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대한민국의 출판사. 월간 문예지인 '문학사상'을 발행하고 있다. 편집주간 [[이어령]], 발행인 겸 편집인 김봉규에 의해 1972년에 창간되었으며, 1970년대 중반엔 한 달에 5만 부에서 7만 부나 발행할 정도로 인기있었던 문예지이다. 현재 정식 명칭은 (주)문학사상. 1990년대까지만 해도 [[창작과비평]], [[문학과 사회]] 등과 함께 한국 대표 문예지였다. [[임홍빈]]이 인수하여 1985년부터 운영해왔다. 지금은 문예지 자체로는 당연히 적자로 예상된다. 그러나 비밀병기 '[[이상문학상]]'이 있다. 작가들이 가장 받고 싶어하는 상을 들자고 하면 '이상문학상'과 '[[동인문학상]]'이 아닐까 싶다.[* 이상문학상의 경우 상을 수상작 작품은 저작권을 3년간 양도해야 한다는 독소조항 때문에 작가 측에서 거부한 사례가 있다.] 오랜 역사만큼 많은 작가를 배출했다. 하나 뭐니뭐니해도 문학사상이 낳은 최고의 작가는 [[윤대녕]]이라고 볼 수 있다. 윤대녕 소설가는 1988년에 대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음에도 공식적으로는 1990년 문학사상 신인상 수상('어머니의 숲')을 등단 이력으로 적는다. 아마도 지방지 신춘문예 당선이 약력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사실이 작용한 듯싶다. 별 볼일 없는 출판사 같아 보이지만 은근히 베스트셀러를 많이 펴냈다. 대표적으로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를 펴내 대박을 맞았으며, [[무라카미 하루키]]와 계약을 맺고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부터 [[어둠의 저편]]까지의 작품들을 준 독점적으로 출간해서 쏠쏠한 이익을 보기도 했다. 특히 [[상실의 시대]]는 제목까지 자체적으로 바꾸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표지 디자인이 쭉 옛스럽기로 유명하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진 그나마 실력있는 디자이너가 들어와 깔끔해졌다가 퇴사를 해버렸는지 2015년부터 도로 촌스러운 디자인으로 복귀해버렸다. [[분류:대한민국의 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