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M4}}}'''[br]''Carbine, Caliber 5.56 mm, Model 4''[br]''M4 카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N_M4A1_2-1800x750.jpg|width=100%]]}}}|| || '''종류''' ||[[카빈]][br][[돌격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미합중국 육군|[[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공군|[[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군|[[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병대|[[파일:미합중국 해병대 마크.svg|width=23]]]][[미합중국 해안경비대|[[파일:uscg__emblem.png|width=23]]]][[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파일: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 마크.svg|height=23]]]][br][[1994년]]~현재 || || '''개발''' ||[[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쳐링]][br][[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 || || '''개발년도''' ||[[1984년]]~[[1993년]] || || '''생산''' ||[[콜트(총기회사)|콜트 매뉴팩쳐링]][br][[FN 에르스탈]][br][[스미스 & 웨슨]][br][[레밍턴 암즈]][br]부시마스터[br][[다니엘 디펜스]][br]US 오드넌스 || || '''생산년도''' ||[[1993년]]~현재 || || '''생산수''' ||500,000정 || || '''단가''' ||$700 (평균치)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영국)][br][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br][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br][include(틀:국기, 국명=인도네시아)][br][include(틀:국기, 국명=호주)][br][include(틀:국기, 국명=뉴질랜드)][br][include(틀:국기, 국명=아프가니스탄)][br][include(틀:국기, 국명=스페인)][br][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br][include(틀:국기, 국명=이스라엘)][br][include(틀:국기, 국명=브라질)] || || '''사용된 전쟁''' ||[[코소보 전쟁]][br][[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br][[이라크 전쟁]][br][[남오세티야 전쟁]][br][[시리아 내전]][br][[이라크 내전]] || ||<-2> {{{#White '''기종'''}}} || || '''원형''' ||[[CAR-15#M720 (XM4)|M16A2 카빈]] (M720) || || '''파생형''' ||M4 PIP[br]M4A1[br]M4 코만도[br][[Mk.18 CQBR]][br]M4LE (민수용) || ||<-2> {{{#White '''제원'''}}} || || '''탄약''' ||[[5.56×45mm NATO]] || || '''급탄''' ||20, 30발들이 [[STANAG 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직동식[br]회전 노리쇠 방식 || || '''총열길이''' ||370mm || || '''전장''' ||840mm (개머리판 연장)[br]756mm (개머리판 수축) || || '''중량''' ||2.92kg (탄창 미포함)[br]3.26kg (20발 탄창 포함)[br]3.40kg (30발 탄창 및 멜빵 포함) || || '''강선''' ||7인치에 1회전 || || '''발사속도''' ||700~950RPM || || '''탄속''' ||880m/s (M855)[br]905m/s (M855A1 EPR) || || '''유효사거리''' ||500m || || '''최대사거리''' ||3600m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6u2pd2Y2zk)]}}}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R83lCPAQ1g)]}}}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fense.gov_News_Photo_000109-A-4385T-009.jpg|width=100%]]}}} || || 2000년 1월 [[코소보]] 비티아에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주도하는 KFOR 작전에서 M4를 사용중인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제82공수사단]] 소속 병사.[* KFOR 시점부터 정규군에 M4가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 [[파일:PEO_M4_Carbine_RAS_M68_CCO.png]] [[미군]]의 제식 [[카빈|카빈형]] [[돌격소총]]이다. == 역사 ==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을 맞이하고 새로 현대화된 미군의 제식화기는 군부의 영향에 따라 [[M14 소총]]이 차지하게 되었다. 하지만 뒤이어 터진 베트남전쟁에서 M14는 쓸데없이 크고 무거운데다 과도한 반동으로 인하여 사실상 자동사격이 불가능하기까지 했다. 이때 미군 특수부대는 공군에서 사용하던 오리지널 [[M16 소총]][* 노리쇠 전진기가 없는 버전인 모델 604.]을 주목하였고, 군사 고문단으로 활동하던 미 육군 특수부대원들의 손에 의해 실전을 치르게 된다. 당시 미 육군 특수부대는 M16의 성능에 매우 만족했지만, 정글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더 짧은 화기가 필요했다. 당시에는 돌격소총이 등장한지 얼마 되지 않은터라 단축형 화기는 꿈도 꿀 수 없었기에, 울며 겨자먹기로 [[톰슨 기관단총|톰슨 M1A1]]이나, [[칼 구스타프 m/45]] 같은 기관단총을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기관단총의 한계점이 너무도 명확했기 때문에 미군은 콜트사에 의뢰하여 단축형 돌격소총을 제작하게 된다. 최초의 [[AR-15]] 계열 단축형 소총은 [[CAR-15]] 카빈(M605)으로 기존 M16의 형태에 외부에 나온 총열 부분만 줄인 형태의 총이었다. 콜트사는 이정도로도 충분히 단축형 소총 수요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특수부대는 기관단총 수준의 짧은 화기를 원했다. 이에 콜트사는 개머리판 길이를 줄여서 인입식으로 만들고 총열덮개의 길이마저 줄인 기관단총 크기의 CAR-15 SMG(M607)를 제작했다. SMG라는 이름이 붙었으나, 길이가 SMG 수준일 뿐 총열이 단축화된 CAR-15였다. CAR-15 SMG의 크기는 특수부대에게 만족스러웠다. 2단으로 조절 가능한 인입식 개머리판 또한 좋은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10인치에 불과할 정도로 총열을 심하게 단축한 나머지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총구화염이 경악스러울 만큼 커진 데다, 반동도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미군에 납품된 버전은 소음기 수준의 신형 소염기를 부착한 모델로 개량되었다. 이것이 [[XM177|XM177E1]]이다.[* [[XM177]]은 공군용 AR-15의 개량이었기 때문에 노리쇠 전진기가 없었으며, E1에서 추가된다.] [[파일:Colt_Commando_and_SEAL.jpg]] 콜트사는 XM177E1에서 단축형 소총의 형식을 정립하였으며, 신형의 신축형 개머리판 또한 장착하여 테스트하였다. XM177 계열은 특수부대 내에서 좋은 반응을 받았고, 많은 양이 납품되었다. 하지만 소음기형 소염기에도 불구하고 E1의 10인치 총열은 화염과 탄매로 인한 많은 문제를 일으켰고, 콜트사는 총열을 1.5인치 늘린 개량형인 XM177E2를 납품했으나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고, 베트남전이 끝나며 투자를 받지 못하여 추가적인 개량은 없었다. 이후 미국 내에서 소음기의 수출이 금지되어 소염기의 구조가 소음기와 비슷한 XM177의 수출길이 막히자, 콜트사는 XM177E2의 소염기 길이만큼 총열을 늘리고, 기존 [[M16A1]]의 소염기를 부착하여 판매하였다. 이것이 콜트 사내번호 M653, M16A1카빈 모델이다. M653은 비로소 14.5인치의 총열을 가지게 되었으며, 해외 및 미 특수부대 내에서 일정량 사용된다. 그러던 중 미군의 소총이 [[M16A1]]에서 [[M16A2]]로 변경된다. 콜트사는 기존의 A1기반 M653 계열을 A2 기반의 M723으로 개량하여 미군에 납품하게된다. M723은 급하게 제작하여서인지 총열 두께와 가늠좌의 형태 및 알루미늄제 신축형 개머리판 등 M653과 외형적으로 동일했으나, A2 타입의 컴펜세이터[* K2의 소염기와 같이 구멍이 우측 상방으로만 나 있는 소염기.]를 장착하고, A2에서 추가된 탄피배출구 요철이 추가되었다. 미군은 기존 [[M1 카빈|M1, M2, M3 카빈]]의 후속의 화기를 선정하는 XM4 사업을 시작하여 신형화기를 도입하려 했다. 콜트 사내번호 M720의 이 총은 특별한 모델이 있는 물건이 아닌 기존의 것들과 앞으로 나올 카빈 계열의 장점을 종합하여 개발하는 물건이었다. 가장 먼저 테스트된 모델이 위의 [[CAR-15#M727|M723]]이었으며, M723은 M16A1과 거의 비슷한 모델이었으므로, A2형의 홈이 파인 신형 총열[* 홈이 파인 이유는 M203의 장착을 위해서였다.]을 장착하여 테스트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아랍에미리트에서 신형 소총을 주문하게 된다. 이것이 유명한 [[CAR-15#M727|M727]], 일명 아부다비 카빈(Abu-dhabi Carbine)이다. [[파일:external/s13.postimg.org/ORD_M203_on_M4_Carbine_lg.jpg|width=580]] [[파일:1sfod-d_paulhowe(1993).jpg|width=580]] M727은 600번대 카빈이나 코만도형에서 쓰이던 신축형 알루미늄제 개머리판(2단)에서 1980년대에 플라스틱 개머리판(2단)으로 개량하였으며,[* 플라스틱 개머리판은 M4에 와서도 쓰이다가 개선된 개머리판(4단)으로 변경된다.] [[M16A2]]의 홈이 파인 총열을 탑재하였다. 이는 기존에는 M203 유탄발사기를 장착할 수 없기 때문에, 총열 부분에 움푹 파인 홈을 새겨서 해결하였기 때문이다. 미군은 XM4 카빈 소총으로 이 M727 모델을 선정했고, 일부 특수부대가 완전자동사격 모델을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이 와중에 M723 계열의 카빈은 M725로 개량되어 캐나다로 건너갔고 디에매코(현 콜트 캐나다) 사에 의해 [[콜트 캐나다 C8#C8 SFW|C8 SFW]]으로 제식화되어 도입되었다. [[파일:m4a1_usmc 0.jpg|width=580]] [[걸프 전쟁]] 도중인 1991년에는 M4의 정식 제식명이 부여되어 일부 병과에서의 제한적인 운용을 거친 다음에, 1994년을 즈음하여 이루어진 정식 채택과 동시에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 주체의 [[SOPMOD|개조사업(SOPMOD)]]을 거치면서 결과적으로 [[미군]] [[보병]]의 정예화를 가속시켰다. [[파일:m4a1_usmc 1.jpg|width=580]] [[파일:m4a1_usmc 5.jpg|width=580]] 2000년 초반의 [[이라크 전쟁]] 이후로 계속되는 대체 수요로 인하여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에서의 [[H&K XM8|XM8 경량형 돌격소총(LAR)]]과 보병용 [[카빈]](IC) 사업이 연달아 추진되었으나 예산 부족과 효율성 재고를 이유로 모두 백지화된 반면, 이는 자체개수(PIP)를 통해 살아남아 오늘날의 [[미군]]을 대표하는 [[돌격소총]]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2022년 4월 19일 [[미합중국 육군]]의 새로운 제식 [[돌격소총]] 및 [[기관총#경기관총|경기관총]]을 선정하기 위한 [[NGSW|차세대 분대화기(Next Generation Squad Weapons)]] 사업에 최종 선정된 시그 사우어(SIG Sauer) 사의 [[SIG MCX|MCX SPEAR]]가 M4 카빈의 뒤를 잇는 XM7[* 원래의 제식명은 XM5였으나,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M5 지적 재산권 분쟁을 피하기 위해 바뀌었다.] 시험 제식명을 부여받았으며, [[SIG XM7|XM7]]은 직접 총격전을 수행하는 전투 부대 위주로 지급하고 그 외의 인원들은 기존의 M4 카빈을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제식 수명을 지속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 특징 === ==== 장점 ==== 채택 당시의 [[제식 소총]]이었던 [[M16A2]]에서 축소된 파생형이라는 부분이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힌다. * 단축화 - [[총열]]이 20인치(508mm)에서 14.5인치(370mm)로 줄어들었으며, [[개머리판]]은 신축식 형태로 바뀌어 근거리 교전 환경에 유리해졌다. * 호환성 - 총열, 완충 스프링[* [[파일:bufe014.jpg]]위의 것이 M4 버퍼, 스프링이고 아래의 것이 M16 버퍼, 스프링이다. M4 스톡봉(버퍼튜브)의 길이가 M16 스톡봉보다 짧기 때문이다. ] 등을 제외한 M16A2용 부품의 80%가 그대로 호환이 되어 전장에서의 수급과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 확장성 - 통일된 [[피카티니 레일]] 규격에 따른 각종 부가장비들은 무가공 호환이 가능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 전투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 * 친숙성 - 기존 제식소총인 M16과 완전히 동일한 작동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화기를 바꾸게 되더라도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없다. ==== 단점 ==== 단축화에 치중된 개량으로 인해 주로 신뢰성 부분에서 여러가지 부작용이 생겼다. * 과열 문제 - 이전의 [[CAR-15]] 계열에서 보였던 고질적인 문제로, 크게 단축된 [[총열]]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는 총열을 두껍게 하는 것으로 나름 보완했다. * 작동 불량 - 훨씬 빨라진 과열과 불완전연소로 인해 생기는 탄매 때문에 노리쇠뭉치의 작동을 방해하는 탄걸림 또는 중복급탄 등이 늘어났다.[* 히스토리 채널 다큐멘터리의 미군 병사 인터뷰에 따르면 실전에서 1만 발 정도를 쏘면 총기에 심각한 이상이 생겨서 새로 보급을 받거나 정비창으로 보내서 전면 수리를 받아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원인은 탄창 쪽이라는 조사 결과가 있다.[* 통계적으로 웬만한 강대국 제식소총 수준이 되면 대부분의 총기 작동 불량은 노후화된 탄창 스프링 때문에 발생한다.] * 관통력 부족 - 20인치 총열에 최적화된 5.56x45mm NATO 탄약을 14.5인치 총열에 사용해서 발생한 문제이며, 2010년에 M4에 최적화한 M855A1 성능 개선형(EPR) 탄환을 도입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었지만 이후에도 사거리와 위력의 부족에 대한 불만은 여전히 나오고 있다.[* 근중거리에서는 방탄복 유무 관계없이 사람 잡는데는 아무 문제 없지만 사막 등 장거리전에서 시원찮다는 듯. 특전사 저격수 출신 유튜버인 ROKSHOOTER에 따르면 M4의 총열은 길이가 짧아도 2 MOA의 명중률을 가진 우수한 총열이어서 조준경을 올리면 900야드(약 460m)에서도 정밀사격이 가능하다고 한다. 반대로 K2 소총은 총열이 훨씬 더 길지만 K100탄(M855) 사용 시 4 MOA의 명중률을 가지므로 단순히 조준경만 올린다고 정밀사격이 가능하지는 않다고 한다. 이는 북한군이 각 분대별로 [[지정사수소총]]을 운용하는 것에 대응해서 대한민국 국군이 단순히 K2 소총에 조준경을 올려 주는 것은 적절한 대응이 되지 못한다는 뜻이다. 이는 S&T의 총열 정밀가공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를 극복하려면 상당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한데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고 한다.] * 오래된 탄창 - 1980년에 표준화된 [[STANAG 탄창]]이 오작동의 주범이었다. 2009년 이후 성능개선형(EPM) 등으로 보완되었다. === 생산권 ===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설계 소유권이 2009년부터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에게로 이전됨에 따라 2012년의 성능개선사업(PIP)과 관련된 총 120,000정 추가 도입 계약은 보다 나은 조건을 제시한 [[레밍턴 암즈]] 사와 맺어졌으나, 곧바로 이어진 콜트 사의 소송으로 인해 전면 파기되면서 생산권은 결국 [[FN 에르스탈]]이 차지하였다. 이후 콜트 사에 당해서 생산권만 빼앗긴 레밍턴 사가 미 육군에 소송을 걸어서 일부 물량의 생산권을 따냈다. == 파생형 == || '''명칭'''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mfdb.org/500px-Coltm727ima.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_sheet 0.jpg|width=100%]][br][[파일:FN_M4A1_2-1800x75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4commando_sheet 0.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k18_mod0.jpg|width=100%]]}}}|| || '''제식명''' || '''XM4'''[br]'''XM4A1''' || '''M4'''[br]'''M4A1''' || '''M4 코만도''' || '''[[Mk.18 CQBR|Mk.18 Mod.0[br]Mk.18 Mod.1]]''' [br](상위 사진은 Mk.18 Mod.0) || || '''생산명''' || 모델 720[br]모델 727 || 모델 920[br]모델 921 || 모델 933[br]모델 935 || 없음 || || '''운용처''' ||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br][[미합중국 육군|USA]] || USSOCOM[br]USA[br][[미합중국 공군|USAF]][br][[미합중국 해군|USN]][br][[미합중국 해병대|USMC]][br][[미합중국 해안경비대|USCG]] || USSOCOM[br]USA[br]USMC || USSOCOM[br]USA[br]USAF[br]USN[br]USMC[br]USCG || || '''제조처''' || [[콜트(총기회사)|콜트]] || 콜트[br]FN 아메리카[br]레밍턴 암즈[br]부시마스터 || 콜트 || NSWC 크레인 || || '''연도''' || 1985년~1991년 || 1991년~현재 || 1995년~현재[* 2010년대 후반 들어서는, M4 계열로 통일되다시피 하여, 코만도 버전은 퇴역했다.] || 2000년~현재 || || '''재고번호''' || 1005-01-231-0973 || 1005-01-382-0953 || 1005-01-581-2925 || 1005-01-527-2288[br]1005-01-621-6038[br]1005-01-621-6031[br]1005-01-626-0322 || || '''윗총몸''' || A2 || [[피카티니 레일|PR]] 플랫탑 || [[피카티니 레일|PR]] 플랫탑 || [[피카티니 레일|PR]] 플랫탑 || || '''아랫총몸''' || A2 || A2 || A2 || 후기형 A1[br]A2 || || '''[[총열덮개]]''' || A2 단축원통형 || M4 단축원통형[br]KAC M4 RAS || M4 단축원통형[br]KAC M4 RAS || KAC M4 RAS[br] || || '''[[개머리판]]''' || 3세대형 || 3세대형[br]4세대형 || 3세대형[br]4세대형 || LMT L7LA2BA || || '''[[총열]]''' || 콜트 14.5인치 || 콜트 14.5인치 || 콜트 11.5인치 || 콜트 10.3인치 || || '''[[가늠쇠]]''' || A2 || A2 || A2 || A2 || || '''가늠자''' || A2 통합형 || M4 분리형 || M4 분리형 || LMT L8A 분리형 || || '''조정간''' || [[점사|3점사]](모델 720)[br]자동(모델 727) || 3점사(모델 920)[br]자동(모델 921) || 자동(모델 933)[br]3점사(모델 935) || 자동 || [[파일:Xm177e2/723/727/m4.jpg]] * 사진은 순서대로 [[XM177|XM177E2]], M723, M727, M4 카빈이다. 개략적으로 정리한 글로 콜트 사에서 개발한 단축형 소총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CAR-15]] 문단을 참조. === XM4, XM4A1 === [[파일:sealshow90_03.jpg|width=580]] [[CAR-15#M653 (M16A1 카빈)|M653]]을 개량한 [[M16A2]] 기반의 점사형 모델 720과 자동발사형 모델 727로, 기존의 XM177의 우수한 휴대성에도 불구하고 낮은 성능으로 불만이 많았던 점을 고려하여 1984년 콜트사에서 신형 소총을 제작하게 되어 만들어진 총기다. 본격적으로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병기개발연구소(ARDEC)가 참여하기 시작하면서 XM4라는 명칭으로 군에서 테스트를 받게된다. 최초의 모델은 1984년에 M653 기반의 11.5인치 총열을 장착한 모델이었으나, 11.5인치는 기존 14.5인치에 비해 큰 장점이 없었으므로 14.5인치 총열을 장착한 모델인 M723이 만들어진다. 이후 1986년 최신소총인 [[M16A2]] 기반으로 다시한번 개량한 M725를 다시 손본 M727모델을 제작하게 되었고 이것이 잘 알려진 XM4(정확히는 XM4A1) 모델이다. 개발과정 중 3점사 버전과 완전자동 버전이 있었으나, M720 이외에 어떤 모델이 3점사를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확실한것은 M723, 725, 727 모두 자동사격만을 지원했다는 것이라 아마 테스트 중 탑재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테스트 된 몇몇 M723 모델도 원 모델과 다르게 M16A2 기반의 총열을 달고 테스트 받았다. XM4 계열 자체가 여러 개조모델이 많아 분류가 힘들다.] 최종 채택된 모델은 완전자동사격 버전이었으나, 제식명을 달고 군에 납품되기 시작하면서 리시버도 플랫탑으로 바뀌고 일반병이 사용할것을 고려하여 3점사 모델이 기본으로 생산되었다. 완전자동버전은 M4A1로 나중에 개량되어 납품되었다. M727은 아부다비 카빈으로 불리는데, [[아랍에미레이트]]에 최초로 대량 납품되며 생긴 별명이다. M4와의 외형상 차이점은 플랫탑 리시버의 유무(M727은 일체형 운반용 손잡이가 있지만 M4는 플랫탑 리시버가 있어서 운반용 손잡이를 분리 할 수 있다.)와 개머리판 정도가 있다. === M723 === [[파일:coltm723.jpg|width=580]] [[파일:Colt Model 723 late model with M4 barrel.jpg|width=580]] * M4 총열이 있는 후기형. 이 조합은 1987년부터 사용 가능했다. Colt Model 723. M653 기반의 개량형 모델 723으로, 기존의 M16A1 카빈(M653)을 [[M16A2]]를 베이스로 개조한 물건이다. A2버전 기준이라곤 하지만 초기형은 A2에서 추가된 탄피배출구의 요철과 A2 형태의 소염기[* 상술했듯 K2 소총의 소염기처럼 우측 상단 방향으로만 구멍이 나있는 소염기.] 등을 제외하곤 653과 거의 차이가 없었고, 나중에도 실질적으로 달라진 건 총열밖에 없었다. 후에 장착된 M4형 총열 때문에 727과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가늠자와 개머리판이 다르다. M723은 알루미늄 개머리판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M4 총열이 있는 조합은 1988년부터 미 육군 델타 포스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M4A1이 채택될 때까지 제식 카빈이었다. === M727 === [[파일:coltm727.jpg|width=580]] Colt Model 727. 일명 "아부다비 카빈(Abu-dhabi Carbine)"이라고도 불리는데, [[아랍 에미리트]]에서 최초로 대량 구매해서 붙은 별명이다.[* 현재에도 M4보다 총열이 짧은 CAR-15 계열의 소총을 사용하고 있으며, 대세에 따라 레일 시스템을 장비하고 있다.] 비슷한 계열(혹은 동일 계열)의 CAR-15가 M4A1 채용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XM4 계획 중 기존 M723의 불완전 연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선과 총열을 재설계하여 성능을 안정적으로 끌어올린 모델이다. 총몸 또한 [[M16A2]]의 것으로 교체했다. 미군은 이것을 여전히 XM4로 테스트하고 있었지만, 콜트사는 사내번호를 달고 아랍 에미리트에 팔아버린다. 조정간은 점사를 폐지하고 안전-단발-자동 으로 구성되어있다. 고딕 서펜트 작전에 델타포스가 사용한 무기가 이 M727으로 알려진 경우가 많으나, 실제 델타포스는 M723을 사용했다. M723은 A1형의 구식 로터리 가늠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반용 손잡이의 형태에서 확실히 차이가 난다. 이는 영화 [[블랙 호크 다운]] 때문에 잘못 알려진 것이다. 실제 M727은 당시 레인저 쪽에 시험 도입되어 테스트를 받고 있었다. [[네이비 씰]] 및 일부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국 특수작전사령부]] 부대(미 육군 [[제75레인저연대]] 포함)가 사용한 총기이다. M727의 총열덮개는 M16A2의 총열덮개보다도 두껍지만, M4에서는 더 두꺼워지고 알루미늄 방열판이 2중으로 보강되었다. 개머리판은 슬라이드식이고 알루미늄에서 플라스틱 재질으로 변경했지만 2002년에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개머리판이 슬라이드식 이다 보니 완충 스프링도 짧아지고 완충기도 짧아지다보니 발사속도가 빨라져서 작동신뢰성에 이상이 우려되었기 때문에 완충기에 텅스텐 추를 하나 넣어서 무게를 기존 완충기의 2배로 늘려 발사속도를 늦출 수 있었다. 영어로는 M16A2 Government Carbine, M16A2 Carbine이라고도 부른다. 상술했듯이 M16A2의 총몸을 사용했기 때문. === [[콜트 M733 코만도|M733 (M16A2 Commando)]] === [[파일:attachment/M4 카빈/799px-Colt_Model_733.jpg|width=580]] Colt Model 733 Commando.(M16A2 코만도)[* 모델 733의 미군 제식 채용명은 M16A2 코만도이지 M733이 아니다.] 11.5인치 총열을 장착한 [[CQB]] 모델. 자세한 건 [[콜트 M733 코만도]] 문서 참조. === [[GAU-5|GUU-5/P]] === [[파일:external/worldoftroy.com/Guu5P-SCAR-GU5-16BT-00-Extended.jpg|width=580]] ||<-2>
'''GUU-5P''' || || '''총열길이''' ||290 mm|| || '''전장''' ||760 mm (개머리판 접었을 때)[br]830 mm (개머리판 펼쳤을 때)|| || '''중량''' ||2.43 kg|| || '''초구탄속''' ||840 m/s|| [[미합중국 공군|미 공군]]이 1960년대 말에 채택한 XM177 기반의 GAU-5/A(GAU-5/A/A)를 5.56mm 구경의 신형 M855 탄약 호환을 위해 상부총몸을 변경한 것으로 현재까지도 주로 항공기 승무원이나 [[군사경찰]] 등의 보호무장 용도로 쓰이고 있다. === M4 === [[파일:m4_usn 0.jpg|width=580]] 1994년까지의 모든 개선점이 총합된 3[[점사]]형 모델 920으로, 위총몸 상단 부분이 [[피카티니 레일]]로 대체되면서 평평해졌을 뿐만 아니라 2003년부터는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SOPMOD|소화기 개조사업(SOPMOD)]] 1단계에 포함된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4 RAS [[총열덮개]]가 적용되었다. 현재 미군 전체를 아우르는 제식 소총이나,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에서는 3점사를 불호하여 3점사 대신 전자동 사격 기능이 들어간 M4A1을 사용하며, M4는 [[AH-64]] 아파치 헬기 승무원 및 [[지정사수]]에게만 지급하고 있다. ==== M4E2 ==== [[파일:m4mws_usn 0.jpg|width=580]] 1997년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에서 개시된 모듈화(MWS) 사업에서 나이츠(KAC) 사의 M4 RAS 총열덮개와 기타 부가장비들이 성능 실험용으로 추가된 점사형 모델 925로, 2004년까지의 시범 운용을 위한 M4E2의 임시 제식명을 거쳐 미 육군과 [[미합중국 해병대|미 해병대]] 전체에 확산되었다. ==== M4 PIP ==== [[파일:m4pip_usmc 1.jpg|width=580]] 2014년의 M4 PIP(성능 개선형, '''P'''roduct '''I'''mprovement '''P'''rogram) 사업에 맞추어 [[미국]] [[캔자스|캔자스 주]] 포트 라일리(Fort Riley) 기지에서 자동발사형으로 전환된 기존의 3점사형 모델 920으로, 그 외에는 두꺼워진 [[총열]]과 양손잡이용 조정간 등으로 대체되거나 구분 목적의 각인이 새로 새겨졌다. === M4A1 === [[파일:m4a1_usa 1.jpg|width=580]] 기존 M4 카빈이 3점사만을 사용하였기에 실전 병사들로부터 불만사항이 접수되자 모든 개선점이 총합된 완전자동발사형으로 제작되어 '''"모델 921"'''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주 개선 사항으로는, 총몸의 상단 부분이 [[피카티니 레일]]로 대체되면서 평평해졌을 뿐만 아니라 2003년부터는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SOPMOD|소화기 개조사업(SOPMOD)]] 1단계에 포함된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KAC)]] 사의 M4 RAS [[총열덮개]]가 적용되었다.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등에서 기존 3점사형 M4를 대체하기 위해 보급했다. ==== M4A1 SOPMOD 블록 I ==== [[파일:m4sopmod1_nsw 0.jpg|width=580]] 1995년부터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제식 운용이 개시된 1단계 [[SOPMOD|개조형]] 모델 921로, 고급형 내외부 부품으로 교체되고 [[피카티니 레일]]이 적용된 위총몸과 [[나이츠 아마먼트 컴퍼니|나이츠]] 사의 M4 RAS [[총열덮개]]에 호환되는 각종 부가장비들과 1세대 주야간광학장비(MDNS)가 도입되었다. ==== M4A1 SOPMOD 블록 II ==== [[파일:m4a1sopmod2_ranger 0.jpg|width=580]] 2005년부터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제식 운용이 개시된 2단계 [[SOPMOD|개조형]] 모델 921이다. 기존 M4에 있던 고정식 가늠쇠[* 크게 걸리적 거리지 않지만 광학조준경 달고 있으면 가늠쇠가 약간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를 없애고 총열덮개가 보다 길어진 다니엘 디펜스 사의 M4A1 RIS II 계열로 바뀌었다. 확장성이 커짐과 동시에 다른 소화기에도 적용이 가능한 2세대 주야간광학장비(MDNS) 또는 발사측정기(WSC) 부품이 새로 추가되기도 하였다. === M4 코만도 === [[파일:m4commando_uspolice 3.jpg|width=580]] [[콜트(총기회사)|콜트]] 사가 1995년에 출시한 점사형 모델 933과 자동발사형 모델 935로, [[미 해병대|미 해병대 원정군]] 특수수색대(FORCE RECON)에서 소수 운용된 이력 이외에도 [[국토안보부|미 국토안보수사국(HSI)]], [[FBI|미 연방수사국(FBI)]]과 같은 [[미국]] 내의 법집행기관과 [[경찰]]이 보유한 [[SWAT|특수부대(SWAT)]]의 주력 [[돌격소총]] 중 하나로 쓰이고 있다. === [[Mk.18 CQBR]] === [[파일:mk18mod1_usasoc 1.jpg|width=580]] 1999년을 기준으로 [[미합중국 해군|미 해군]] 해상전연구소 직속의 크레인(NSWC Crane) 부문에서 개발된 특수 파생형으로,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미 특수작전사령부(USSOCOM)]]에서의 [[SOPMOD|개조사업(SOPMOD)]] 1단계에 포함되어 있었던 콜트 사의 단축형 위총몸(CQBR)을 조합한 형태가 별도의 정식 기종으로 분리되었다. === M4A2/[[부시마스터 XM-15|M4A3]] === [[파일:external/www.centralfloridafirearms.com/DSC_0020-2.jpg|width=580]] [[파일:Bushmaster_xm15_carbine.jpg|width=580]] [[부시마스터 XM-15]]의 수출명으로 모델명만 보면 마치 M4A1 보다 신형 총기인 것 처럼 보이지만 그냥 M4A1의 카피형이다. 대한민국 [[해양경찰특공대]], 조지아군, [[체코군]], [[스페츠나츠|러시아 특수부대]] 등 외국에 수출이 많이 되었고 미국 내에서도 M4로 많이 팔려 콜트사에서 소송을 걸기도 했다. 그러나 소송 결과는 패소를 하여 콜트사 몰락에 단초를 주기도 하였다. === LE6920(M4LE) === [[파일:Colt Law Enforcement Carbine LE6920.jpg|width=580]] [[파일:Colt LE6920 M4 Carbine.jpg|width=580]] Colt Law Enforcement Carbine 콜트사의 민수용 M4A1이다.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고 M203 유탄 발사기 및 Cobray 37mm 발사기와 같은 발사기를 부착하기 위한 16인치 총열을 가지고 있다. === M4A1 Socom Carbine === [[파일:Colt_M4A1_Socom_Carbine.jpg|width=580]] COLT M4A1 CARBINE SOCOM CARBINE 5.56mm NATO M4A1 SOCOM을 콜트사가 민수용으로 재생산한 총기이다. 2018년부터 출시하었으며 민수용이니만큼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고 총열도 16.1인치이다. == 기타 == 2007년에는 [[미국]] [[메릴랜드|메릴랜드 주]] 에버딘(Aberdeen) [[미합중국 육군|미 육군]] 장비시험장에서 시행된 [[사막]] 환경에서의 신형인 [[H&K XM8]]과 [[FN SCAR|SCAR-L]]과의 성능 비교실험에서 기준 용도로 사용된 M4A1은 [[탄창]] 등의 변수로 인해 60,000발 중에서 작동불량을 882번 일으켰다. 개별 판매되는 부품만으로 이른바 [[레고]] 놀이도 할 수 있다. 하지만 보통 1,000달러 정도의 본체에 비해 각종 부가장비들을 구비하려면 지출되는 비용이 수배, 수십배가 될 정도로 가격적인 부담이 높아진다. 이러한 치장 욕구를 대리만족시킬 수 있는 [[http://www.gunstruction.net/|GUNSTRUCTION]] 프로그램까지 나오기도 했다. [[파일:1646481334408.jpg]] 애당초 해당 사진의 총기[* 왼쪽 위부터 [[H&K HK433]], [[B&T APC|B&T AP223]], [[H&K G36|H&K G36A3]], [[FN SCAR|FN SCAR-L]], [[SIG MCX]], [[맥풀 ACR]], [[MSBS|MSBS C16FB-M1]], [[20식 소총]], [[CZ-805|CZ 브렌]], [[베레타 ARX-160]].]대부분이 M4를 기반[* 대표적인게 검지손가락을 이용한 탄창멈치, [[https://youtu.be/ZJhPMIVgF6c?t=145s|회전 노리쇠와 트리거 그룹]]. 다만 G36은 AR-18의 영향을 더 받았고, HK433은 권총손잡이가 호환되는게 전부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폴리머 바디에 개머리판이 접히는 총이면 M4와는 전혀 연관성이 없는 총으로 생각하는게 상식이다.]으로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준이다. [[파일:1Etog1H.jpg|width=580]] [[러시아]]의 [[스페츠나츠]]들도 2013년에 압둘라 2세 특수전 훈련센터(KASOTC) 컨테스트에 참여했을 때 대회용 무기로 [[http://www.bratishka.ru/archiv/2013/05/2013_5_2.php|사용한 적이 있는데]] "훌륭한 카빈으로, 반동도 적고 균형이 잘 잡혔다.(великолепный карабин, мягкая отдача, очень сбалансированный.)" 라고 높게 평가했다. [[파일:3774599219394.jpg|width=580]] 이와 별개로 러시아 [[스페츠나츠]]에서도 [[AR-15]] 총기를 사용하는 모습이 간간히 포착되고 있다. 스페츠나츠 부대에 방문한 [[래리 빅커스]](미 육군 제1특전단 델타 분견대(1st SFOD-D)의 병기장 출신 건스미스)는 이들이 부시마스터의 [[부시마스터 XM-15|M4A3]]을 쓴다고 확인했다. [[H&K HK416]], 러시아 오르시스 사에서 생산한 AR-15등도 사용한다. [[멕시코]]를 근거지로 둔 [[사파티스타]] 민족 해방군의 지도자 [[부사령관 마르코스]]가 공적인 사진을 찍을때 지니고 있는 총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국군|한국군]] 복무를 [[카투사]]로 하게 되면 K2 소총 대신 지급받는 개인화기이다. [[육군훈련소|논산훈련소]]에서 무거운 K2를 쓰다가 M4를 만지면 날아갈 듯이 가벼운 느낌을 체험할 수 있다. 총열 길이가 더 짧고 가스 직동식이라 무게중심이 총구쪽으로 쏠리지 않아서 그렇다. [[대한민국|한국]]의 [[경찰특공대]]에서도 운용하고 있으며, [[해양경찰특공대]]도 운용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모델은 [[부시마스터 XM-15|M4A3]]으로 알려졌다. 원래 M4는 [[콜트(총기회사)|콜트]] 사의 상표였고 [[헤클러 운트 코흐|H&K]]와 [[부시마스터#s-3]]를 상대로 2004년에 상표권침해(Trademark infringement)와 명칭도용(False designation of origin) 등 소송을 걸지만 2005년, 메인 주 지방 법원에서는 거짓광고 부분을 제외한 모든 소송을 기각하고 배상 판결까지 내려 콜트사가 크게 패소하면서 상표권이 만료됐다. 이때 나온 제품이 [[부시마스터 XM-15]]로 [[부시마스터 XM-15|M4A3]]란 이름으로 각국에 널리 판매된다. [[파일:hidrah_unknown 0.jpg|width=580]] [[파일:hidrah-standalone_unknown 0.png|width=580]] [[테러와의 전쟁]]이 한창인 2000년대 초중반, 적의 무전 수신을 탐지하여 위치를 알아내는 HIDRAH(지향성 수신 추적 통합 휴대장비, Handheld Integrated Directional Receiver and Homing System)가 여러 특수부대의 M4A1 SOPMOD I 전용 부가장비나 개별적인 독립형이 쓰이기도 했으나, 성능 시험 목적의 운용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 [[웹사이트]] * [[위키백과|https://en.wikipedia.org]] - [[https://en.wikipedia.org/wiki/M4_carbine|M4 항목]], [[https://en.wikipedia.org/wiki/SOPMOD|SOPMOD 항목]],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lt_AR-15_variants|AR-15 목록]] * [[IMFDB|http://www.imfdb.org]] - [[http://www.imfdb.org/wiki/Colt_AR-15_Identification_Guide|AR-15 목록]] * https://bpullignwolnet.dotster.com - [[https://bpullignwolnet.dotster.com/retroblackrifle/jtrevith/FSN-NSN-LSN_Table_Code.html|AR-15 목록]] * http://firearmsworld.net - [[http://firearmsworld.net/usa/m16/m4/m4m4a1.htm|M4 항목]] * http://ichiban.militaryblog.jp - [[http://firearmsworld.net/usa/m16/colt/m16a2cab.htm|M16A2 카빈 항목]] * [[PDF]] * http://www.dtic.mil - [[http://www.dtic.mil/dtic/tr/fulltext/u2/a396675.pdf|2001년 SOPMOD 사업 보고서]]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 -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6/smallarms/taylor.pdf|2006년 SOPMOD 사업 보고서]] * http://www.tokyo-marui.co.jp - [[http://www.tokyo-marui.co.jp/pdf/p_pdfmanual_151219152804.pdf|M4 SOPMOD 전동건 설명서]] == [[AR-15/미디어|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R-15/미디어)] == [[에어소프트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R-15/에어소프트건)] == 둘러보기 == [include(틀: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한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스라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하마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대만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폴란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르키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그리스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알바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호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뉴질랜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크로아티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체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슬로바키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러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멕시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브라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세네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르헨티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콜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세르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볼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자메이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보츠와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헝가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우크라이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조지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칠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페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라과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에콰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수리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네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방글라데시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스리랑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필리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말레이시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브루나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엘살바도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라크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레바논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요르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인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파키스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몽골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가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케냐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미얀마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소말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나미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튀니지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이탈리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쿠웨이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ISIL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바레인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오만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코소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모로코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카타르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지부티 보병장비)] [include(틀:현대전/자유 리비아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include(틀:스토너 계열 총기)]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AR-15, version=164, paragraph=2.3.3.)]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AR-15, version=164, paragraph=2.3.4.)]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CAR-15, version=164, paragraph=2.3.5.)] [[분류:자동소총]][[분류:돌격소총]][[분류:보병 무기/현대전]][[분류:미군/화기]][[분류:멕시코군/장비]][[분류:폴란드군/장비]][[분류:이스라엘군/장비]][[분류:AR-15]][[분류:콜트(총기회사)]][[분류:FN 에르스탈]][[분류:1993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