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류]][[분류:네트워크]] [목차] == 개요 == 문서가상화는 가상 콘텐츠 인프라(Virtual Content Infrastructure, VCI) 시스템 기술로, 문서에 고유 콘텐츠 ID를 생성해 문서 작업 및 유통 과정에서 파생되는 로컬 문서(Localized Copy)들이 레퍼런스 문서(Reference Copy)를 참조함으로써, 문서의 저장위치에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든 문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 장점 == 사용자는 PC 또는 모바일기기로 로컬 및 스토리지에 저장된 문서를 [[애플리케이션]] 혹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여러 곳에서 사용하지만, 고유 콘텐츠 ID 식별을 통해 하나의 가상 콘텐츠를 사용한다는 개념이다. 이런 개념을 활용하면 해당 문서의 작업 및 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콘텍스트(Context) 정보를 연결해 문서관리에 필요한 정보들을 문서에서 직접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단점 == 잠재적인 보안 문제가 있다. 이 보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데이터 중심의 암호화 및 ACL (Access Control List) 권한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업비밀]]의 경우에는 문서가상화를 고려할 수 있으나 [[국가기밀]], [[군사기밀]] 같은 경우 문서가상화를 적용되기 어려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