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문상명}}}'''[br]'''文相明'''}}}}}}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문상명.jpg|width=100%]]}}} || || '''호''' ||운림(雲林) || ||<|2> '''출생''' ||[[1922년]][* 1923년생으로 기재된 [[https://m.blog.naver.com/kwank99/30041244217|자료도 있다]].] [[12월 19일]] ||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리 홈거리마을 || ||<|2> '''사망''' ||[[1992년]] [[4월 5일]] (향년 69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370호 || || '''상훈''' ||충무무공훈장 수훈[br]대통령표창 수여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대한민국]]의 [[군인]], [[시인(문학)|시인]]. 호 운림(雲林).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공적으로 1977년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922년 12월 19일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 문암리 홈거리마을에서 태어났다. 1944년 5월 [[중화민국]] [[하남성]] [[카이펑|개봉]] 지구에서 조동린의 인솔하에 [[이건국]], [[박용운(독립운동가)|박용운]]과 함께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했다. 이후 현지공작원 및 첩보원으로 활동하면서 동지 포섭 등 초모공작 활동을 수행하는 한편, 일본군 및 왕정위군에 관련된 정보를 한국광복군에 제공했고,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부근 유격대 및 연합국 공군의 공격에 도움을 주었다. [[8.15 광복]] 후 귀국해 [[홍익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했다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중퇴하고, 육군 장교가 되어 참전하였다. 1954년 6.25 전쟁에서 공을 세워 충무무공훈장을 받았고, 1955년에는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이후 육군 [[제2보병연대]]장, 7전투단장, [[육군대학]] 참모장을 역임하였다. 육군 대령으로 예편 후, 1971년 5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167|비상기획위원회]] 연구관에 위촉되었다. 1973년 [[문화공보부]] [[비상계획관]]에 임용되었다. 해방 전 중국 생활 중 중원시인(中原詩人) 회원으로 활동하는 등 시에 조예가 깊었으며, 1952년 6.25 전쟁 참전 중 [[영남일보]]에 시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81026/6/BBSMSTR_000000010533/view.do|백마고지]]'를 발표하였다. 1973년에는 합동시집인 《한국전쟁시선(韓國戰爭試選)》을 출간하였고, 1974년 첫 단독 시집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4030800239105016&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4-03-08&officeId=00023&pageNo=5&printNo=16283&publishType=00010|찬란한 지각의 용해]]를 출간하였다. 1975년 비상계획관 퇴직 후 1977년 사단법인 한국서예진흥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같은 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을 수여받았다. 1978년 [[장호강]], [[이용상(독립운동가)|이용상]], 이영순 등과 한국참전시인협회를 발족해 사업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83년 [[권구원]], [[김국주]], [[김우전]] 등과 함께 [[https://www.joongang.co.kr/article/1675813#home|독립정신홍보위원회]] 홍보위원으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활동 당시 체험담을 들려주었다. 1992년 4월 5일 서울특별시에서 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1992년 4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되었다. == 참고자료 == *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1853|독립유공자 공훈록]]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kwank99&logNo=30041244217|시인 문상명]] [[분류:한국광복군/군인]]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 [[분류:6.25 전쟁/군인]] [[분류:대한민국의 시인]] [[분류:한국 남성 작가]][[분류:영양군 출신 인물]] [[분류:1922년 출생]] [[분류:1992년 사망]] [[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장교 출신]][[분류:남평 문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