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문경시)] [목차] == 개요 == [[문경시]]의 교통 관련 내용들을 정리한 문서이다. 옛날부터 [[문경새재]]는 "조령"이라고 불렸으며 조선 시대에 [[서울특별시|한양]]에서 경상도를 잇던 주요 관문 중 하나였을 만큼 교통의 요지였지만, 일제 시대 들어 [[경부선]]이 조령이 아닌 [[추풍령]]을 지나가게 놓이게 되자 경상도의 관문을 [[김천시|김천]]에게 내주게 되었다. == 철도 == 현재 [[철도]]는 [[경북선]]이 지나다니기는 하지만 [[무궁화호]]가 1일 5회 왕복하는 게 고작. 거기다가 충주, 서울 방면으로 가는 것이 아닌 김천, 상주, 예천, 영주 방면으로 간다. 중심지에 위치한 [[점촌역]]에서는 [[경북선]]뿐만 아니라 [[문경선]]이 분기하고 문경선 진남역에서 [[가은선]]이 분기하는 화려한 철도망을 자랑했지만 석탄산업의 사양화로 수요가 급감하다보니 현재는 [[주평역]](점촌역에서 문경선으로 분기하면 제일 먼저 나오는 역)까지 화물열차가 운행하는 것 외에는 철도 영업을 전혀 하지 않고 있으며, 가은선은 아예 폐선되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2024년 [[문경역]]이 신설되고 [[KTX-이음]]이 투입되는 이천(부발) - 충주 - 문경의 [[중부내륙선]]이 개통될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서울 - 충주 - 문경 - 김천 - 거제(남부고속선)로 연결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또한 서산 대산읍~울진간 [[중부권 동서횡단철도]]에도 눈독을 적극적으로 들이고 있어 만들어지면 문경에서 동,서해안 진입이 편리해질 전망이다. == 도로 == === 고속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개통하기 전에는 [[34번 국도]]를 타고 [[증평IC]]까지 이동해야 했었던 탓에 교통이 많이 불편했었으나, 2004년 12월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점촌함창IC|점촌함창 나들목]][* 점촌과 가깝지만, 요금소는 [[상주시]] 함창읍 소재이다.]과 [[문경새재IC|문경새재 나들목]]이 개통하면서 도로 사정이 많이 좋아졌다.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에서 [[점촌시외버스터미널|점촌]]까지 178.1km, 2시간 소요. [[영주종합터미널|영주]](199.2km, 2시간 20분), [[김천공용버스터미널|김천]](224.1km, 2시간 40분)보다 훨씬 가깝다. 서울에서 문경과 거리와 소요시간이 비슷한 곳은 [[충청남도]] [[보령시]], [[강원도]] [[양양군]] 등이 있다.] [[예천군|예천]]에서도 [[서울특별시|서울]]로 갈 때 [[예천IC|예천 나들목]] 대신 [[점촌함창IC|점촌함창 나들목]]이나 [[문경새재IC|문경새재 나들목]]을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앙고속도로]]의 [[예천IC]]는 연평균 교통량이 300대 정도로 상당히 적은데, 실제로 예천IC를 경유할 경우, 서울까지의 거리가 중부내륙고속도로와 비교했을 때 20 ~ 30km 이상 더 늘어나게 된다.]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개통된 후 문경에서 서울까지 소요시간이 자가용 2시간 정도로 크게 단축되어 서울로 가는 사람들이 크게 늘어났다. 반대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소재 기업들이 땅값이 저렴하면서 소요시간도 상대적으로 길지 않은 문경시로 공장을 이전하고 있기도 하다. 더구나 동서축으로는 [[보령울진고속도로]]건설에도 열을 올리고 있지만 진척이 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태. === 국도 === [[3번 국도]], [[34번 국도]], [[59번 국도]]가 이 동네를 지나간다. * [[3번 국도]]: 문경시 주간선 국도로 전구간 왕복 4차로이며 [[중부내륙고속도로]]를 보조한다. [[상주시]]에서 넘어와 문경시 동 지역을 지나 호계, 마성면, 문경읍을 거쳐 [[이화령]]을 넘어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으로 넘어간다. 과거에는 시내를 관통하여 공평동으로 넘어가는 길이 지정되어 있었으나 우회도로 개통으로 지금은 일반 시도로 전환되었다. * [[34번 국도]]: 3번 국도와 중첩되어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넘어온다. 전 구간 왕복 4차로로 개량되어 있다. 단, 문경-예천 구간은 평면교차로가 중간중간 설치되어 있어 [[자동차전용도로]]는 아니다. 호계면에서 분리되어 산양면을 거쳐 [[예천군]]으로 넘어가는 국도. 평상시에는 교통량이 많지 않은 편이지만, 예천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여 수도권으로 향하는 중요한 도로이다. * [[59번 국도]]: [[예천군]] [[풍양면(예천)|풍양면]]에서 넘어와 영순, 산양, 산북, 동로면을 거쳐 [[충청북도]] [[단양군]]으로 넘어간다. 문경시 동부 면들을 관통하는 시골길. === 지방도 === [[32번 지방도]], [[901번 지방도]], [[907번 지방도]], [[922번 지방도]], [[923번 지방도]], [[928번 지방도]]등이 있고 [[927번 지방도]]는 애매하게도 아주 살짝 구불구불하게 저수령[* 단양군 대강면 올산]일대를 경유한다. == 버스 ==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점촌터미널]]에서 30분마다 1대씩[* 주말에는 이것도 모자라 예비차까지 투입한다. 단,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평균 배차가 1시간으로 늘어났으나, 2023년 부터는 다시 배차간격이 30분 내외로 감소하였다.] [[KD 운송그룹|경기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동서울터미널|동서울]]행 [[시외버스]]가 있다. 뿐만 아니라 1시간(혹은 그 남짓) 간격으로 [[서울고속버스터미널]]까지 운행되는 [[고속버스]]도 있다. 한때 KD에서 운행하던 [[센트럴시티]]행 시외버스도 있었으나 [[시외버스 동서울-상주|동서울행 시외버스]], [[고속버스 서울경부-점촌|서울경부행 고속버스]]에 밀려 폐지되었다. 주의할 것은 만약 다른 지역에서 시청이 있는 문경시내에 가려고 한다면 버스든 기차든 '문경'행 표가 아닌 '점촌'행 표를 사야 한다는 거다.[* [[동서울터미널]] 홈페이지 노선 정보에서는 [[점촌시외버스터미널|점촌]]행은 점촌, 상주로 표시되고 문경행은 문경, 가은, 농암, 함창, 안계로 표시된다. 또한 문경읍내를 경유해서 점촌으로 가는 시간도 있으니 확인하고 승차해야 한다. 덤으로 문경새재로 바로 갈려면 점촌행 표보다는 문경행 표를 사는 걸 추천.] 애초에 '문경'행보다는 '점촌'행이 많다.[* 다만, 수도권 노선은 대부분 점촌도 거치고 문경도 거친다.] === [[시내버스]] === [[문경시 시내버스]] 문서 참조. [[문경여객]] 단독이며, [[교통카드]]는 중앙 - 중부내륙 연선의 [[경상북도|경북]] 북부 지역답게 [[티머니]]를 이용한다. == 택시 == ||<-2> [[파일:문경시 CI_White.svg|width=25]]{{{#ffffff '''경북 문경시 택시''' }}} || ||<|5> '''일반택시''' || || 기본요금 4,000원(2km) || || 추가(병산제) 100원(33초/134m) || || 심야 및 시계 외 할증 20% / 복합 할증 63% || || 택시호출료 1,000원 || ||<-2> [[고속도로/대한민국|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경시, version=692)] [[분류:문경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