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묻혀진 계곡/emvalley.jpg]] || 영어 명칭 || Entombed Valley || || 제작자 || 블리자드 || || [[스타크래프트 2/지형 유형|지형 유형]] || 다양 || || 이용 가능 크기 || 148x148 (168x176) || || 인원 || 4 (2, 4, 8, 10) || [[블리자드]]의 [[스타크래프트2]] 래더맵이며 [[GSL]],[[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의 공식 맵 [* 단[[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는 WCS버전.][* 하지만 GSL버전이나 WCS버전이나 사실상 다를 것이 없다.] == 블리자드의 설명 == ||본진 밖으로 나와 방어가 용이한 근처 확장 기지들을 확보하십시오. 중앙의 젤나가 감시탑이 중앙 경로 대부분을 내려다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상세 == 래더 시즌 5에 추가된 두 맵중 하나. [* 다른 하나인 메마른 고원은 시즌6에서 탈락. ] === 경기 양상 === 프로토스들도 인정하는 [[토스맵]]의 대표 주자. 프로토스가 저그를 상대로 '''6분에도''' 트리플을 안전하게 지을 수 있기 때문에, 프로토스 선수들이 매우 선호한다. GSL, GSTL에서 프로토스가 저그 선수들을 상대로 내는 맵 대부분이 묻혀진 계곡일 정도다. 세로가 걸린다면 일명 '''1관문 트리플'''이라 불리우는 6분에 트리플을 성공시킨 이후 8차관을 완성시킨다음에 파수기와 점멸추적자 러쉬를 가게 되는데, 저그 입장에서는 상당히 막기 힘든 편이다. [[http://kr.battle.net/sc2/ko/blog/2487510/%EC%9E%90%EC%9C%A0%EC%9D%98_%EB%82%A0%EA%B0%9C_%EC%83%81%ED%99%A9_%EB%B3%B4%EA%B3%A0%EC%84%9C_2013%EB%85%84_1%EC%9B%94_12%EC%9D%BC-2013_01_12|1월 12일 패치]]로 레더맵에서도 더이상 가로위치는 걸리지 않는다. == 기타 == 스타1 맵인 [[디 아이]]와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전반적인 지형모양부터 멀티 위치까지 비슷하다. 또 [[써킷 브레이커(스타크래프트)]]와도 비슷하다. 물론 이경우는 아마도 [[십자포화]]와 유사한 경우라고도 볼 수 있다. 이전 스1 맵 에디터 내 약관에서 만드는 맵의 1차 저작권은 블리자드에 있다고 나와 있기 때문. 이중 피동이 적용되어 맞춤법 오류가 있는 이름이다. 그 후에도 캠페인이나 협동전 대사 등을 보면 곳곳에서 맞춤법 오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별 신경 안 쓰는 듯. == 관련항목 == [[스타크래프트2/맵]], [[저그맵]], 쌍두형 맵, [[테란맵]] , [[토스맵]] [[분류:스타크래프트 2/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