곡은 장기간 1위를 하기도 했다. 예컨대, [[소녀시대]]의 [[Gee]]는 9주 연속 1위를 하면서 아이돌 그룹 단일곡 최다 1위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고, [[싸이]]의 [[강남스타일]]은 10주 연속 1위, 통산 16주 1위로 단일곡으로서는 가장 많은 1위를 차지했다.[* 다만 강남스타일의 경우 당시 방송 점수 집계 방식 문제로 인해 후반부 들어서 비판의 소리가 들리기도 했다.] 또한 발매 기간에 제한을 두는 음중과 달리 뮤뱅에서는 그런 제한이 없어서 역주행을 하는 경우가 벌어지는데, 2000년에 발매된 임재범의 너를 위해가 1위 후보까지, 2013년에 발매된 EXO의 첫 눈이 약 10년 뒤에 1위까지 한 바가 있다. 아울러 2024년 기준으로 지상파 방송 중에선 유일하게 결방이 되도 순위를 집계하는 음악방송이다. 최근에는 음반 점수, 방송 점수 때문에 KBS 방송 출연을 많이 하지 않는 이상 3주 이상 연속 1위조차 하기가 힘들어졌다. 3사 방송 차트 중 음원 강자들이 가장 불리한 차트.[* 반대로 [[SBS 인기가요]]는 아이돌, 특히 보이그룹의 무덤이며 음원 강자가 초강세를 이룬다. [[쇼! 음악중심]]은 두가지가 짬뽕된 형태라 모든 음악 방송을 통틀어 최고난도를 자랑한다.] 여기에 지나치게 높고 기준을 알 수 없는 방송 점수 비중 때문에 비판이 많다. 2022년 12월 1주차 음원 점수 없이도 방송 점수만으로 신인 그룹에 1위를 넘기는 경우까지 생기면서 공정성 논란에 기름을 부었다. === 공정성 논란 === * 지나치게 아이돌 가수들, 특히 남자 아이돌에게 유리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는 가요계 아이돌의 영향력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음반 점수 탓이 크다. 점수 산정 방식 때문에 반영 비율 65%인 음원 점수를 반영 비율 5%인 음반 점수가 압도할 수 있다.[* [[쇼! 음악중심]], [[SBS 인기가요]]처럼 차등 점유율 방식이 아닌 단순 점유율 집계라서 더더욱 그렇다.] 음원 점수 총점은 130,000점, 음반 점수 총점은 10,000점이니 얼핏 보면 음반 점수의 비중이 작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음원 점수는 주간 순위가 아무리 상위권이더라도 점유율 2~3%도 어려워 3,000점을 넘기기 힘들지만, 1주차에 구매가 집중되는 음반 점수는 주간 1위의 경우 30%를 넘기는 경우가 부지기수라 손쉽게 3,000점을 넘긴다. 특히 남자 아이돌의 경우 50%를 넘겨 5,000점 이상을 가져가는 경우도 많고, 심지어 70%를 넘겨 7000점을 넘게 가져가는 경우도 있다. '''팬들의 집중적인 구매로 일시적으로 반짝 높아지는 음반 점수가 1위 선정에 미치는 영향이 지나치게 큰 것'''이다. 그래서 1주차에 1위를 했던 곡이 2주차에는 상위권에도 제대로 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새로 컴백하는 가수의 곡으로 1위가 바뀌는 일명 '1위 나눠주기' 현상이 벌어지곤 한다. 이러한 허점을 노린 일부 소속사가 음반 사재기를 하여 [[/K-차트|K-차트]]의 신뢰성을 흔들고 있다. '음반뱅크'라는 멸칭도 있다. 2022년 2월 25일 K-차트 개편 이후 편중이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오히려 음원 점수가 60% 반영(총점 120,000점)으로 낮아지고 음반 점수는 5% 반영(총점 10,000점)으로 유지되면서 '''이전보다 음반 점수 편중 현상이 오히려 더 심해졌다.'' * 사실 음반 점수로 인해 공정성 논란이 발생하는 것은 대한민국 가요계가 급격하게 음원 시장 위주로 재편되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2012년의 나얼 1집처럼 음반을 사는 매니아층이 꽤 존재하는 비아이돌 가수의 경우는 음원 점수와 더불어 음반 점수가 꽤 잘 나오기도 한다는 점[* 하지만 그 나얼은 방송 점수 때문에 결국 1위를 하지 못 했다.]을 들어 뮤직뱅크의 음반 점수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기도 하지만, 대중들이 음반을 잘 구매하지 않는 상황에서 음반 점수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으면 차트가 곡의 실제 인기를 반영하지 못하게 된다. 전문가들도 이러한 점을 수차례 지적해 왔다. 2020년대 들어서면서 음원 점수가 두 자릿수대[* 2021년 12월 1주차에는 음원 점수 한 자릿수대인 곡이 1위를 차지하기도 하였다.]인 곡들이, 가수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팬들의 구매 때문에 음반 점수가 높아져 1위를 하는 곡들이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실제 인기를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차트가 되고 말았다. 음악 방송 차트가 '''음악의 인기 순위를 매기는 것이지, 가수의 인기 순위를 매기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주객이 전도된 셈이다. * 과거 음반 점수 논란 때문에 음반 점수 비율을 낮추니 방송 점수로 순위가 뒤바뀌는 경우가 자주 생기고 있다. 방송 점수는 KBS 지상파에서의 송출 횟수만 반영하기 때문에[* 예전에는 지상파 3사에서 나오는 것도 집계를 한 데다가 라디오 송출 횟수도 반영하면서 선호도 점수처럼 등락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이의 제기도 많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KBS 방송 송출만 집계하는 것으로 바뀌고 라디오 송출 횟수까지 제외하면서 문제가 된 것.] 아이돌 기획사들이 1위를 위해 방송 점수를 주는 KBS 예능에 출연하던가, '뮤직뱅크 in 파리' 같은 KBS의 프로젝트에 동참하게 된다. 실제로 방송 점수 비중이 높아졌던 2011년 11월에 '스타 인생극장' 이라는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한 주마다 출연하는 아이돌들의 음악을 많이 틀어줘서 사실상 방송 점수를 올려 줬던 사례가 있다. 당시 KBS랑 사이가 좋지 않던 YG 소속의 가수들이 KBS 방송 참여가 힘들다는 사실을 알고 견제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반영 비중을 높였다는 설도 있을 정도로 이런 식의 방송 점수 부여는 자주 비판받고 있다. 덕분에 한때 방점뱅크라고 까이기도 했다. * 2012년 일명 '''"방점뱅크"''' 논란이 [[싸이]]의 [[강남스타일]] 열풍에 따른 방송 점수 폭발로 다시 주목을 받았는데, 이에 대한 견해는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이 여파로 뮤직뱅크에서 16주간 1위를 차지하게 되었는데 대부분이 방송 점수에 의한 1위였다는게 문제였다. 이는 2017년 4월 21일과 28일에 아이유가 1위를 하지 못한 부분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 공정성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에서는 물론 과도한 뉴스 보도로 인해서 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을 가지고 방송 점수가 과다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더구나 다른 아이돌이 방점을 얻는 것은 비판하면서 싸이가 방점을 얻는 것은 비판하지 않는 것을 이중 잣대라 하는 것은 말이 안되는데, 여타 가수들이 지금까지 비판받았던 예능 후 뮤직비디오와 같은 방법으로 방송 점수를 높이는 반면 강남스타일은 지금까지 비판받지 않았던 뉴스에서 나온 점수로 방송 점수를 받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싸이가 YG 소속이기 때문에 인과응보를 받았다는 식의 반응도 많았다. 즉, 싸이 측의 꼼수가 작용한 것이 아니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사실 방송 점수도 꼼수라고 보기엔 애매한 것이 방송 점수라는 것이 방송 횟수에 따라 메겨지는 점수인데 이왕 만든 노래 홍보 좀 해보겠다고 방송에 나오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것을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 현 방송 점수 체제를 만든 방송국의 잘못이 먼저라고 봐야한다.] * 그에 반대하는 입장은 이 또한 현재는 국내에서 [[강남스타일]]의 인기가 많이 떨어진 상태에서 해외 인기를 반영한 뉴스의 방송 점수가 국내에서의 인기를 반영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다. 또한, 싸이가 장기 집권을 하면서 한국 차트에서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한 다른 가수들이 방송 점수 때문에 1위를 하지 못한 사례도 많아지고 있어서 다시금 논란이 되고 있다. 물론 싸이가 해외에서 센세이션인 것은 맞지만, 현재 국내에서의 실제 인기를 반영해야 할 케이 차트가 그것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실제로 강남스타일은 1위의 최저 음원 점수 기록을 885점으로 갱신했다. 종전 음반 점수가 문제되던 시기 [[SUPER JUNIOR|슈퍼주니어]]의 기록인 <너 같은 사람 또 없어>의 1550점보다 현저히 낮은 점수. 강남스타일만의 일은 아닌 것이 조권의 솔로곡이었던 또한 음원점수 1440점으로 1위를 차지함으로써 슈퍼주니어의 기록은 진작 깨졌으니 방송 점수의 폐해다.] * 한편, [[싸이]]의 노래 [[GENTLEMAN]]이 나오자 곧바로 방송 점수 산정 방식이 바뀌어 보도 프로그램에서 나온 방송 횟수는 아예 제외하고 한 방송에서 해당 곡이 여러 번 나와도 1번 이상으로는 집계하지 않게 되었다. [[http://osen.mt.co.kr/article/G1109579550|#]] 국내에서의 실제 인기를 반영하는 데 있어서 뉴스 보도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함은 맞지만 뮤직뱅크에서 노골적으로 싸이를 견제한다는 비판은 피해 가기 어려울 듯하다. 산정 방식이 바뀐 정확한 시기는 2013년 4월 3주차부터다.[* 일단 뮤직뱅크에서는 지난해 12월부터 뉴스 집계를 제외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 말이 틀릴 수밖에 없는 게 <[[강남스타일]]>이 2013년 1월까지 1위를 하게 된 계기는 방송 점수 덕인데, 뉴스 빼고는 딱히 나올 곳이 없었다. [[http://media.daum.net/entertain/enews/view?newsid=20130421125411814|#]]] 그 결과 Gentleman의 주간 방송 횟수는 단 1회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이 또한 8월에 다시 개편이 되어 방송 점수를 통한 1위가 힘들어졌다. * 명심해야 될 것은 케이 차트 역시 타 국내 음악 차트와 다를 수 있는데 예컨대 [[2011년]] [[9월 9일]]까지 임재범의 <너를 위해>가 50위에 머물고 있었고 2010년 12월 차트에 진입한 [[아이유]]의 <좋은 날>은 그 다음 해 8월 12일까지 차트에 머물렀다. 그러다가 2012년 2월 3일 다시 36위로 진입해서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또 간혹 가다 차트에 트로트 곡도 50위권 안에 들며 토토가 열풍으로 10~20년 전의 곡들이 순위권에 올라간 적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도 모든 면에서 요즘 아이돌을 위한 편중은 이어지고 있으며 물론 대세로 거론되고 있는 아이돌에 한해서다. * 2017년 4월 28일, 걸그룹 [[라붐(아이돌)|라붐]]이 [[MISS THIS KISS#Hwi hwi|Hwi hwi]]로 데뷔 이후 첫 1위를 차지했다. 문제는 이들의 노래가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차트 순위 300위권 노래인 데다 경쟁 상대는 [[아이유]]'''였다는 점이다. 음악을 모르는 사람이 봐도 인지도가 낮은 걸그룹과 데뷔 9년차에 각종 히트곡들로 많은 사랑을 받은 유명 가수의 대결에서 인지도 낮은 걸그룹이 이겼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힘든 결과. 물론 아이돌 그룹이 음원 성적이 시원찮음에도 음반 점수나 방송 점수 등으로 1위를 하는 경우야 수도 없이 많고 그때마다 결과에 대해 왈가왈부하는 일도 있었으며 당장 그 전주인 4월 21일에도 보이그룹 [[틴탑]]이 대량의 방송점수로 아이유를 꺾고 1위를 하여 논란이 된 적이 있었지만, 이는 대부분 팬덤 규모가 큰 남자 아이돌들의 사례이고 라붐은 음원 차트에서 한 번도 순위권 이내에 들지 못했고 팬덤 규모도 작아 전작 앨범 판매량도 3,000장에 불과한 그룹이었다. 그런데 그런 팀이 갑자기 1주일 만에 28,000장의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1위에 올랐다. 당연히 결과 발표 이후 뉴스 댓글이나 아이돌 관련 커뮤니티에서는 라붐과 뮤직뱅크에 대한 비난이 쏟아졌다. 그리고 같은 주 MBC 쇼! 음악중심과 SBS 인기가요에서는 모두 아이유가 1위를 수상했고 라붐은 1위 후보에도 들지 못했다. 또한 그 다음 주 뮤직뱅크에선 아이유가 1위를 차지했을 때 라붐은 49위로 급하락하면서 결국 뮤직뱅크와 라붐만 우스워지는 꼴이 되었다.[* 참고로 이날 방송분은 결방했다.] 이는 사재기를 한 소속사의 잘못이지 뮤직뱅크 차트에는 문제가 없다는 주장도 존재하지만, 차트가 사재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도 엄연히 방송사의 역할인 만큼 뮤직뱅크 측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결국 이번 일은 이렇게 넘어가게 되었지만, 추후에 비슷한 일이 또 발생할 경우 그때는 점수 산정 기준 변경이 불가피할 것이다. [[http://entertain.naver.com/comment/list?oid=117&aid=0002904793&gid=999339&cid=1060977|'뮤뱅' 라붐, 아이유 꺾었다…데뷔 첫 1위 '대이변' (종합)]] 참고: [[MISS THIS KISS/음반 사재기 의혹]] * 2022년 3월 18일, [[김우석(1996)|김우석]]이 [[태연]]을 방송점수 차이로 이기고 1위를 차지하면서 '방점뱅크' 논란은 현재진행형이다. 위 문단과 마찬가지로 김우석의 해당 음원은 차트 순위권에도 없는 반면, 태연의 [[INVU]]는 차트 최상위권을 유지 중이며, 음반 초동판매량도 커리어하이를 경신한 상태이다. 김우석 팬덤을 제외한 여론은 이 결과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우세하다. 심지어 김우석 본인도 1위를 할 줄 몰랐다는 발언을 했을 정도이다[[https://www.wikitree.co.kr/articles/740178#_ace|'1위 할 줄 모르고 멘트를 준비 안 해왔는데...']][[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8299#home|'음반뱅크’도 옛말...이젠 ‘방점뱅크’다']]. * 크게 문제가 없을 것으로 여겨지던 디지털 음원 점수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2016년 10월 4주 1위의 선정 과정에서 음원 점수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뮤직뱅크 측에서 해명을 내놓았다. [[http://nbbs.kbs.co.kr/section/board/bbs_view.html?bbs_cd=2te_music_vboard02&seq=1075627&goto_page=1|#]] 여기서 구체적인 음원 점수의 산정 방식이 공개되었는데 업계 1위이자 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차지하는 멜론이 업계 2위인 지니보다 비중이 낮고 한참 차이가 나는 벅스 뮤직과 비슷하다는 점도 문제였지만, 무엇보다도 음원 점수에 반영되는 6개 음원 사이트 중에서 가장 비중이 낮은 그룹에 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네이버 뮤직이 멜론에 비해 '''무려 5배'''를 넘는 점유율 배수를 받는 것이 확인되었다. 각 음원사의 점유율은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카운트, 혹은 유료 이용자 수 등으로 배정하는 게 아니라 닐슨 코리안 클릭 통계에 근거하여 주간 음악 사이트 방문 횟수에 따라 배분되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전혀 이해가 가지 않는 방식인데, 디지털 음원 점수이니 만큼 당연히 음원 사이트 유료 사용자를 기반으로 한 점유율 통계가 기준이 되어야 하고, 이런 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굳이 사이트별로 점유율을 계산할 필요가 없이 그냥 각 음원 사이트에서 실제 스트리밍과 다운로드 수를 받아서 모두 합친 뒤에 음반 점수처럼 구하면 그만이다. 아니면 더 간단하게 그냥 가온차트에서 자료를 받아 와도 된다. 왜 이런 복잡하면서도 치명적인 결함이 있는 방식을 취하게 된 건지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지금의 방식에서는 점유율 배수 5배에 실제적인 시장 점유율 차이까지 고려한다면 같은 음원 소비 행위를 하더라도 네이버 뮤직이 멜론에 비해 30배 이상의 점수를 받게 된다.[* 결국 네이버 뮤직 측에서 실시간 차트를 폐지하면서 네이버 뮤직만 집중 총공하여 음원 점수를 비정상적으로 높이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 결국 2018년 8월 10일 숀이 1위로 등극하면서 더 공정성에 의구심을 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상술한 대로 네이버 뮤직의 비중이 높음에도 저렇게 된 건 이해 불가. * 2018년 8월 10일자 방송에서 [[TWICE|트와이스]]의 [[Summer Nights#Dance The Night Away|Dance The Night Away]]의 방송점수와 시청자 선호도 점수가 비정상적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심지어 트와이스의 이전 활동곡인 [[What is Love?(TWICE 노래)|What is Love?]]의 선호도 점수인 700점대보다 한참 못 미치는 '''172'''점이라는 터무니없는 점수를 받아 논란이 되고 있다. 게다가 뮤직뱅크와 사이가 좋지 않은 [[YG엔터테인먼트]]소속 가수들의 방송 점수 수준인 '''25'''점을 '''2주 연속'''으로 받아 의아해하는 시청자들의 항의 글이 뮤직뱅크 홈페이지에 폭주하고 있는 중. 현재 뮤직뱅크 제작진은 8월 1주차 차트부터 아예 홈페이지에 올리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아마 이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는 듯. 게다가 이번 주차 선호도 점수가 서버 점검이라는 이유로 거의 집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는데 유독 트와이스만 수직 낙하 수준으로 선호도 점수가 떨어진 것은 매우 의심이 가는 상황이다. 참고로 [[TWICE]]보다 YG 소속인 [[BLACKPINK]]가 방점을 100점 넘게 받고, 선호도 점수는 정상적인 700점대를 받아 더 의혹이 커지게 되었다. * 차트 이외 공정성 논란으로는 2020년 2월 21일 [[IZ*ONE]]의 출연을 두고 2월 20일, 출연 반대 청원이 이루어졌고, 이에 뮤직뱅크의 권용택 CP는 "[[IZ*ONE]]은 KBS 심의 규정의 어떤 조항에도 저촉되는 바가 없어 출연 규제자 명단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에 2월 21일, 1016회 방송에 한해 캐스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https://www.ytn.co.kr/_sn/0117_202002201920385518|#]] 이는 출연 반대 청원 지지자와 [[IZ*ONE]] 팬들의 원성을 함께 샀다. 이에 IZ*ONE 팬들의 IZ*ONE 출연 보장을 요구하는 청원도 나왔고 20,000명 이상의 지지를 받았다.[[http://petitions.kbs.co.kr/section/ptt/view.html?petition_sno=1708&goto_page=1|#]] 한편 컴백임에도 컴백 리스트에서 누락, 사전 소개 멘트 누락 등으로 인해 부당 대우라는 팬들의 원성을 샀다. 이러한 반발이 있는 한편 공영 방송으로서 논란이 있는 출연자에 대한 적절한 선택이라는 주장도 있다. 하나 MBC와 SBS가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출연시키면서 KBS만 애매한 입장이 되어 버렸다. 논란이 어느 정도 사그라들고 담당 CP가 교체된 후에는 아무런 제약 없이 컴백해서 활동하게 되었다. * 2022년 12월 2일 [[윤하]]와 [[첫사랑(아이돌)|첫사랑]]의 1위 경합에서 첫사랑의 '러브티콘'이 1위를 하며 논란이 다시 촉발되었다. 첫사랑은 '''방송점수만 6324점'''을 받았는데, 방송점수를 제외하면 '''선호도 점수 83점 외 모든 지표가 0점이다'''.[[http://www.newsinside.kr/news/articleView.html?idxno=1147657|*]] 참고로 이 곡의 기존 음원차트 최고기록은 '''멜론 일간 915위'''다.[[https://theqoo.net/index.php?mid=square&page=5&document_srl=2655449231|*]]. '''음원차트 1위가 915위를 상대로 1위를 못한 것'''.[* 피해자인 윤하의 팬들은 물론이거니와, 당일 7년만에 컴백을 한 [[카라]]의 팬들로부터 특히 어이없다는 반응이 터져나왔다. 참고로 카라 역시 주먹구구식 방송점수 집계로 인한 피해자 중 하나로, 2012년 [[PANDORA(음반)|PANDORA]] 활동기에 맞붙은 [[강남스타일]]이 매주 지나치게 높은 방송 점수를 받는 바람에 그 여파를 직격탄으로 맞았었다. 당시 이를 갈던 팬들이 음반 공구를 터트린 덕에 3주차에 간신히 1위를 했다.] * 2023년부터 뮤빗 앱 투표 사전점수 10%[* 2000점]를 도입했는데 특정 가수들[* 부석순, 임창정, 키, 황민현 등]을 투표 후보에서 누락시켜 순위에 영향을 주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뮤직뱅크 측은 해명은커녕 '''공정성을 위해 후보 기준을 공개할 수 없다'''는 황당한 입장을 내놓았다. [* 이는 뮤직뱅크가 기존 시청자 선호도 조사와 마찬가지로 발매 첫 주에는 사전 투표 목록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며, 발매 첫 주의 순위가 발표되는 그 다음주에 뮤직뱅크에 출연할 경우에 한해 사전 투표 목록에 포함되는 것이란 추측이 있다. [[https://twitter.com/KshowAnalysis/status/1633664021948760070?s=20|참조]]] 그리고 결국 2023년 8월 1주차 차트에서 뮤빗에서의 후보 누락으로 1위가 갈리는 일이 생기고 말았다. == [[/K-차트|K-차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뮤직뱅크/K-차트)] [include(틀:K-차트)] == 역대 진행자 목록[* 현재는 '뮤직뱅크'라는 이름에 맞게 진행자를 '''은행장'''이라고 한다.]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br]'''{{{#000 역대 진행자}}}'''}}} || ||<|2> '''No.''' ||<-2> '''진행자''' ||<|2> '''진행 기간''' ||<|2> '''비고''' || || '''남자''' || '''여자''' || || 1 ||<|2> ''''''[[류시원]]'''''' || ''''''[[김지호(배우)|김지호]]'''''' || 1998. 6. 16. ~ 9. 29.[* 1998년 8월 25일 방송분에 황유선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2 ||<|3> [[황유선(방송인)|황유선]] || 1998. 10. 13. ~ 1999. 4. 27.[* 황유선은 1998년 8월 25일에 스페셜 MC를 맡은적이 있다. 1999년 7월 13일 방송분은 [[엄정화]]가 스페셜 MC를, 7월 20일에는 [[김승현(배우)|김승현]]의 하차했고 [[주영훈]]이 합류하여 [[간미연]]과 [[이효리]]가 스페셜 MC를 맡으며, 9월 14일에는 [[류시원]], 9월 21일에는 [[컨츄리꼬꼬]]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3 || [[김승현(배우)|김승현]] || 1999. 5. 4. ~ 7. 13. || || || 4 ||<|2> ''''''[[주영훈]]'''''' || 1999. 7. 20. ~ 12. 14. || || || 5 || [[김규리(1979년 6월)|김규리]] || 1999. 12. 28. ~ 2000. 4. 25.[* 1999년 12월 21일 황유선의 하차 및 [[김규리(1979년 6월)|김규리]] 합류 전으로 [[이정현(멀티 엔터테이너)|이정현]]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6 ||<|5> ''''''[[이휘재]]'''''' || [[송혜교]] || 2000. 5. 2. ~ 10. 3.[* 2000년 6월 20일에 [[유재석]]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7 || [[이나영]] || 2000. 10. 12. ~ 2001. 4. 26. || || || 8 || [[김보경(1976)|김보경]] || 2001. 5. 3. ~ 9. 27.[* 2001년 5월 10일에 [[남희석]]이 스페셜 MC를 맡았고, 10월 4일 [[김보경(1976)|김보경]]의 하차 및 [[김규리(1979년 10월)|김규리]]의 합류 전으로 [[임창정]]과 [[유승준]]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9 || [[김규리(1979년 10월)|김민선]] || 2001. 10. 11. ~ 2002. 4. 18. || || || 10 || [[김민정(1982)|김민정]] || 2002. 4. 25. ~ 10. 24.[* [[김민정(1982)|김민정]]은 2002년 10월 17일을 마지막으로 하차했고 10월 24일 방송분은 [[박정아]]가 [[이휘재]]와 진행하였다.] || || || 11 || [[비(연예인)|비]] ||<|2> [[슈(1981)|슈]] || 2002. 10. 31. ~ 2003. 1. 30. || || || 12 || [[전진(신화)|전진]] || 2003. 2. 6. ~ 6. 19.[* 2003년 1월 30일 [[비(연예인)|비]]의 하차로 인해 2월 6일에 [[전진(신화)|전진]]이 남성 MC로 합류하여 [[슈(1981)|슈]]가 여성 MC를 그대로 맡았으며 2월 20일에는 배우 [[안재모]], 5월 22일에는 배우 [[차태현]]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13 || [[최정원(UN)|최정원]] || [[박정아]] || 2003. 6. 26. ~ 2004. 6. 11.[* 박정아는 2002년 10월 24일에 스페셜 MC를 맡은적이 있다. 2003년 12월 12일에는 [[장나라]]가 스페셜 MC를 맡았고, 2004년 1월 2일에는 [[비(연예인)|비]]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14 || [[지성(배우)|지성]] || [[박은혜]] || 2004. 6. 18. ~ 11. 5.[* 2004년 1월 9일부터 3월 26일까지에는 [[강성훈]]이 스페셜 MC를 맡았고, [[지성(배우)|지성]]은 2004년 10월 1일을 마지막으로 하차했고 그 뒤는 스페셜 MC([[성시경]], [[MC몽]], [[전진(신화)|전진]], [[비(연예인)|비]])와 [[박은혜]]가 진행하였다.] || || || 15 || [[남궁민]] || [[소이현]] || 2004. 11. 12. ~ 2005. 4. 29.[* 2005년 1월 14일에 뮤직뱅크 300회 특집으로 [[최정원(UN)|최정원]]과 [[박정아]]가 약 7개월 만에 다시 스페셜 MC를 맡으셨다.] || || || 16 || [[지현우]] || [[김보민]] || 2005. 5. 8. ~ 10. 30. || || || 17 ||<|2> [[강경준]] || [[박경림]] || 2005. 11. 6. ~ 2006. 3. 12. || || || 18 || [[장희진]] || 2006. 3. 26. ~ 11. 19. || || || 19 ||<|2> ''''''[[하하(가수)|하하]]'''''' || [[이소연(배우)|이소연]] || 2006. 11. 26. ~ 2007. 4. 1. || || || 20 || [[이현지]] || 2007. 4. 8. ~ 2008. 2. 1. || || || 21 ||<|2> [[타블로]] || [[김성은(1983)|김성은]] || 2008. 2. 15. ~ 5. 16. || || || 22 || [[민서현]] || 2008. 5. 23. ~ 8. 8. || || || 23 ||<|2> ''''''[[유세윤]]'''''' || [[서인영]] || 2008. 8. 29. ~ 2009. 1. 9. || || || 24 || [[박은영(방송인)|박은영]] || 2009. 1. 16. ~ 7. 31.[* 2009년 5월 22일에 [[붐(연예인)|붐]]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25 || [[송중기]] || [[서효림]] || 2009. 8. 7. ~ 2010. 11. 19.[* 2009년 12월 4일에 [[플라이 투 더 스카이]]의 [[환희(플라이 투 더 스카이)|환희]]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 || 26 ||<|2> [[현우(배우)|현우]] || [[김민지(배우)|김민지]] || 2010. 12. 3. ~ 2011. 10. 21. || || || 27 ||<|2> ''''''[[유이(배우)|유이]]'''''' || 2011. 10. 28. ~ 11. 11.[* [[현우(배우)|현우]]는 2011년 11월 11일 마지막으로 하차했고 2011년 11월 18일부터 12월 2일까지는 [[팀]]이 스페셜 MC를 맡았으며 그 외에는 스페셜 MC([[SUPER JUNIOR|슈퍼주니어]]의 [[신동(SUPER JUNIOR)|신동]], [[시원(SUPER JUNIOR)|시원]], [[원더걸스]]의 [[선예]], [[안소희|소희]], [[유빈]], [[SHINee|샤이니]]의 [[민호]], [[비스트(아이돌)|비스트]]의 [[윤두준]], [[CNBLUE|씨엔블루]]의 [[정용화]], KBS 아나운서 [[전현무]] 등)를 진행하였다.] || || || 28 || ''''''[[이장우(배우)|이장우]]'''''' || 2012. 1. 6. ~ 2013. 4. 5.[* 2012년 2월 10일에는 같은 [[애프터스쿨]]의 멤버이자 [[오렌지캬라멜]]의 [[나나(배우)|나나]]를 4월 27일에는 [[효린]]과 [[현아]], 11월 9일에는 [[수지(1994)|수지]]가 스페셜 MC를 맡으며, 2013년 4월 5일 [[유이(배우)|유이]]의 하차로 인해 [[다비치]]의 [[강민경]]이 스페셜 MC로 맡았다.] || [* 이 둘은 2018년에 방영된 KBS 2TV 주말드라마 [[하나뿐인 내편]]에서 부부 역으로 다시금 만났으며, 2018 [[KBS 연기대상]]에서 베스트커플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 || 29 || [[정진운]] || [[박세영]] || 2013. 4. 12. ~ 10. 18.[* 2013년 9월 6일과 10월 18일에는 [[2AM]]의 [[조권]]을, 10월 11일에는 [[2AM|같은 그룹]]인 [[임슬옹]]이 스페셜 MC로 맡았다.] || || || 30 || [[박서준]] || ''''''[[윤보라|보라]]'''''' || 2013. 10. 25. ~ 2015. 4. 24.[* 2014년 8월 8일에는 [[걸스데이]]의 [[방민아|민아]]를, 2015년 1월 23일에는 [[CNBLUE|씨엔블루]]의 [[강민혁(CNBLUE)|강민혁]], 3월 20일과 3월 27일에는 [[SUPER JUNIOR|슈퍼주니어]]의 [[은혁]], 4월 17일에 [[SUPER JUNIOR|같은 그룹]]인 [[이특]]은 스페셜 MC를 맡았다.] || [*최장수] || || 31 || [[박보검]] || [[아이린(Red Velvet)|아이린]] || 2015. 5. 1. ~ 2016. 6. 24.[* 2015년 12월 4일에는 [[B.A.P]]의 [[힘찬]]과 [[방탄소년단]]의 [[뷔]]가 스페셜MC를, 2016년 1월 29일에는 [[신화(아이돌)|신화]]의 [[신혜성]]이 스페셜 MC로 맡았다.] || [* 역대 뮤직뱅크 MC 중 '''레전드 조합으로 꼽히는 듀오'''이며, 제작진에서 하차 당시 굿바이 무대를 챙겨줄 정도로 아끼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유튜브가 대중화되지 않은 시절에 둘이 같이 꾸민 특별 무대 “일과 이분의 일”, “선” 영상은 각각 1300만뷰와 400만뷰를 넘는다. KBS 공식 유튜브에서 댓글 모음집을 올려 놓았을 정도.] || || 32 || [[강민혁(CNBLUE)|강민혁]] ||<|2> [[솔빈]] || 2016. 7. 1. ~ 11. 4.[* 여담이지만 2015년 1월 23일에 강민혁이 스페셜 MC를 참여했다.] || || || 33 || --[[이서원]]-- || 2016. 11. 11. ~ 2018. 6. 8.[* 2017년 3월 3일에는 [[NCT]]의 [[마크(NCT)|마크]], 10월 27일에는 [[TWICE]]의 [[정연]]과 [[사나(TWICE)|사나]]가 스페셜 MC로 맡았다. 2018년 5월 이서원이 성추행 및 협박 사건으로 인해 2018년 5월 11일부로 퇴출되면서, 5월 18일부터 [[VIXX|빅스]]의 [[차학연|엔]], [[하이라이트(아이돌)|하이라이트]]의 [[손동운]], [[SHINee]]의 [[태민]], [[방탄소년단]]의 [[진(방탄소년단)|진]]이 스페셜 MC로 합류.] || || || 34 || [[최원명]] || [[Kei]] || 2018. 6. 15. ~ 2019. 6. 28.[* 2018년 6월 29일 뮤직뱅크 20주년 특집 및 상반기 결산으로 [[박경림]]과 [[코요태]]의 [[김종민]]이 스페셜 MC를 맡았고, 10월 5일은 [[우주소녀]]의 [[보나]]가 스페셜 MC에 맡았으며, 2019년 2월 1일은 [[우주소녀]]의 [[설아]], 4월 12일에는 [[IZ*ONE]]의 [[장원영]], [[김민주]], [[미야와키 사쿠라]]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신인상 [[KBS 연예대상]] 버라이어티 신인상 토크 & 쇼 부문 공동수상] || || 35 || [[최보민]] || ''' '''[[신예은]]'''''' || 2019. 7. 5. ~ 2020. 7. 17.[* 2020년 1월 31일에는 [[SF9]]의 [[인성(SF9)|인성]], 6월 12일에는 [[TWICE]]의 [[다현]]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 [* 신예은의 예, 최보민의 보를 따서 '''예뽀'''라고 불린다.] [*커플상 [[KBS 연예대상]] 베스트 커플상 공동수상] || || 36 ||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 ''''''[[아린]]'''''' || 2020. 7. 24. ~ 2021. 10. 1.[* 뮤직뱅크 역대 MC 조합 중 재직 기간이 2번째로 긴 조합이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유일하게 무관객으로 진행을 한 MC 조합이다.] || [* 아린의 아, 수빈의 빈(bean)을 따서 '''아콩'''이라고 불린다. 박보검X아이린을 이어 '''레전드 MC 조합'''으로 불리는 듀오인데, 신고식에서 부른 [[https://www.youtube.com/watch?v=0-tlU9mboyg|돌핀]] 무대 영상이 무려 3000만뷰가 넘으며 은행장에서 하차 후 2년이나 지난 후에도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에서 아린 수빈의 특별무대를 따로 챙겨줄만큼 제작진이 아끼는 모습을 보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xUP7no-bDxo|돌핀+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기다려]] 영상이 포함된 댓글 모음집이 올라왔고, 아콩MC 1주년 기념 [[https://www.youtube.com/watch?v=xIG5wfwOcD4|신고식 무대+MC모음]]으로 구성된 댓글 모음집이 올라왔다.] [*커플상] || || 37 || [[성훈(ENHYPEN)|성훈]] ||<|2> [[장원영]] || 2021. 10. 8. ~ 2022. 9. 2.[* 장원영은 2019년 4월 12일에 스페셜 MC를 맡은적이 있다. 2021년 11월 19일에는 성훈이 팬미팅 참석으로 중간에 불참하게 되면서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휴닝카이]]가, 2022년 2월 4일에는 비염 수술로 인해 [[ENHYPEN|같은 그룹]]의 [[정원(ENHYPEN)|정원]]이 스페셜 MC를 맡았다. 2022년 8월 5일에는 [[IVE]]의 일본 스케줄로 인해 배우 [[박지후]]가 스페셜 MC를 맡았으며 9월 2일 성훈의 하차로 인해 이채민의 정식 합류 전까지 16일은 [[더보이즈]]의 [[주연(더보이즈)|주연]], 23일에는 [[이영지]]가 스페셜 MC를 맡았다.(9월 9일은 추석 연휴라 결방)] || [* 장원영의 성씨인 장, 성훈의 별명인 백구를 따서 일명 '''장꾸즈'''라고 불린다.] [*커플상] || ||<|2> 38 ||<|2> [[이채민(2000)|이채민]] || 2022. 9. 30. ~ 2023. 1. 13.[* 2022년 10월 14일에는 [[KCON]] 참여로 인해 [[Red Velvet]]의 [[슬기(Red Velvet)|슬기]]가, 2022년 12월 2일에는 [[마마 어워즈]] 및 일본 스케줄로 [[ITZY]]의 [[유나(ITZY)|유나]], 2023년 1월 6일에는 [[골든디스크어워즈]] 참석으로 [[NMIXX]]의 [[해원]]이 스페셜 MC를 맡았으며 1월 13일 장원영의 하차로 홍은채의 정식 합류 전까지 1월 20일과 1월 27일에는 [[NewJeans]]의 [[민지(NewJeans)|민지]], 2월 3일에는 [[오마이걸]]의 [[미미(오마이걸)|미미]]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 2016년 11월 4일 강민혁 하차 이후로 5년 10개월 만에 여성 MC는 그대로인 채 남성 MC가 새로 발탁되었다.][* 채민이의 미니, 원영의 영을 따서 '''[[미니언즈|미니영즈]]'''라고 불린다.] || ||<|2> [[홍은채]] || 2023. 2. 10. ~ 2024. 5. 3.[* 2023년 3월 24일에는 홍은채의 해외 스케줄로 인해 [[TWICE]]의 [[다현]], 2023년 8월 25일부터 9월 8일까지 [[2023 LE SSERAFIM TOUR 'FLAME RISES'|르세라핌의 월드 투어 일정]]으로 인해 8월 25일에는 [[NewJeans]]의 [[하니(NewJeans)|하니]], 9월 1일에는 [[오마이걸]]의 [[아린]], 9월 8일에는 [[김세정]]이 스페셜 MC로 참여, 2023년 10월 27일부터 11월 3일까진 르세라핌의 미국 스케줄로 인해 10월 27일엔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11월 3일엔 [[VIVIZ]]의 [[엄지(VIVIZ)|엄지]]가, 2024년 1월 5일에는 르세라핌의 골든디스크어워즈 일정으로 [[권은비]]가, 1월 19일에는 [[NewJeans]]의 [[혜인]], 2월 2일에는 컨디션 난조로 불참을 하고 [[LE SSERAFIM]]의 [[허윤진]]이 스페셜 MC를 맡았고,4월 5일에는 [[홍은채]]가 급성 위염으로 인해 불참하면서 [[ILLIT]]의 [[윤아(ILLIT)|윤아]], 4월 12일에는 르세라핌의 미국 스케줄로 인해 [[ILLIT]]의 [[민주(ILLIT)|민주]]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5월 3일 [[이채민(2000)|이채민]]이 하차한 이후, [[문상민]]의 정식 합류 전까지 2024년 5월 10일에는 [[더보이즈]]의 [[현재(더보이즈)|현재]], 5월 17일에는 [[ZEROBASEONE]]의 [[김태래]], 5월 24일에는 [[ZEROBASEONE]]의 [[장하오]]와 [[DXMON]]의 [[조(DXMON)|조]]가 스페셜 MC를 맡았다.] || [* 서로 이름에 '채'가 들어가서 '''채채쳌''', 은채민으로 불린다.] [*커플상] || || 39 || [[문상민]] || 2024. 5. 31. ~ 현재 || || ## 30일 <더팩트> 취재 결과 문상민이 KBS2 음악프로그램 '뮤직뱅크' 39대 은행장으로 낙점돼 최종 조율 중이다.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629/0000284838 기사에 따르면 문상민은 39대 은행장입니다. 홍은채는 37대 장원영 후임이므로 38대 은행장입니다. ## * 2011년 이후로 주로 신인 배우와 아이돌 가수의 멤버가 MC를 맡는다. * 코미디언은 이휘재와 [[개그콘서트]] 출신 유세윤이 있으며, 아나운서는 황유선, 김보민, 박은영 아나운서 세 명이 있다. * 2020년 7월 24일부터 3연속으로 MC 2명 중 1명이 [[HYBE LABELS]] 소속 가수로 발탁되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수빈(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빈]], [[ENHYPEN]]의 [[성훈(ENHYPEN)|성훈]], [[LE SSERAFIM]]의 [[홍은채]]] * 2024년 5월 24일 39대 은행장인 [[문상민]]의 정식 합류 전 [[ZEROBASEONE]]의 [[장하오]]와 [[DXMON]]의 [[조(DXMON)|조]]가 스페셜 MC를 맡아 [[홍은채]]와 진행하였는데, 뮤뱅 역사상 유일하게 3MC 체제였던 사례다.[[https://twitter.com/KBSMusicBank/status/1793924025749762180|#]] == 역대 로고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br]'''역대 로고'''}}} || || [[파일:뮤직뱅크 로고 2008.png|width=120]] || [[파일:뮤직뱅크 로고(2010~2015).png|width=120]] || || '''{{{#fff 2008 ~ 2009}}}''' || '''{{{#fff 2010 ~ 2015}}}''' || || [[파일:뮤직뱅크 로고 2015.png|width=120]] || [[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90]] || || '''{{{#fff 2015 ~ 2019}}}''' || '''{{{#fff 2019 ~ 2023}}}''' || ||<-2>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90]] || ||<-2> '''{{{#fff 2023 ~ 현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https://logos.fandom.com/wiki/Music_Bank|{{{#000 '''역대 뮤직뱅크 로고 모음'''}}}]]}}} || == 월드 투어 목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GxP9t5-awc)]}}}|| ||<-6>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7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7ae0, #23bcc6)" [[파일:뮤직뱅크 로고 2023.png|width=60]][br]'''{{{#000 월드 투어}}}'''}}} || || '''투어명''' || '''촬영일''' || '''방영일''' || '''MC''' || '''시청률''' || '''비고''' || || 뮤직뱅크 인 도쿄 K-POP FESTIVAL || 2011. 7. 13. || 2011. 7. 22. || [[현우(배우)|현우]], [[박규리]]([[카라]]), [[구하라]]([[카라]])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QgHMShlJg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kP-mhK7q1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PrNESBgwKx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FiYP1LfTsL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k5Fb3TL1fn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fV4tL2AsP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ca5eEGBQKz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ODVvmHozE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wmRhBEwKh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3LzKzqyxxx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p1RA-egniP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Y7KLW1vh1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OakrBknTAR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OZR2rTFZay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5msvHvdkwT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YHxenmhrpp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sU0qwtwzZy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파리 || 2012. 2. 8. || 2012. 2. 18. || [[손미나]], [[이장우(배우)|이장우]], [[수영(소녀시대)|수영]]([[소녀시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i8izdPCQdn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ZNsW9pBr24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2kT4LsLgN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KVgpENnFw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rML3blw8te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9OFYPlWffW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ezJTrSX6Iw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2fvlkwX0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5E2_0KpIT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f429hk_848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kGqKr7BMD8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t_C2FxFkI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nOk9OV2s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8Xa7EoaneP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9j97o1H5A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wIpOsmiSNB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0rNUxPl6u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8UyTn1iZIi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yyRDQr7dOq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베트남 코리아 페스티벌 || 2012. 3. 15. || 2012. 4. 6. || [[강민경]]([[다비치]])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WcNGAhGSNf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ShGxh3gkJ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wjUWz1j7XG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08hb3PneTN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gAvBM4OCM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2DcYjjzs-L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YIXuEIirc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qOPBBp1PQg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홍콩 || 2012. 6. 23. || 2012. 7. 6. || [[유이(배우)|유이]]([[애프터스쿨]]), [[이장우(배우)|이장우]]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64AudEkED1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kaQJ17XaY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K8nZg8r6B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masx89Zc4m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HOflLsvqWx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ckCHlrV6oq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oegFhRhnmQ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5c6q9Muf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칠레 || 2012. 11. 2. || 2012. 11. 17. || [[유이(배우)|유이]]([[애프터스쿨]]), [[규현]]([[SUPER JUNIOR]]), [[정용화]]([[CNBLUE]])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rDF8GQ8cR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a6-dS3HQj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0oB-OP6e9P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DeoqOJib0D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f8H51jEfAy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cs8CRdvBHd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zSPvyUCMB-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F5_8YPhcl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자카르타 || 2013. 3. 9. || 2013. 3. 19.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택연]]([[2PM]]), [[규현]]([[SUPER JUNIOR]]) || 3.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IGV2yIz4Ls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QzPDlcO7o_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ew0LPBC5Oh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8MWRppXXEY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0AvomlxWNF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ypeZ9lBvh1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6rHs3GJ3L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aOWF33pJ-o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4TFGZDJPGP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I11e12w6Oy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이스탄불 || 2013. 9. 7. || 2013. 9. 13. || [[규현]]([[SUPER JUNIOR]]), [[수지(1994)|수지]]([[미쓰에이]]), [[윤두준]]([[비스트(아이돌)|비스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4ewi72Y_zT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exCbI4czyh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u_7Hl9oXug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5CBhJcoJhS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h959e4sxvt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FBkR2OXiIS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MUtL-7NnlY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브라질 || 2014. 6. 7. || 2014. 6. 18.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이준(배우)|이준]]([[엠블랙]]), [[정용화]]([[CNBLUE]]) || 3.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clM9V_Lhyn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AbNuTamCLX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JxdjgBXppi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_ofI04xgJ6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dHt8omL3bg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5txQf5SW-h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HfuSD2Hr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R1qZsTCTQ0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멕시코 || 2014. 10. 30. || 2014. 11. 12. || [[윤두준]]([[비스트(아이돌)|비스트]]), [[김성규(인피니트)|김성규]]([[인피니트(아이돌)|인피니트]]), [[찬열]]([[EXO]]) || || || || 뮤직뱅크 인 하노이 || 2015. 3. 28. || 2015. 4. 8. || [[온유]]([[SHINee]]), [[찬열]]([[EXO]]), [[윤보라|보라]]([[씨스타]]) || 2.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kfJRzr2jyv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dQ-CDSuZM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8IQ_AqOWI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YnTaUb5Ikx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pxMimVtVGd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bjNsnw_w3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7j6Aflt3-w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Z_Ny-14jO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ZP_pCpkm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qI4-dqJso0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3Zy5juCRA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H_OibObbGt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iwZmDKNkRN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싱가포르 || 2017. 8. 4. || 2017. 8. 15. ||<|2> [[박보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Red Velvet]]) || 2.6% || || || 뮤직뱅크 인 자카르타 || 2017. 9. 2. || 2017. 9. 30. || 3.0% || || ||<|2> 뮤직뱅크 인 칠레 ||<|2> 2018. 3. 23. ||<|2> 2018. 4. 11. ||<|2> [[박보검]] || 2.7% (1부)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3wE4beMXXq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7eJWgzSOHd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9q-wfIEVyW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RLIXMH2c8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YT4ckjTrE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CYOwDzgZg1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DDhLo63oEX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t-KCk7Kq6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QeX4NxipQB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Sa0CSNgdlx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VGvLJkMKRP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bh0JHcJHG6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cH-Ah6xabV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ewcD4FDhaq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iaaWkAqwK3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pmDlsWp3l7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uAUiXDE50V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nf9fWgVVp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yVwlAnyHGi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m89Rm6r8jW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2.6% (2부) || || 뮤직뱅크 인 베를린 || 2018. 9. 15. || 2018. 10. 31. || [[박보검]], [[전소미|소미]] || 1.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https://www.youtube.com/watch?v=WCpeHyHy5p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Z8Bj72uUT5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pn9b2eY8Vg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2Qx6NR03Ny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3H_wBEEvKc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HwwUTemjpK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sikrei2H08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McotubNlYE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ggL7xAK-p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dbSax5iFV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N62i5WOxWQ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TymVzIWKVp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WcBgw7GVsmI|[[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XrqadLuDvd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AXZTxaJ6b2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wAKJSKpjgG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g4Hus-tXBH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qBpAJFs75Y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zz0zDxdnB_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br][[https://www.youtube.com/watch?v=O9ckNxjYt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뮤직뱅크 인 홍콩 || 2019. 1. 19. || 2019. 2. 23. || [[박보검]] || || || || 뮤직뱅크 인 칠레 || 2022. 11. 12. || 2022. 12. 4. || [[로운]]([[SF9]]) || || [* 현지 폭우·우박 등 기상 악화 때문에 공연이 중단되어([[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091755|[단독]'뮤직뱅크 인 칠레' 역대급 폭우… 공연 도중 취소]]) 일부 녹화분만 방영되었다.] || || 뮤직뱅크 인 파리 || 2023. 4. 8. || 2023. 5. 7. ||<|2> [[박보검]] || || [* 2012년 이후 11년만의 두 번째 공연.] || || 뮤직뱅크 인 멕시코 || 2023. 10. 22. || 2023. 11. 5. || || [[https://www.youtube.com/watch?v=TJGt7s0rME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10deg, #29025b 15%, #3a0093, #7200b9 55%, #280257 85%)"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PART2|[[파일:2023 K-POP 글로벌 페스티벌(PART2) 로고.png|width=50]]]]}}} || 2023. 12. 9. || 2023. 12. 15. || [[로운]], [[고민시]], [[이영지]] || || || || 뮤직뱅크 인 벨기에 || 2024. 4. 20. || 2024. 5. 4. || [[박보검]] || || || == 방송 사고 == [[2005년]] 이전의 경우는 방송 초기에 무대 꺼짐 상황이 악화되던 무대도 있었다. 이후 방송들은 무사히 넘어가나 했지만, 아래 내역들의 방송 사고들이 벌어졌다. * [[2005년]] [[7월 10일]] [[SS501(아이돌)|SS501]]의 [[박정민(SS501)|박정민]]이 안무 도중 마이크를 떨어뜨렸다. * [[2008년]] [[5월 2일]], 1위 후보의 위치가 바뀌어 송출되는 사고가 있었다. 당시 경쟁곡은 [[쥬얼리]]의 '[[One More Time(쥬얼리 노래)|One more time]]', [[MC몽]]의 '[[서커스(MC몽)|서커스]]', 그리고 [[에픽하이]]의 '[[One(에픽하이)|ONE]]'이었는데, [[MC몽]]이 중앙에, [[에픽하이]]가 오른쪽에 나와야 하는 상황에서 둘의 카메라가 바뀌어 나오게 된 것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70yc2JmjYjY?t=320|당시 뮤직뱅크 방송분.]] * [[2008년]] [[12월 5일]], [[카라]]의 [[구하라]]가 실수로 안무 도중 멤버 [[니콜(카라)|니콜]]의 발을 밟는 바람에 방송 사운드에 비명이 노출되는 사고가 났다. 이 일로 인해 구하라는 1시간 동안 화장실에서 울었다고 한다. 라고 알려졌지만 구하라는 니콜의 발을 밟은것이 아니다. 구하라가 소리내기 직전에 안무를 헷갈려 혼자 틀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 때문에 실망한 표정과 함께 소리를 낸 것이다. * [[2009년]] [[2월 27일]], 브랜뉴데이의 <살만해> 무대 도중 멤버 한 명의 원피스가 흘러내려 가슴 일부가 노출되는 사고가 있었다. * [[2009년]] [[6월 26일]], 상반기 결산 방송이 끝나고 퇴장하는 중 조명 기구가 연달아 무너지면서 [[SHINee]]의 멤버 [[온유(SHINee)|온유]]가 실신하는 사건이 터졌고 긴급히 병원에 이송되었다. 다행히 건강에는 큰 이상이 없었다. [[http://m.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1988428|관련글]] * [[2009년]] [[8월 7일]] 방송 중 방청석 뒤에서 MC들이 다음 무대를 소개할 때, 한 여학생이 '''[[이명박]] OUT'''이 적힌 피켓을 든 장면이 잡혔다.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8/07/2009080701373.html|송중기 왼쪽에 보인다.]] 이 이후로 생방송 중 한동안 방청석을 비추지 않고 있었다. 거기다 이 날은 [[송중기]], [[서효림]]이 '''새 MC로 데뷔하던 날이었다.''' [* 참고로 이 당시 [[KT|kt]]의 그 유명한 [[olleh|wow.. olleh!!!]] 광고가 밈으로 엄청나게 흥했었기에 '''[[송중기]], [[서효림]] 보고 wow..! 이명박 out 보고 olleh!!!''' 같은 드립이 흥했었다.] * [[2010년]] [[3월 19일]] 방송의 K-차트 1위 후보는 [[카라]]의 [[루팡 (Lupin)/타이틀곡|〈루팡 (Lupin)〉]], [[티아라(아이돌)|티아라]]의 [[Breaking Heart#너 때문에 미쳐|〈너 때문에 미쳐〉]], [[에픽하이]]의 [[Epilogue#Run|〈Run〉]]이었는데, 원래 1위는 [[카라]]였지만, 자막으로 [[루팡 (Lupin)/타이틀곡|〈루팡 (Lupin)〉]]과 [[Breaking Heart#너 때문에 미쳐|〈너 때문에 미쳐〉]]의 점수가 뒤바뀌어 나왔고 MC들은 결과를 미리 알았기 때문에 곧바로 정정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qrq9KMwF5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2010년]] [[9월 10일]]에 인디밴드 [[갤럭시 익스프레스]]가 출연해서 인디밴드 팬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었을 때, MC [[서효림]]이 이들을 소개할 때 '''[[갤럭시 S]]'''라고 소개해 버리는 실수를 저질렀다. 그 직후 [[송중기]]가 급하게 정정했지만 생방송이라서 한동안 이쪽 계열에선 꽤나 유명한 해프닝으로 남았다. 다행히 PD와 네티즌들이 라이브 무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기 때문에 좋은 효과로 남았다. * [[2011년]] [[2월 25일]]에 보이그룹 [[DMTN]]의 무대 중 한 멤버가 다른 멤버에게 주먹으로 맞아 잇몸에 피가 나는 장면이 방송되었다. 원래는 맞은 척 하거나 약하게 맞는 안무였던 모양. [[http://goo.gl/wgI7x|사건 영상]] 이 영상은 해외 토픽으로 외국 뉴스에서도 소개됐다. * [[2011년]] [[4월 22일]]에 [[휘성]]의 <가슴 시린 이야기> 무대에 특별 출연한 [[김태우(god)|김태우]]가 랩 가사를 저는 바람에 [[휘성]]이 웃음을 터트리고 말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0wewvktr8MII|관련 영상]][[https://www.youtube.com/watch?v=e6Y9P8JNJek|관련 영상 2(휘성의 인터뷰 코멘터리 포함)]] * [[2011년]] [[6월 17일]] [[허영생]]이 노래를 부르다가 마이크에 잡음이 섞이며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방송 사고를 당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ms6EH4H3Zf4&ab_channel=mbraaandt|영상]] * [[2012년]] [[3월 2일]] 방송분에서 [[브레이브걸스]] 무대 도중에 무대 위에서 근접 촬영을 하는 카메라맨의 모습이 잡혔으며, 멤버 '''[[박서아|서아]]'''가 넘어졌다. * [[2013년]] [[9월 27일]], ''''[[방탄소년단]]이 퍼포먼스를 하다 무리하게 상의를 찢는 바람에 가슴이 노출되는 사고를 일으켰다.'''[[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2624996|#]] 다행히도 보이그룹이라 수위에 큰 문제는 없었고, 관련 별명도 생기는 등 미담으로 끝났다.[[https://www.youtube.com/watch?v=tGyr3fm_siw|관련 영상]] * [[2014년]] [[2월 28일]], 걸그룹 원피스의 데뷔 무대에서 '감사합니다'가 여러 차례 울려퍼지고 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사고가 일어났다. [[https://www.youtube.com/watch?v=q5nbxhlpVUU&ab_channel=MyKpopBank2|영상]] * [[2015년]] [[7월 24일]], 뮤직뱅크 MC였던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진행 도중 대본 실수를 했다. * [[2016년]] [[5월 27일]], 1위가 방송 3일 뒤에 정정되는 일이 일어났다. 음반 점수 집계 오류로 인해 1위가 [[AOA(아이돌)|AOA]]에서 [[TWICE]]로 바뀐 것. 이는 뮤직뱅크 사상 초유의 사태로, 제작진이 정정 및 사과문을 공지사항에 올렸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뮤직뱅크/K-차트/2015년 1월 이후, 앵커=5월 4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OA(아이돌)/사건 사고, 앵커=뮤직뱅크 점수 오류)] * [[2016년]] [[6월 3일]], [[러블리즈]]의 무대 도중 [[이미주]]가 발목을 5번이나 접지르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미주]]가 근성으로 버텨 더 큰 방송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이후 깁스 판정을 받고 나머지 활동에 전면 불참하였고, [[러블리즈]] 자체도 일주일 간 스케줄을 전면 중단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5FdXEgV65w|당시 영상]]을 보면 눈에 눈물도 고여있고 울상인 상태로 버티던 [[이미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후 방송분의 [[러블리즈]] 무대에선 [[이미주]]의 등신대가 화면에 잡혔다.[* [[파일:옥천얼짱 미주.jpg]]] * [[2016년]] [[9월 23일]], [[라붐]]의 <푱푱> 무대에서 뮤직뱅크 로고가 늦게 표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FaCaVgST3o|영상]] * [[2016년]] [[11월 25일]], [[ASTRO]]의 <고백> 무대 중 실수로 바닥 장면이 2초 간 노출되었다.[[http://tv.naver.com/v/1266156|영상 30초부터]] * [[2017년]] [[2월 24일]], [[Red Velvet]]의 <[[Rookie(Red Velvet)|Rookie]]> 생방송 무대 도중 [[슬기(Red Velvet)|슬기]]의 헤드셋 마이크에 문제가 생기면서 급히 핸드 마이크로 교체하는 해프닝이 일어났다.[[https://www.youtube.com/watch?v=oVAYqalryQY|영상]] * [[2018년]] [[4월 6일]], [[오마이걸 반하나]]의 <[[바나나 알러지 원숭이]]> 무대에서 [[유빈(오마이걸)|유빈]]이 [[승희]]에게 바나나 모양 인형을 건내주어야 하는데 그걸 바닥에 떨어뜨렸다. 사실 원래 안무도 [[승희]]가 바닥에 떨어뜨리는 안무이기 때문에 자연스레 넘어갔다. [[https://www.youtube.com/watch?v=znjh36PYu8U&ab_channel=KBSKpop|영상]] * [[2018년]] [[4월 20일]], [[오마이걸 반하나]]의 <[[바나나 알러지 원숭이]]> 무대에서 [[효정]]의 마이크 연결부가 옷에서 떨어지는 사고가 있었다. * [[2018년]] [[6월 29일]], '''20주년 특집 상반기 결산''' 편에서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밤 (Time for the moon night)]]> 무대 엔딩에 [[TWICE|트와이스]]의 <[[What is Love?(TWICE 노래)|What is Love?]]> 자막이 뜨는 송출 오류가 발생했다. 같은 방송에선 [[모모랜드]] 역시 영문 표시가 틀리게 표시되었다. [[파일:여자친구의 What is Love.png]] * [[2018년]] [[11월 2일]] [[IZ*ONE]]의 무대 가사 자막에서 파트 별 멤버가 여럿 틀린 채 송출되었다. 먼저 [[조유리]]가 [[안유진]]으로 잘못 표기되었고, [[강혜원]]은 '최혜원'으로, [[야부키 나코]]는 '아부키 나코'로 오타가 났다. 게다가 [[혼다 히토미]]의 경우에는 성을 제외한 히토미라고 송출되었다.[* 누구 파트인지 표시해주는 자막은 [[엠 카운트다운]]과 뮤직뱅크가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사건 이후, 외국인 멤버들의 성을 빼고 송출한다. 예시로 [[미야와키 사쿠라]]는 사쿠라, [[야부키 나코]]는 나코, [[혼다 히토미]]는 그냥 히토미라고 내보낸다. 다른 그룹도 마찬가지다.][[https://www.youtube.com/watch?v=ivPMpnkVpyw|관련영상]] * 2019년 3월 29일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꿈의 장: STAR#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CROWN)]]> 무대에서 MR이 1초 가량 꺼졌다 켜졌고 속도가 살짝 빨라졌다 다시 돌아오는 음향사고가 발생했다. 덕분에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라이브 인증을 의도치 않게 하게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_UImrj_sA|관련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KjFowwKfVuI?t=83|현장 영상]] * 2019년 12월 20일 [[러블리즈]]의 <[[종소리(Twinkle)|종소리]]> 무대 중 3초 가량 송출 오류가 발생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JRAJstbiQnU?t=159|(2:39부터)]] * 2020년 7월 24일 1위 발표 오류 * 2021년 10월 29일 걸그룹 [[SECRET NUMBER]]의 <[[Fire Saturday#불토(Fire Saturday)|불토(Fire Saturday)]]> 컴백무대 영상 송출 과정중 시작 지점에서 갑자기 엔딩 장면으로 넘어가는 사고가 발생, 다시 처음부터 송출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net_k&no=20121226|#]] * 2022년 5월 27일 [[LE SSERAFIM]] 무대에서 발소리와 숨소리가 다 들리는 음향사고가 있었다. 그 덕에 [[LE SSERAFIM]]이 라이브를 열심히 하는 모습이 대중들에게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8xUjrmjQVw?si=O5efe1rKRdwhF1Nx]] * 2022년 7월 22일 원래대로라면 1위 점수 공개를 하기전에 카메라가 1위 후보를 향해야 하지만 뒤늦게 향했고, [[SF9]]에게 향해야 할 카메라가 [[ITZY]]에게 향했다 다시 SF9에게 향한 사고가 발생했다. * 2023년 6월 23일 1위 발표 중 최종 점수가 확정되기 전에 화면을 돌려버리는 방송사고가 있었다. 마지막 앵콜 때에도 1위 곡의 가수를 Stray Kids로 오기했다.[* [[파일:musicbank_20230623.png]]] ==# 편성 변동 및 결방 사유 #== ||
'''날짜''' || '''사유''' || || {{{-2 [[1998년]] [[10월 6일]]}}} || {{{-1 추석특집 <올스타 가요제> 대체 편성.}}} || || {{{-2 [[1998년]] [[10월 27일]]}}} || {{{-1 [[1998년 한국시리즈|1998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4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2년]] [[5월 30일]]}}} || {{{-1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공식 전야제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2년]] [[6월 7일]]}}} || {{{-1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B조|B조]] 3차전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파라과이 축구 국가대표팀|파라과이]]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2년]] [[6월 14일]]}}} || {{{-1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2002 한일 월드컵]]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D조|D조]] 최종전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포르투갈]]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2년]] [[8월 15일]]}}} || {{{-1 2002 [[K리그 올스타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3년]] [[7월 17일]]}}} || {{{-1 [[KBO 올스타전|2003 프로야구 올스타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3년]] [[9월 11일]]}}} || {{{-1 추석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이날은 뮤직뱅크 대신 가수들의 무대를 서로 바꿔서 부르는 '생방송 쇼체인지'로 진행했다. 그러나 제작진과 MC, 프로그램 구성이 뮤직뱅크와 동일했기 때문에 사실상 뮤직뱅크 추석특집이라고 볼 수 있다.]}}} || || {{{-2 [[2003년]] [[11월 7일]]}}} || {{{-1 [[200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중국]]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1월 16일]]}}} || {{{-1 2004 아시아 여자농구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중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중국]]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3월 5일]]}}} || {{{-1 공사 창립 기념 [[서태지]] 컴백 스페셜 <교감 서태지>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4월 2일]]}}} || {{{-1 [[2003-04 KBL 챔피언결정전|2003-2004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5월 14일]]}}} || {{{-1 [[2004 아테네 올림픽]] 여자배구 최종예선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일본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일본]]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8월 20일]] ~ [[8월 27일]]}}} || {{{-1 [[2004 아테네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10월 29일]]}}} || {{{-1 [[2004년 한국시리즈|2004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7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4년]] [[12월 31일]]}}} || {{{-1 2004 [[KBS 연기대상]]으로 인한 결방.}}} || || {{{-2 [[2005년]] [[4월 8일]]}}} || {{{-1 [[한국프로야구/2005년|2005 프로야구]] [[현대 유니콘스|현대]] : [[삼성 라이온즈|삼성]]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6년]] [[1월 29일]]}}} || {{{-1 축구 국가대표 친선경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크로아티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6년]] [[3월 19일]]}}} || {{{-1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6 WBC]]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결선 토너먼트|준결승]] 2경기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일본]]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6년]] [[10월 8일]]}}} || {{{-1 추석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07년]] [[2월 18일]]}}} || {{{-1 설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07년]] [[10월 26일]]}}} || {{{-1 [[2007년 한국시리즈|2007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4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8년]] [[2월 8일]]}}} || {{{-1 설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08년]] [[8월 15일]] ~ [[8월 22일]]}}} || {{{-1 [[2008 베이징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8년]] [[9월 19일]]}}} || {{{-1 U-20 축구 친선경기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아르헨티나]]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8년]] [[10월 31일]]}}} || {{{-1 [[2008년 한국시리즈|2008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09년]] [[5월 29일]]}}} || {{{-1 故 [[노무현]] 前 대통령 서거로 인한 결방.}}} || || {{{-2 [[2009년]] [[8월 21일]]}}} || {{{-1 故 [[김대중]] 前 대통령 서거로 인한 결방.}}} || || {{{-2 [[2009년]] [[10월 2일]]}}} || {{{-1 추석특집 <쉘 위 댄스> 대체 편성.}}} || || {{{-2 [[2009년]] [[10월 23일]]}}} || {{{-1 [[2009년 한국시리즈|2009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6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0년]] [[4월 2일]] ~ [[4월 23일]]}}} || {{{-1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인한 방영 중단.}}} || || {{{-2 [[2010년]] [[10월 15일]]}}} || {{{-1 [[2010년 한국시리즈|2010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1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0년]] [[12월 24일]]}}} || {{{-1 성탄특집 <2010 빅스타 X파일 창고 대방출> 대체 편성.}}} || || {{{-2 [[2010년]] [[12월 31일]]}}} || {{{-1 2010 [[KBS 연기대상]]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1년]] [[12월 30일]]}}} || {{{-1 2011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2년]] [[8월 3일]]}}} || {{{-1 [[2012 런던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2년]] [[12월 28일]]}}} || {{{-1 2012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3년]] [[6월 21일]]}}} || {{{-1 2013 [[K리그 올스타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3년]] [[9월 20일]]}}} || {{{-1 추석특집 <리얼 스포츠 투혼> 대체 편성.}}} || || {{{-2 [[2013년]] [[11월 1일]]}}} || {{{-1 [[2013년 한국시리즈|2013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7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3년]] [[12월 20일]]}}} || {{{-1 연말 결산 특집으로 18시부터 110분 확대 편성.}}} || || {{{-2 [[2013년]] [[12월 27일]]}}} || {{{-1 2013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4년]] [[1월 31일]]}}} || {{{-1 설특집 <밥상의 신> 대체 편성.}}} || || {{{-2 [[2014년]] [[4월 18일]] ~ [[6월 6일]]}}} || {{{-1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세월호 침몰 사고]] 및 양대 노조 총파업으로 인한 방영 중단.}}} || || {{{-2 [[2014년]] [[6월 13일]]}}} || {{{-1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FIFA 브라질 월드컵]] 개막 특집으로 18시부터 방송.}}} || || {{{-2 [[2014년]] [[9월 5일]]}}} || {{{-1 [[한국프로야구/2014년|2014 프로야구]] [[두산 베어스|두산]] : [[LG 트윈스|LG]]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4년]] [[9월 19일]]}}} || {{{-1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개막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4년]] [[12월 19일]]}}} || {{{-1 연말 결산 특집 생방송으로 18시부터 110분 확대 편성.}}} || || {{{-2 [[2014년]] [[12월 26일]]}}} || {{{-1 2014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5년]] [[2월 20일]]}}} || {{{-1 설특집 <왕좌의 게임> 대체 편성.}}} || || {{{-2 [[2015년]] [[6월 26일]]}}} || {{{-1 상반기 결산 특집으로 18시 15분부터 방송.}}} || || {{{-2 [[2015년]] [[7월 3일]]}}} || {{{-1 [[2015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 개막식 중계방송으로 인해 18시부터 방송.}}} || || {{{-2 [[2015년]] [[7월 17일]]}}} || {{{-1 2015 [[K리그 올스타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18시부터 방송.}}} || || {{{-2 [[2015년]] [[9월 25일]]}}} || {{{-1 추석특집 <한식, 세계를 품다> 대체 편성.}}} || || {{{-2 [[2015년]] [[11월 20일]]}}} || {{{-1 제52회 [[대종상]] 시상식 생방송으로 인해 18시부터 방송.}}} || || {{{-2 [[2015년]] [[12월 25일]]}}} || {{{-1 성탄 특집 생방송으로 18시 15분부터 방송.}}} || || {{{-2 [[2016년]] [[1월 1일]]}}} || {{{-1 2015 [[KBS 가요대축제]] 재방송 대체 편성.}}} || || {{{-2 [[2016년]] [[4월 1일]]}}} || {{{-1 [[KBO 리그/2016년|2016 KBO 리그]] 개막전 [[두산 베어스|두산]] : [[삼성 라이온즈|삼성]] 중계방송으로 인해 17시 20분부터 방송.}}} || || {{{-2 [[2016년]] [[9월 16일]]}}} || {{{-1 추석 특집 <[[노래싸움 - 승부]]> 대체 편성.}}} || || {{{-2 [[2016년]] [[9월 23일]]}}} || {{{-1 [[KBO 리그/2016년|2016 KBO 리그]] [[KIA 타이거즈|KIA]] : [[NC 다이노스|NC]] 중계방송으로 인해 80분으로 축소 편성.}}} || || {{{-2 [[2016년]] [[9월 30일]]}}} || {{{-1 2016 [[코리아 세일 페스타]] 특집 편성으로 인해 18시부터 110분 확대 편성.}}} || || {{{-2 [[2016년]] [[11월 18일]]}}} || {{{-1 <희망 경주, 함께 하는 대한민국> 특집 편성으로 인해 10분 확대 편성.}}} || || {{{-2 [[2016년]] [[12월 30일]]}}} || {{{-1 2016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7년]] [[1월 27일]]}}} || {{{-1 설특집 <걸그룹 대첩 - 가문의 영광> 대체 편성.}}} || || {{{-2 [[2017년]] [[2월 24일]]}}} || {{{-1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해 17시 20분부터 방송.}}} || || {{{-2 [[2017년]] [[3월 3일]]}}} || {{{-1 공사창립 44주년 및 대한민국 방송 90주년 특집 프로그램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7년]] [[3월 10일]]}}} || {{{-1 [[박근혜 대통령 탄핵|박근혜 탄핵 인용]]으로 인한 결방.}}} || || {{{-2 [[2017년]] [[5월 5일]]}}} || {{{-1 [[KBO 리그/2017년|2017 KBO 리그]] [[LG 트윈스|LG]] : [[두산 베어스|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7년]] [[8월 11일]] ~ [[8월 18일]]}}} || {{{-1 여름방학 특선 만화 [[터닝메카드]] 특집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7년]] [[10월 6일]]}}} || {{{-1 추석특집 <[[살림하는 남자들]]> 대체 편성.}}} || || {{{-2 [[2017년]] [[10월 13일]]}}} || {{{-1 [[KBO 준플레이오프/2017년|2017 KBO 준플레이오프]] 4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17년]] [[10월 20일]]}}} || {{{-1 [[KBO 플레이오프/2017년|2017 KBO 플레이오프]]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17년]] [[12월 29일]]}}} || {{{-1 2017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8년]] [[2월 9일]] ~ [[2월 16일]]}}} ||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8년]] [[2월 23일]]}}} ||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20분부터 방송.}}} || || {{{-2 [[2018년]] [[3월 16일]]}}} || {{{-1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8년]] [[6월 15일]] ~ [[6월 22일]]}}} || {{{-1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FIFA 러시아 월드컵]]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18년]] [[6월 29일]]}}} || {{{-1 20주년 특집 상반기 결산 생방송으로 10분 확대 편성.}}} || || {{{-2 [[2018년]] [[12월 21일]]}}} || {{{-1 연말 결산 생방송으로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18년]] [[12월 28일]]}}} || {{{-1 2018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19년]] [[5월 31일]]}}} || {{{-1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헝가리 부다페스트 유람선 침몰 참사]]로 인한 결방.}}} || || {{{-2 [[2019년]] [[6월 28일]]}}} || {{{-1 상반기 결산 생방송으로 16시 45분부터 방송.}}} || || {{{-2 [[2019년]] [[9월 6일]]}}} || {{{-1 [[조국 법무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19년]] [[12월 20일]]}}} || {{{-1 연말 결산 생방송으로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19년]] [[12월 27일]]}}} || {{{-1 2019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20년]] [[1월 24일]]}}} || {{{-1 설특집 <음치는 없다 엑시트> 대체 편성.}}} || || {{{-2 [[2020년]] [[5월 15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롯데]] : [[한화 이글스|한화]]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5월 29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LG 트윈스|LG]] : [[KIA 타이거즈|KIA]]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6월 5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KIA 타이거즈|KIA]] : [[두산 베어스|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6월 26일]]}}} || {{{-1 상반기 결산 생방송으로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7월 31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KIA 타이거즈|KIA]] : [[롯데 자이언츠|롯데]]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8월 7일]]}}} || {{{-1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8월|중부권 집중 호우 사태]] 및 [[춘천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의암댐 선박 전도 사고]] 뉴스특보로 인한 결방.}}} || || {{{-2 [[2020년]] [[8월 21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롯데]] : [[두산 베어스|두산]]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10월 2일]]}}} || {{{-1 추석 특집 프로그램 대체 편성.}}} || || {{{-2 [[2020년]] [[10월 16일]]}}} || {{{-1 [[KBO 리그/2020년|2020 KBO 리그]] [[KIA 타이거즈|KIA]] : [[LG 트윈스|LG]]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11월 20일]]}}} || {{{-1 [[2020년 한국시리즈|2020 KBO 한국시리즈]]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16시 40분부터 방송.}}} || || {{{-2 [[2020년]] [[12월 18일]] ~ [[2021년]] [[1월 1일]]}}} || {{{-1 2020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21년]] [[2월 12일]]}}} || {{{-1 설 특집 <[[류수영의 동물티비]]> 대체 편성.}}} || || {{{-2 [[2021년]] [[5월 21일]]}}} || {{{-1 제작진의 코로나19 양성 판정으로 인한 생방송 취소.}}} || || {{{-2 [[2021년]] [[6월 25일]]}}} || {{{-1 상반기 결산 생방송으로 16시 50분부터 방송.}}} || || {{{-2 [[2021년]] [[7월 30일]] ~ [[8월 6일]]}}} || {{{-1 [[2020 도쿄 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21년]] [[12월 17일]] ~ [[12월 31일]]}}} || {{{-1 [[2021 KBS 가요대축제: WITH|2021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22년]] [[2월 11일]] ~ [[2월 18일]]}}} || {{{-1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22년]] [[6월 24일]]}}} || {{{-1 상반기 결산 생방송으로 인해 18시 10분부터 100분 확대 편성.}}} || || {{{-2 [[2022년]] [[9월 9일]]}}} || {{{-1 추석 연휴로 인한 결방.}}} || || {{{-2 [[2022년]] [[11월 4일]]}}} || {{{-1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한 결방.}}} || || {{{-2 [[2022년]] [[11월 11일]]}}} || {{{-1 칠레 특집 진행으로 인해 스페셜 방송 대체 편성.}}} || || {{{-2 [[2022년]] [[12월 16일]] ~ [[12월 30일]]}}} || {{{-1 [[2022 KBS 가요대축제: Y2K|2022 KBS 가요대축제]]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23년]] [[3월 10일]]}}} || {{{-1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23년]] [[8월 11일]]}}} || {{{-1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의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K-POP SUPER LIVE|K-POP 콘서트]] 준비 및 생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23년]] [[9월 29일]] ~ [[10월 6일]]}}} || {{{-1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중계방송으로 인한 결방.}}} || || {{{-2 [[2023년]] [[10월 20일]]}}} || {{{-1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2023년|2023 KBO 와일드카드 결정전]] 2차전 예비 편성 여파로 인한 결방.}}} || || {{{-2 [[2023년]] [[11월 10일]]}}} || {{{-1 [[2023년 한국시리즈|2023 KBO 한국시리즈]] 3차전 중계방송으로 인해 17시부터 70분 단축 편성.}}} || || {{{-2 [[2023년]] [[12월 8일]] ~ [[12월 29일]]}}} || {{{-1 [[2023 뮤직뱅크 글로벌 페스티벌]] 편성으로 인한 결방.}}} || || {{{-2 [[2024년]] [[2월 9일]]}}} || {{{-1 설 연휴로 인한 결방.}}} || || {{{-2 [[2024년]] [[4월 19일]]}}} || {{{-1 뮤직뱅크 in 벨기에 공연으로 인한 결방.}}} || == 유튜브 콘텐츠 == 기존에는 [[KBS Kpop]]에는 무대 클립, [[https://www.youtube.com/@STUDIOK_KBS|STUDIO K]]에는 직캠이 업로드되었으나 STUDIO K가 KBS Kpop으로 이사를 가면서 콘텐츠들이 KBS Kpop에 올라오고 있다. * 본방송 클립 * 무대 * MusicBank Interview Cam (대기실 인터뷰) * 직캠 * K-Choreo 8K HDR (전체 정면캠) * K-Choreo Tower Cam 4K (전체 항공캠) * K-Fancam (개인 세로캠) == 여담 == * [[1박 2일|식바산]]이라고 불리는 희대의 산이 뮤직뱅크에서 온 것이다. MU'''SIC BA'''NK(...) * [[파일:external/i65.tinypic.com/osaohf.jpg]] '''출연자들의 출근길을 팬들에게 공개하는 문화가 있다.''' 대놓고 출근길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를 하는 것은 아니고, 보통 이른 아침에 사전녹화를 진행하는 음악 방송의 특성상 대부분의 방송국은 지하 주차장으로 차량을 진입시켜 제한된 통로를 통해 방송국 출입을 시키지만, KBS는 가수들을 신관 공개홀 쪽으로 진입시킨다.[* 아마 출연자 대기실이 신관 후문쪽 주차장과 가까운 건물에 마련되어있어 그쪽이 가장 짧은 길이기 때문일 것이다. 몇몇 그룹은 본관 지하주차장과 연결된 통로를 이용하여 절대 출근길을 볼 수 없기도 하다.] 또한 이곳으로는 차량을 진입하지 못하게하여 가수들이 야외 주차장 게이트 밖에서 내린 후 안으로''' 걸어들어오는데''', 이때 화려한 무대에서의 모습과는 달리 수수하게 사복을 입고 출근하는 가수들의 모습을 생각보다 긴 시간 감상할 수 있다.[* 언제나 제한된 공간에서 적정 거리를 두고 찰나의 시간만 주어지는 아이돌 팬들에게는 이렇게 가까이 꽤 오랜 시간 볼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귀한 시간으로 느껴질 것이다.] 출근길은 대략 아침 7시부터 연달아 시작되는데, 출근길을 본 후 등교하는 학생들과 출근하는 직장인도 적지 않았다. 이것이 알음알음 팬들사이에 입소문이 돌아 더 많은 팬들이 출근을 하는 스타들의 반응과 팬 서비스를 보기 위해 몰려들게 된 것이 시작이다. 덕분에 뮤뱅 출근길은 KBS 9시 뉴스에서 "K-POP 팬들의 순례장소"로 보도되기도 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93566&dable=10.1.4|관련기사]] 또한 출근길 풍경을 [[뮤비뱅크]]를 통해서 소개했었다. 이후 결국 연예부 기자들의 귀에 들어가게 되어 어느순간 팬들과 기자들이 섞이며 뮤뱅출근길이 혼란스러워 지기 시작했다. 이는 대부분의 아이돌 팬들은 소위 [[찍덕]]으로 여겨지는 대포카메라를 든 팬들보다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거나 단순히 간단한 안부인사를 걸기위해 뮤뱅 출근길을 찾는 팬들이 많았었는데, 거대한 카메라를 들고 오로지 기사용 사진을 찍기위한 기자들이 몰리며 혼란스러워 진 것이다. 특히 이 시점부터 다수의 경쟁에서 이기기위해 출연자들에게 달라 붙어 촬영하고 말을 거는 극성 "붙덕"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 기자들은 말할것도 없고 찍덕들도 망원렌즈에서 단렌즈로 바꿔 점점 가까이 촬영하는 방식으로 변하게 되었다. 공항 출입국 현장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기자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약 2015년 경, 팬들의 전유물이었던 뮤뱅 출근길을 본인들의 특권으로 만들기 위해 KBS에 "기자석"을 따로 마련해달라고 요청하였다. [* 이 시기에 뮤뱅 출근길을 다녀본 팬들은 아마 알 수 있겠지만, 뮤뱅 출근길에 마련된 자전거 거치대 쪽을 기자석으로 만들어 팬들과 분리시켜놓고 가이드라인을 치기 시작했다. 그것이 발전(?)되어 현재는 알루미늄제 바리케이트로 교체 후 팬들이 해당 공간을 절대 드나들 수 없게 만들었다.] 여유롭게 같이 걸어가던 출근길이 마치 시사회의 포토존처럼 된 것이다. KBS도 가수들한테 피해만 안 가게 하면 이에 대해 딱히 제재를 하지 않는 편이었으나, 기자들의 편의를 봐주기 시작하며 팬들을 적극적으로 제지하기 시작하며 뮤뱅출근길은 자리싸움, 밤샘, 사다리타기, 팬과 기자들의 알력 등의 문제가 첨철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일부 팬들의 비매너 행위로 사건이 터지기도 한다. 매번 자리 싸움을 하느라 팬들의 사다리가 한 번에 철거되는 건 일상이고, 때로는 팬들이 [[https://www.youtube.com/watch?v=T6F7xxUUrDg|가수에게 몰려드는]] 위험한 장면도 연출된다. 2016년 4월에는 [[우주소녀]]를 촬영하려던 [[https://www.youtube.com/watch?v=X6rq3lQLCWo|팬들간의 싸움]]도 벌어졌다. 2017년 8월에는 워너원 출근길이 취소되는 사건도 있었다. 더 나아가 2019년 9월 24일에는 KBS측에서 출근길 촬영을 제한하려고 했었다. KBS 커뮤니케이션부에서 허가한 매체에서 보도 목적의 촬영만 허용하기로 했는데, 이 공고문이 유출되자마자 팬들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혀 결국 철회되었다. * 시간이 지나 뮤뱅 출근길 직찍 문화는 일종의 팬 서비스 차원으로 가끔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68835|이런]]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190170|약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312&aid=0000178692|콘셉트]]로 출근하기도 한다. 특히 갓 데뷔한 신인 아이돌들은 뮤뱅 출근길로 화젯거리가 되기위해 정성스런 코스프레를 하고 출근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최초의 출근길과는 목적이 많이 달라진 셈. 좋은 예로는 [[러블리즈]]의 [[이미주]]가 이 구역의 지배자로 팬들과 매체의 주목을 받으며 러블리즈의 인지도에 굉장히 많은 기여를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8IVazzgQoQ|예]] [[https://www.youtube.com/watch?v=DJ7GEYDw1JU|예]] [[https://www.youtube.com/watch?v=kYFUjw2P1MM|예]] [[https://www.youtube.com/watch?v=haUeG7PPE1w|예]] 하나 2021년 [[울림엔터테인먼트|소속사]]가 계약만료 후 멤버들과 재계약을 하지 않아서 러블리즈의 활동이 중단됐기 때문에 이미주의 출근길도 중단됐다. * [[2017년]] [[10월 27일]]과 [[11월 10일]]에는 언론노조 KBS 본부 소속 예능국 조합원들이 출근길 피케팅을 하였다. [[http://v.entertain.media.daum.net/v/20171027101408794|10월 27일]] * 뮤직뱅크는 예전부터 유튜브에 대한 콘텐츠 제공이 상대적으로 관대한 편이었다. * 타 방송사들이 한국 IP로는 주요 영상을 볼 수 없게 차단하는 동안에도 지상파 3사 음악 방송 중 유일하게 IP 우회 없이 유튜브에서 다시 챙겨볼 수 있었다. 심지어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중계까지 해줬기 때문에 매회 수만 명의 해외 팬들이 몰려와서 감상을 했다. 보통 금요일에 방송하면 그 다음 주 월요일쯤에 유튜브에 올라왔고, 2016년 5월 20일 방송분까진 1시간 20분 분량의 뮤직뱅크 방송분을 풀로 제공하다가[* 5월 27일의 역대급 방송 사고 때문에 해외 팬들에게 비난받을까 봐 5월 20일까지만 올렸다는 카더라도 있다.] 이후 무대만 하나씩 끊어서 보여주는 것으로 변경했다.[* 그래도 7월 8일자 뮤뱅 기준으로는 18개의 무대가 올라와 있다!] 심지어 '뮤직뱅크 세리머니'를 검색하면 방송 때 잘렸던 가수들의 1위 퍼포먼스도 계속 감상이 가능하다. * 2016년부터는 광고 수익 문제로 국내 한정으로 주요 무대 다시보기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가 다시 제공하고 있다. 심지어 주요 무대의 직캠을 8K 고화질로 제공하고 있다. * 한국 리듬 게임 유저들에게는 [[beatmania IIDX]]의 2016년 신작 [[beatmania IIDX 24 SINOBUZ|SINOBUZ]]의 로고가 이 뮤직뱅크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있다. * 슈퍼스타 K, [[프로듀스 101 시리즈]][* 특히 시즌1의 데뷔조 [[아이오아이]]와 시즌2 워너원은 기본이며, [[IZ*ONE]] 최초의 지상파 1위 기록도 뮤뱅에서 나왔다. 비데뷔조 그룹들도 마찬가지인데, 특히 [[I.B.I]]는 뮤뱅 아니면 지상파를 밟지 못했으며 JBJ의 유일한 음방 1위도 뮤뱅이었다. 다만 시즌4 데뷔조 X1은 프로그램 최종 화에서 터진 논란 때문에 활동 내내 출연이 불발됐다.], 위대한 탄생 등 타 방송 오디션 프로 출신들도 잘 나오는데[* 단, 2018년 상반기 한정으로 JTBC의 [[믹스나인|사기극]]에 사실상 올인한 소속사의 소속 그룹 혹은 가수들도 데뷔 혹은 컴백 당시 바로 나오지 못했던 적이 있다.], K팝 스타 시리즈나 YG 소속 가수들은 출연하지 않는 편. 그나마 언니쓰&옆집소녀 활동 이력이 있던 [[전소미]]와 1박 2일 및 라디오 활동으로 면식이 있는 악동뮤지션도 매한가지. * 2010년 6월 25일 [[거미(가수)|거미]], [[박화요비|화요비]], [[린(가수)|린]]이 [[6.25 전쟁]]을 기념해서 [[그린 데이]]의 '[[21st Century Breakdown#Act 3: Horseshoes and Handgrenades|21 Guns]]'를 불렀다. * [[2011년]] [[5월 13일]]에 1위 후보는 [[나는 가수다]]에 출연해 [[임재범]]이 불러 화제를 일으킨 곡, [[임재범]]의 <너를 위해>와 [[박재범]]의 였다. 본격 '''재범의 전쟁.''' 박재범은 '''무려 11년 전 노래'''와 1위를 다퉈야 했는데 음반 판매를 제외하면 모든 부문 점수에서 임재범에게 밀렸다. 결국 음반 판매량 점수로 박재범이 1위를 하긴 했다. * 2011년 [[11월 25일]] 방송분의 전후로 [[삼성전자]]의 광고를 대거 방영했다. 그 가운데 [[갤럭시 S II HD LTE|갤럭시 S II HD]]의 광고는 두 편당 한 편 꼴로 방영되었다. 그것도 한 가지 내용으로만. * [[2012년]] [[6월 8일]] 방송분은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공연한다고 밝히자 "잔디 훼손이 우려된다." 등 축구팬들의 원성을 샀다. 그리고 우려대로 큰 무대에서 심각한 방송 사고들이 노출되었는데 [[원더걸스]]의 컴백 무대 중 무대 바닥이 2~3초간 방송되었고 , [[백지영]]의 무대 중 삼각 카메라가 노출되었다. 또한 전주월드컵경기장 생방송 공연이 끝난 후 잔디 훼손과 쓰레기장으로 변질돼 최악의 무대로 비판을 받게 되었다. * 2012년 [[11월 16일]]에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역대 최대인 10주 연속 1위와, 통산 최다 1위 기록인 14주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가 일어난 후 뮤직뱅크도 방송을 중단하였는데, 그 후 다른 음악 프로그램들이 방송을 다 재개한 후에도 뮤직뱅크는 KBS 파업으로 인하여 재개되지 않고 2014년 6월 6일까지 8주동안 방송을 중단했다. 그러다가 6월 13일에 드디어 방송이 재개되었다. * 2015년 1월 첫째 주와 둘째 주 뮤직뱅크에서 [[무한도전]]의 [[무한도전 특별기획전/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토토가]] 효과로 1990년대의 히트곡 음원들의 역주행 버프를 받았는데,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bestofbest&no=192762&s_no=192762&kind=bestofbest_sort&page=3&o_table=star|실제로 토토가에 출연했던 가수들의 노래가 케이 차트 상위 10위권에 올라오는 진기록이 나왔다.]] 그리고 1월 2째주 1위는 역시나 당시 역주행 신화의 주역으로 주목을 받던 [[EXID]]의 '위아래'가 수상. 참고로 EXID의 지상파 음악 프로 첫 1위였다. * 2016년 2월 19일, [[SS301]]이 컴백 무대를 가졌는데 컴백 인터뷰는 물론, 컴백 티저 영상까지 없어서 많은 시청자들이 시청자 게시판에 항의글을 올리는 등 [[KBS|그쪽]] 입장에서는 골치 아플 일이 터졌다. * [[2016년]] [[4월 1일]],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이 진행 도중 쓰러지는 일이 벌어졌다. 처음에는 [[박보검]]이 침착해하면서 진행을 하긴 했으나, 아이린이 너무 아픈 것 같아 보여 말을 이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방송일이 [[만우절]]이라 아이린이 연기했던 것 (일명 '[[몰카]]')으로 밝혀졌고[* 아이린이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뻥이야~]]'라고 말하였다.] 박보검은 당황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f7agzfd2Xl8|영상]] * [[2016년]] [[4월 22일]] [[홍진영]]의 '엄지 척' 무대에서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엄지(VIVIZ)|엄지]]가 등장했다. * 2016년 6월 24일 방송된 상반기 결산 특집에서는 [[씨스타]]의 노래가 6곡[* 오프닝 무대로 Shake It, I Swear를, 컴백 스페셜로 끈, I Like That을 불렀고 후배 가수들이 Touch My Body([[유주]], [[모모(TWICE)|모모]], [[조이(Red Velvet)|조이]], [[장승연|승연]]), Loving U([[쯔위]], [[지효]], [[신비(VIVIZ)|신비]], [[엘키]]) 커버 무대를 가졌다.]이나 불렸다. 게다가 그 전 MC들은 뮤직뱅크와 작별 인사를 할 때 짧고 간단히 하는 반면, 이번에는 금요 커플이니 케미 커플이니 해서 [[박보검|두]] [[아이린(Red Velvet)|MC]]를 위한 스페셜 영상(두 MC의 활약상 모음)을 띄워 주고, MC 스테이지[* 유승우의 노래 '선'을 불렀다.]를 가졌다. 그리고 [[수호(EXO)|수호]]가 [[아이린(Red Velvet)|아이린]]에게, [[윤보라|보라]]가 [[박보검]]에게 꽃을 건네며 훈훈하게 마무리.[* 여담으로, 수호와 아이린은 [[SM엔터테인먼트|같은 소속사]] 동갑내기 선후배이며, 보라와 박보검은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과 선후배(각각 09학번, 14학번)이자 전임/후임 MC 관계이다.] * 2016년 3월부터 1998~2001년까지의 방송 일부 회차를 tvGEN 어플에서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2016년 9월 9일자로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2016년]] [[9월 30일]] '코리아세일페스타 쇼핑관광축제 개막공연' 특집으로 영동대로에서 생방송으로 진행하였는데, [[고대영]] [[한국방송공사#한국방송공사 (1973~현재)|KBS 사장]],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신연희]] 강남구청장이 참석했다. * [[2016년]] [[12월 23일]] 연말 특집 방송을 특별하게 꾸몄는데 일명 ''''[[가요톱10]]×뮤직뱅크''''다. 특별히 이날은 오프닝 및 클로징 영상을 '''뮤직뱅크 첫 방송 당시 오프닝'''으로 재현했으며 MC석 위치부터 무대, 자막까지 90년대 음악 방송을 그대로 재현했다.[* 다만, 이 회차에서 가사에 쓰였던 폰트는 당시 KBS 음악 방송에서 사용했던 폰트는 아니다. 사용된 폰트는 주로 MBC에서 사용했으며 KBS는 가요톱10 후반기에 명조체를 썼고 뮤직뱅크에 와서 2000년까지 굴림체 비슷한 폰트로 썼으며 95년에 가요톱10에서도 잠깐 굴림체를 썼었다.] 또한 립싱크 표시도 재현했으며[* 단, 가요톱텐과의 차이점이라면 당시에는 립싱크 표시에 테이프 그림이었지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이 방송에서는 CD 그림이 떴다. 이 CD 그림은 뮤직뱅크 초창기에 사용했던 립싱크 표시와 동일하다.] 이날은 연말 결산 특집이라 순위 발표는 따로 안했기 때문에 당시 1위 발표 그래픽과 팡파레는 재연하지 않았다. [[2017년]] [[6월 30일]] 상반기 결산 특집 방송에서도 다시 한번 이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지난번처럼 당시 1위 발표 그래픽과 팡파레는 나오지 않았다. * 2016년 이후 뮤직뱅크가 [[가요톱10]]보다 더 오래 지속한 프로그램이 되었다. *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탄핵 방송으로 인해 생방송 예정이었던 뮤직뱅크가 결방을 하였다. 단, 녹화는 예정대로 진행하여 17일에 방송하였고, 17일 차트는 홈페이지로 공개했다. [[http://stoo.asiae.co.kr/news/naver_view.htm?idxno=2017030914100834738|기사]] * 케이블을 포함한 음악 방송 중에 가장 빨리 자막이 다음 가사로 넘어간다. 너무 빨리 넘어가는 것도 딱 맞게 넘어가는 것도 아닌 약간 빨리 다음 가사로 넘어가는 덕분에 뮤직뱅크를 보며 노래를 부를 때 가사를 잘 몰라도 막힘없이 부를 수 있다는 건 소소하지만 큰 장점. * 2017년 06월 30일 상반기 결산 특집으로 생방송을 준비하던 뮤직뱅크에서 폭발물 설치를 했다는 난동이 벌어져서 경찰과 특공대 육군수도방위사령부 그리고 119 구조대원들이 출동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다행히 폭발물은 설치되지 않았으며 장난 전화인 것으로 밝혀졌다. 더 다행인 것은 리허설 때 벌어진 일이다.[[http://news.donga.com/3/all/20170630/85137352/2|해당 기사]] 만약 리허설이 아닌 진짜 생방송 때 벌어졌다면 생각만으로도 끔찍하다. 참고로 뮤직뱅크 폭발물 장난 전화를 일으킨 [[범인]]은 캐나다에 거주를 하고 있는 남자라고 한다. [[에이핑크]] 협박범이라고. * 2017년 9월 8일 [[KBS]] 노조의 파업으로 부장급 인사들이 연예인들을 다시 섭외했다.[* 파업 중에도 뮤직뱅크는 정상 방송했다.] 연출도 부장급이 담당하였는데, 가수 무대 순서마저 잘나가는 순이 아닌 데뷔 순으로 짰다. 이날 아이돌 팬들은 연출이 안정적이라며 호평(?)했다. 일명 '''부장뱅크'''. 심지어 무대가 보기 좋다는 이유만으로 파업이 계속됐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다.[* 결국 이 말은 가요톱10에서 뮤직뱅크로 넘어가면서 인수인계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말하고 일맥상통한다.] * 2017년 12월 22일에는 1위 발표 이후 클로징 멘트와 1위 곡 앵콜[* 여담으로 이날 1위 곡은 [[TWICE]]의 [[Heart Shaker]]였다.]을 하는 것을 대신해 [[SHINee]]의 [[종현]]를 애도하는 멘트를 남겼고 앵콜 역시 진행하지 않았다. 2018년 2월 2일에 종현의 유작 앨범인 '빛이 나'가 1위를 함에 따라[* 이 날 상대는 [[장덕철]]의 그날처럼이었다. 종현이 음원 점수에서 뒤쳐졌으나 팬들의 힘에 입어 5만 장의 음반을 팔아 음반 점수로 이를 역전시키면서 1위를 하였다.] 앵콜은 그의 뮤직비디오를 방영하는 것으로 대체하였다. * 2018년 4월 6일 방영분부터 노래 가사의 파트를 보여주고 있다. ( 단, 솔로 제외[* 솔로 가수인 경우에도 피처링 가수가 있는 경우, 가사의 파트를 보여준다.]) * 2018년 6월 8일과 6월 15일에는 뮤직뱅크가 진행되던 KBS 신관 공개홀이 점검(이 시기에 2018 지방선거 개표 방송을 신관 공개홀에서 했다.)으로 인해 2주간 촬영을 할 수 없게 되어, KBS 별관에서 임시 진행함에 따라, 그곳의 기술적 환경으로 인해 방송 색감이 바뀌었다. 전체적인 명암, 색감이 옅어지고 원색이 좀 튀어보이게 바뀌었는데, 특이한 건 빨간 조명이 약간 핑크색에 가깝게 나온다. 그 다음 주인 6월 15일에 방송 색감이 또 바뀌었다. 저번 주에 비해 채도가 좀 올라갔다. 6월 22일, 다시 KBS 신관 공개홀로 돌아가면서 색감이 원래대로 돌아왔다. 2018년 10월 중순부터는 조명 교체가 이뤄졌는지 얼굴 입체감이 좋아졌고, 피부톤 표현이 부드러운 느낌으로 바뀌었다. 다만 요즘에는 몇몇 무대는 얼굴이 너무 붉게 보이는 문제가 종종 있다.[* 2016년 4월 8일과 15일 방송분에서도 임시로 KBS 별관에서 진행했을 때 같은 일이 일어났었다. 허나 이건 조명의 탓이 아니라 영상감독이 색감 설정에 실수가 있었거나 송출과정에서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조명은 빨강으로 가는데 핑크로 나오게 간다면 조명감독은 마술사임에 틀림없다.] * 2018년 10월 5일 방영분부터 뮤직뱅크로 컴백하는 가수의 순서에 최초 공개 자막이 붙기 시작했다. 다만, 대다수의 가수들이 엠카운트다운으로 컴백을 하기 때문에 엠카운트다운이 결방을 하지 않는 이상 최초 공개 자막을 볼 일은 적으며 주로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에게서 볼 수 있다.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은 보통 뮤직뱅크에서 컴백 무대를 갖기 때문. * [[롱테이크]] 촬영 기법을 시도때도 없이 쓴다. 덕분에 포인트 안무를 놓치는 등 보기 불편한 부분들이 많이 발생하지만 계속 쭉 쓰고있다. 게다가 무대 위에서 찍어서 센터 멤버와 파트 중인 멤버가 크게나오고 옆에 있는 다른 멤버의 크기와 위치가 어정쩡하게 나와서 보기 불편하다. * 2019년부터 1위 아티스트의 앵콜이자 엔딩 무대 시에도 광고를 내보낼 때까지 뮤직뱅크 출연 아티스트들이 무대에서 --절대로 퇴장하지 않는다.-- 단, 불가피한 스케줄로 인해 뮤직뱅크에서 끝까지 엔딩 무대를 함께할 수 없는 아티스트는 엔딩 무대 없이 곧바로 스케줄을 하러 떠나므로 제외된다.다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앵콜 MR이 나오면 천천히 퇴장하게 되었다. * [[2019년]] [[5월 31일]] 생방송 예정이었던 뮤직뱅크는 [[헝가리 유람선 침몰 사고]]의 여파로 인해 '코리언 지오그래픽 플러스'와 '[[대화의 희열]]'로 대체 편성되었다. 다만 녹화는 예정대로 진행했으며 해당 녹화분은 [[2019년]] [[6월 7일]]에 방송되었다. [[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92348|기사]] * [[2019년]] [[10월 18일]]에 1000회를 맞았다. 그리고 하기된 채널 관리자 피셜로 예고 스트리밍 댓글을 봤었던 90년대 및 00년대 가수 팬들의, [[냉소|1000회 특집에 출연한 아이돌들의 커버 무대들을 본 반응은 거의..]] 단지 [[SUPER Clap|슈퍼주니어의 컴백(선공개) 무대]]가 있었기에 위안거리라고 하기도. * 유튜브 STUDIO K 채널에서 과거의 뮤직뱅크 영상을 방영중이'''었'''다. 초반에는 KBS 출연 금지 연예인은 편집 후 방영했었으나 2019년 9월 23일부터 무편집으로 방영되었다. 1998년 6월 3주차(1회)부터 시작하여 현재 2019년 11월 8일 18시 기준으로 2010년 3월 방영분이 방송 중이다. 그러나 서버 문제 등의 사유로 인해 2019년 11월 13일 오전 5시 즈음 2011년 1월 4주 방영분까지[* 이후는 당일 오후 4시까지 스트리밍 하는 것으로 피셜이 나온 바 2011년 1월 3주 [[박정민(SS501)|박정민]] 컴백무대까지만] 스트리밍 후 KBSKpop 채널로 스트리밍 장소를 옮겼다. 스트리밍 채널을 옮긴 뒤부터는 2013년도까지 연장됐다. 하지만 채널 관리자가 2019년 12월 31일 자정부로 스트리밍이 중단된다는 사실을 알려왔으며 2010년 5월 4주 방영분까지 스트리밍된 후 중단되고 말았다.[* 이전에도 2019 KBS 가요대축제 때 레드카펫 유튜브 스트리밍으로 인해 하루 멈춘 적은 있었다. 그런데 이 시기를 지나면서 2020년 새해 첫날 잠시 쉰다는 내용에서 아예 도중 중단이라는 수준까지 이어진 것. 채널 관리자는 '''차후 스트리밍하는 게 언제일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공지했고 이 때문에 언제 다시 재개될지 알 수 없는 상황.] * [[Wavve]]에 KBS 뮤직뱅크 클래식 채널이 생겼으며 1화부터 방송중인 걸로 확인된다. 2019. 10. 19일 00시 기준으로 11월 3일분이 방송중이다. * [[2020년]] [[1월 3일]] 방송분부터 음원 사이트 '[[멜론(음원 서비스)|Melon]]' 가상 광고를 시행하고 있다. *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의 여파로 활동을 중단했다가 2020년 2월 17일 컴백하는 [[IZ*ONE]]의 출연이 결정되면서 공홈 시청자 게시판에서는 치열한 공방을 치른 바 있다. 이에 대해 담당 CP는 IZ*ONE은 출연 규제 대상이 아니지만 2020년 2월 21일 방송에 한해 출연을 허용했다고 밝혔다. IZ*ONE의 팬덤은 바르지 않은 처사라며 분노했고, 팬덤 안의 변호사들까지 나서서 내용증명을 보내는 등 격렬하게 반발했다. 결국 담당 CP가 IZ*ONE을 [[불후의 명곡]]에 캐스팅하면서 사태가 진화되었다. * 2020년 10월 9일에는 574주년 한글날을 맞이해서 뮤직뱅크나 케이차트 등과 같은 외래어를 한글로 바꿔서 말하였다. 예를 들어서 뮤직뱅크는 '음악 은행'으로, 케이차트는 '오늘의 순위'로 순화하여 말한 것이다. * 2010년대 이후로는 광고가 1~2개 붙는데 공휴일에 뮤직뱅크가 방영될 경우[* 명절([[설날]], [[추석]]), 연말 연시([[크리스마스]], [[새해 첫날]])에는 결방한다.]에도 여러개 붙는 수준이고 또한 시청률이 반짝 상승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3년 5월 5일 어린이날 방송은 전주 0.4%를 기록하던 시청률이 휴일 영향과 궃은 날씨로 인해 1.0%로 반짝 상승했다.] IMF 외환위기에서 회복된 이후로 2000년대 중반까지는 광고가 전부 팔리는것이 일상이던 시절[* 1995~2015년에는 지상파 TV프로그램에서 방송시간의 10%를 광고로 배분되었기 때문에 1시간당 15초 광고 24개가 편성되었다.]도 있었지만 시간대 이동+시청률 하락으로 초라해진것이다. 특히 시청률 하락도 타 음악 방송보다 빨라서 이미 2000년대 중후반에 광고가 절반밖에 안팔리던 수준이었고, 2010년대에 저녁시간대로 복귀한 이후로도 시청률이 날이 갈수록 낮아지다보니 광고가 별로 안팔린다. 그러나 외국인 시청자들이 위낙에 많기 때문에 부가수익은 상당하다. * 파트별 자막에 멤버의 활동명이 함께 나오는데, [[엠 카운트다운]]과는 달리 해당 그룹의 공식 표기를 따른다. * [[IZ*ONE]]과 같이 활동명이 본명인 멤버는 성을 포함한다.[* 일부 그룹은 성을 제외하고 쓴다. [[IZ*ONE]] 해체 후 재데뷔한 멤버인 [[LE SSERAFIM]]의 [[미야와키 사쿠라]]와 [[김채원(LE SSERAFIM)|김채원]], [[IVE]]의 [[안유진]]과 [[장원영]]이 성을 포함했다. 물론 사쿠라의 경우 [[IZ*ONE]] 때는 성까지 썼지만, [[LE SSERAFIM]]로 재데뷔한 후에는 사쿠라라고 썼다.] * 예외적으로 [[이수정(가수)|베이비소울]]은 소울이라고 표기한다. * [[DIA(아이돌)|다이아]]의 멤버인 [[기희현]]과 [[정채연]]은 각각 희현과 채연으로 표기한다. * 무대에서 피쳐링을 한 가수가 출연을 할때는, 원곡의 가수와 피쳐링한 가수 모두 활동명에 맞추어 파트를 표기한다. 솔로가수의 무대여도 마찬가지이다. * 2021년 7월 1일부터 지상파 방송의 중간광고가 허용되었는데 [[쇼! 음악중심]]과 더불어 중간광고를 내보내지 않는 음악 방송이다. * 2022년 4월 21일에 제작진이 공지를 통해 2022년 5월 6일부터 공개 방청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회가 무기한 연기되었던 2020년 1월 31일 방청 당첨자들에 한해 2022년 5월 6일 방송부터 한 회에 18명씩 순차적으로 방청 기회를 드린다"고 전했다.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12&aid=0003552671|기사]] [[https://program.kbs.co.kr/2tv/enter/musicbank/board.html?smenu=264b73&bbs_loc=T2000-0027-04-626614,read,,58,1129962|뮤직뱅크 2020년 1월 31일 방청 당첨자 관련 안내]] * 2022년 7월 8일 방영분에서는 [[MCND]]의 무대도중 긴급뉴스 속보로 [[아베 신조]]가 [[아베 신조 피살 사건|사망한 소식]]이 나온것이 화제가 되었다.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imeulja/status/1545357005866405888, 크기=25)] * 2022년 4월 8일 뮤직뱅크 무대 이후 [[승희]]가 SNS에 계단에 설치된 난간대 안에 들어가서[* 매니저님들이 [[승희]]가 난간대 안에 들어간다고 했을 때 고개를 절래절래 저으며 만류했다고 하며 난간대는 아래에서 윗쪽으로 통과했다고 한다.] 찍은 사진을 올렸는데[[https://www.instagram.com/p/CcFcFivpRK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이 사진들이 기사화되거나 커뮤니티에 올라오면서 화제가 되었다.[[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61307261137895&IST|관련 기사]] 일명 승희존으로, 이후 많은 연예인들의 사진 명소가 되었으며 KBS Kpop 공식 인스타그램에 승희의 포토존에 관련된 게시물이 올라왔다.[[https://www.instagram.com/p/CeQ9CsOBXRK/?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또 옆 계단에는 같은 해 7월 23일 [[효정]]이 만든 효정존도 있다.[[https://www.instagram.com/p/CgWWt_Sh5nP/|[[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종현, version=1358, paragraph=5.1)] == 논란 및 사건 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 [[LE SSERAFIM]] 1위 논란 (무혐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LE SSERAFIM/논란 및 사건 사고, 앵커=뮤직뱅크 1위 공정성 논란 (무혐의))] 2022년 5월 13일 [[LE SSERAFIM]]과 [[임영웅]]이 1위를 두고 경쟁하는 가운데, 모든 수치가 임영웅이 앞섰지만 뜬금없이 '''방송점수'''에서 르세라핌이 5348점을 거머쥐면서 차트 1위가 르세라핌이 되는 일이 벌어졌다. 정작 임영웅은 대놓고 '''0점'''. 이것이 논란이 되자 KBS에서는 임영웅의 뮤직뱅크 1위 후보곡 <다시 만날 수 있을까>가 정해진 집계 기간 동안 KBS에 방송된 적이 없고, 임영웅의 다른 곡 <이제 나만 믿어요>, <별빛 같은 나의 사랑아> 등으로 시청자 선호도가 분산되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https://www.news1.kr/articles/?4684765|해명]]했다. 다만, 한번도 방송된 적이 없다는 해명은 거짓으로 드러났는데, 집계기간 동안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33/0000082066|KBS 라디오]]에 수 차례 방송된 기록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KBS 측의 추가적인 해명으로는 '''방송점수 중 라디오 부분은 KBS 쿨FM 7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집계한다'''라는 [[https://www.yna.co.kr/view/AKR20220519155300005|입장]]을 밝혔지만[* 이 말은 중장년층 대상 음악 채널인 [[KBS 해피FM]]을 비롯하여 그 외 채널들은 집계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결국 5월 28일 [[http://naver.me/xwDehflr|경찰이 수사에 들어가]] 8월 24일, 입건되었다는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44/0000832889|기사]]가 올라왔다. 이후 다음 해 2월 10일, 경찰에서 ''''집계기간 외에 해당 하여 조작으로 볼 수 없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보통 방송은 오전 5시부터 익일 오전 5시를 기준으로 편성된다. 하지만 자정부터 오전 5시 사이에 방송될 경우 전날자 방송으로 집계된다. 임영웅의 노래가 방송된 '뮤직뱅크'는 이 경우로 집계기간 외에 해당해 조작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경찰의 판단이다.']고 판단하여 '''무혐의'''로 수사가 종결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686534?sid=102|기사]] == 둘러보기 == [include(틀:K-POP)] [[분류:뮤직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