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 || {{{#fff '''문성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민주노동당 대표)] ----- [include(틀: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지사 후보)] ---- [include(틀:금속노조 역대 위원장)] }}} || ---- ||<-2> '''[[경제사회노동위원회|{{{#FFF 제12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br]{{{+1 문성현}}}[br] 文成賢 | Moon Sung-hyu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문성현 위원장.jpg|width=100%]]}}} || ||<|2> '''출생''' ||[[1952년]] [[2월 8일]] ([age(1952-02-08)]세)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 [[http://www.hygn.co.kr/3232|#]]] || ||<|2> '''재임기간''' ||제12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 ||[[2017년]] [[8월 25일]] ~ [[2022년]] [[7월 20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문병영[* 文炳永, 1930년생], 어머니 강점남[* 姜点男, 1931년생] || || '''학력''' ||대궁국민학교[* 1991년 폐교되어 함양 수동초등학교에 통합되었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6065&docId=5868630&categoryId=66092|#]]] {{{-2 (전학)}}} [br] 지곡국민학교 {{{-2 ([[졸업]])}}}[br][[함양중학교]] {{{-2 ([[졸업]])}}}[br][[진주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상과대학]] {{{-2 ([[경영학]] / [[학사]])}}} || ||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약력''' ||동양기계 노조 사무국장[br]경남노동자협의회 의장[br]전국노동자운동단체협의회 공동의장[br][[전국노동조합협의회]] 사무총장[br][[민주노총]] 전국금속연맹 위원장[br][[민주노동당]] 중앙위원[br]민주노동당 대표[br]민주노동당 지도위원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생애 == [[https://www.yna.co.kr/view/AKR20170823119451004|간략한 생애]] 1952년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에서 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아버지 문병영(文炳永, 1930년생)과 어머니 강점남(姜点男, 1931년생)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함양 지곡초등학교, 함양중학교, [[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71학번으로, 대학 재학시절 서울 중구 장충동 경동교회에서 야학활동을 했고, 전태일 열사 사건에 영향을 받아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 1975년 대학 졸업과 동시에 병역을 마친 뒤 1979년 한도공업사 프레스공으로 노동계에 투신했다. 1982년 동양기계에서 노조활동을 하면서 노동쟁의조정법 위반으로 구속돼 3년여 수감생활을 했고, 1985년에는 부산·경남지역에서 해고자 복직투쟁을 하고 대우조선 노조결성을 주도하다 또다시 구속됐는데 당시 변론을 맡은 변호사가 [[노무현]] 전 대통령이었다. 1988년 경남노동자협의회 의장과 이듬해 전국노동운동단체협의회 공동의장이 되었으며, 1989년 제3자 개입금지 위반 혐의로 세 번째 구속됐을 때 변론을 맡은 변호사가 [[문재인]] 전 대통령이었다.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창설을 주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차례 투옥됐다. 1993년에는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사무총장을 거쳐 1999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연맹 위원장을 지냈다. 1999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서 탈퇴할 당시에는 산하 금속노조 위원장을 맡아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정치 이력 == 2000년 [[민주노동당]]이 창당되자 합류하여 중앙위원을 맡았다. 2004년부터 민주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 후보로 [[경상남도지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김태호(1962)|김태호]]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2006년 당 대표에 취임했으나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권영길]]이 예상보다 훨씬 초라한 성적을 거두면서 참패하자 [[심상정]]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가 구성되고,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다. 2010년 당 지도위원을 맡았고,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창원시장]] 후보로 출마했으나 [[한나라당]] [[박완수]]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했다. 이후 [[통합진보당]] 창당에 참여했으며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창원시 의창구(선거구)|창원시 의창구]]에 야권단일후보로 출마했으나 [[새누리당]] [[박성호(1957)|박성호]]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2011년 12월 민주노동당이 해산하고 통합진보당이 출범하자 얼마 후 통합진보당을 탈당하고 [[제18대 대통령 선거]] [[문재인]] 후보 캠프에 합류하여 부산지역 선거대책위원회에서 활동했다.[* 2006년에 자주파 계열의 후보로 민노당 대표 선거에 나오기 전까지는 단병호, 심상정과 함께 '문단심'이라고 불리는 민주노총 [[중앙파]] 인사로 NL계열과 친밀한 [[국민파]]와는 엄연히 다른 계열이었다. 2006년 당시 패권주의로 비판받던 자주파에 의해, 얼굴마담 역할로 영입된 외부 인사로 보는 쪽이 더 합리적일 수 있다. 즉 굳이 따지자면 NL보다는 PD에 가까운 인물이었다.] 2017년,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에 위촉되었다. 2022년 7월 20일,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히며 사표를 제출했다.[[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72101030521335001|#]] == 소속 정당 == || {{{#ffffff '''소속'''}}} || {{{#ffffff '''기간'''}}} || {{{#ffffff '''비고'''}}}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1990 - 1992 || 창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92 - 1994 ||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4 - 1995 || 입당 || || [include(틀:신한국당)] || 1995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1997 || 탈당 || || [include(틀:건설국민승리21)] || 1997 - 1999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9 - 2000 || 정당 해산[* [[민주노동당|신당 창당]]을 위한 자발적 정당 해산]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00 - 2011 || 창당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1 - 2012 || 합당[* [[국민참여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2 - 2015 || 탈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2022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22 - 현재 || 탈당[br]정계 은퇴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6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상남도지사]] ||<|2> [include(틀:민주노동당)] || 135,823 (10.05%) || 낙선 (3위) ||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경남 [[창원시장]] || 133,184 (27.40%) || 낙선 (2위) ||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창원시 의창구(선거구)|창원 의창]] || [include(틀:통합진보당)] || 49,273 (45.87%) || 낙선 (2위) || [* 범야권 단일후보] || || {{{#ffffff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선4기 문성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민선5기 문성현.jpg|width=100%]]}}} || ||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지사)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e5e5e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남도 창원시장(선거구)|{{{#000000,#e5e5e5 (경상남도 창원시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9대 총선 문성현.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000,#e5e5e5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창원시 의창구(선거구)|{{{#000000,#e5e5e5 (경남 창원시 의창구)}}}]] || ||}}}}}} || [[분류:1952년 출생]][[분류:함양군 출신 인물]][[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민주노동당 대표]][[분류: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출신 인물]][[분류:진주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남평 문씨]][[분류:전국금속노동조합]][[분류: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건설국민승리21 출신]][[분류:민주노동당 출신]][[분류:2022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