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물]]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현실의 연구실, rd1=연구실)]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테란)] [목차] == 개요 == >{{{+1 '''물리 연구실'''}}}, 物理 硏究室, Physics Lab, 피직스 랩 >---- >고에너지 [[입자 가속기]]와 다양한 분석 장치들을 빠짐없이 갖춘 물리 실험실을 [[과학 시설]]에 추가함으로써, 테란 과학자들은 더욱 다양한 기술적 발전을 시도할 수 있게 되었다. {{{#!wiki style="float:left; text-align:center; margin-right:20px" [[파일:SCR_301_Physics_Lab.gif]] [br] 연구 시 [*평상_시 [[파일:SCR_301_Physics_Lab.png]] ]}}}{{{#!wiki style="float:left" ||건설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50,vespene=50,time=40)] || || 부착 건물 || [[과학 시설]] || 단축키 || P || || 생명력 || [[파일:SC_Icon_HP.png|height=16]] 600 || 방어력 || 1 || || 특성 || 지상, 건물, 기계 || 크기 || 대형 || || 면적 || 2 × 2 || 시야 || 8 ||}}}[clearfix] [[스타크래프트]]에 등장하는 [[테란]]의 부속 건물. [[사이언스 퍼실리티]]의 부속 건물들 중 하나로 [[우주공항|스타포트]]에서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를 생산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과 배틀의 업그레이드를 담당하는 건물이다. 설정상 모든 배틀크루저들의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입자 가속기를 보유한 곳이다. 물론 게임상에선 피직스 랩이 터졌다고 배틀이 호구가 되진 않지만 [[스타크래프트/캠페인/에피소드 5|브루드워 테란 캠페인]]에서 [[UED]] 원정군이 자치령의 피직스 랩을 습격해 자치령 함대를 몽땅 고철로 만들어버렸을 정도로 배틀 운용에 중요하다는 설정이 있다. 네 번째 미션에서 피직스 랩 대신 뉴클리어 사일로를 무력화시키는 분기를 선택하면 다음 미션에서 멀쩡한 자치령 배틀 편대에게 야마토 테러를 당하며 피직스랩의 중요성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반대로 피직스 랩을 터뜨리면 허구한 날 핵이 날아온다. --그러고도 온 도시가 멀쩡하게 복구되는 게 신기하다.-- 최종병기의 생산을 지원하는 건물답지 않게 저렴해서 사이언스 퍼실리티가 올라갔을 때 그냥 하나 지어주면 상대방을 괜히 쫄게 만드는 숨겨진 효능이 있다. 건물이 내는 소리가 물 내리는 소리를 연상케 한다. 그래서 그런지 유즈맵에서 간지나는 설정은 온데간데 없고 종종 화장실, 변기 역할을 도맡는 부업을 뛰는 중.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융합로]](Fusion Core)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지만 대신 건물의 기능을 개선하여 [[기술실]]로 변경 되었다. 역할은 기존의 부속건물들처럼 각 생산 건물의 상급 유닛을 해금하는 부속건물이며 서로 다른 건물로 지은 기술실이 호환된다. [* 병영은 부속건물이 없었으므로 사관학교의 역할을 겸한다고도 할 수 있다.] 1.08 패치: 야마토 포 연구 비용 200/200 → 100/100 == 기술 및 연구 == 사용, 적용 유닛: [[전투순양함|배틀크루저]]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51_Yamato_Gun.png|width=80]]}}} ||'''야마토 포 연구''' Research Yamato Gun (Y) [br]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100,vespene=100,time=120)]  /  [[파일:SC_Energy.png|height=21]] 150 야마토 포는 고밀도 자기장을 소규모 핵폭발에 작용시켜 고밀도 에너지 광선으로 뿜어낸다. 야마토 포로 인해 전투순양함은 거의 모든 적 방어선을 손쉽게 뚫을 수 있는 파괴력을 갖추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4px -9px" [[파일:SCR_Icon_285_Colossus_Reactor.png|width=80]]}}} ||'''[[콜로서스]] 반응로 연구''' Research Colossus Reactor (C)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terran=,mineral=150,vespene=150,time=166)] 거대 반응로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전투순양함은 야마토 포의 엄청난 에너지 소모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 '''[[야마토 포]] 연구''' 배틀크루저가 [[야마토 포]]를 쓸 수 있게 한다. 본디 200/200에 연구 시간도 더럽게 긴 고급 연구였으나 브루드워로 넘어오면서 잉여였던 각 종족의 최종 테크 유닛들을 상향하면서 영구적으로 반값 세일하고 있다. * '''콜로서스 반응로 연구''' 배틀크루저의 최대 에너지가 200 → 250으로 증가하고, 초기 에너지가 50 → 62.5로 증가한다. 배틀크루저의 어마어마한 에너지 소모량을 커버하는데 부분적으로 일조하는 기술이라고 하는데 게임상에선 와닿는 게 없어서 별 볼일 없는 업그레이드. 그나마 테테전의 장기전에서 배틀싸움을 할 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생산되면 62로 시작하여(노업은 50) 150까지 빨리 모이며 배틀싸움 특성상 에너지를 모아두는 경우가 많은데 그 때 야마토를 쏘면 다음 야마토가 노업보다 빠르다. 특히 풀 에너지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 장전까지 모아야 하는 에너지가 100에서 50으로 반이나 확 줄어든다.] 그래서 돈이 남아돌면 '''눌러는 준다.''' 리마스터 정식 번역에서는 Colussus 부분을 거대로 의역을 해놓아서 거대 반응로가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