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인 대한제국의 황족이자 친일파, rd1=이완용(1872))] [include(틀:대한제국의 매국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ffde09 이완용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제국 총리)] ---- [include(틀:역대 대한제국 학부대신)] ---- [include(틀: 역대 대한제국 외부대신)] ---- [include(틀:독립협회 지도부)] ---- [include(틀:조선총독부 중추원)]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eccd7a 제2대 조선총독부 중추원 부의장}}}'''}}}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ffde09 대한제국 제22대 내각총리대신}}}]][br]{{{+1 이완용}}}[br]李完用[* 창씨개명으로 등록한 이름은 '리노이에 칸요(李家完用). 성인 '이(李)'를 리노이에(李家)로 바꾸었다. 또 이름인 '완용(完用)'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었다.] | Ye Wan-yo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완용 초상화.jpg|width=100%]]}}} || ||<|2> '''출생''' ||<(> [[1858년]] [[7월 17일]]|| ||[[경기도]] 광주부 낙생면 백현리[br](現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226-1)[* 원주민의 구증을 토대로 밝혀진 주소다. 이 지역에 [[판교신도시]]가 지어졌는데, 이 와중에 이완용 생가 터가 아파트랑 [[신백현중학교|학교]]에 [[인과응보|파묻혔다.]]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5/08/04/2005080470423.html%3foutputType=amp|집 터에는 중학교가 들어선다는 내용으로 보아]] 백현마을8단지아파트와 [[신백현중학교]] 사이로 추정된다. [[https://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5035.html#cb|과거 푯돌을 세우려고 추진하기도 했다.]] 2023년에 [[https://imnews.imbc.com/replay/2023/nwtoday/article/6548194_36207.html|실제로 푯돌을 세웠다가 며칠만에 다시 철거했다.]] ]|| ||<|2> '''사망''' ||[[1926년]] [[2월 11일]][* 13시 20분] (향년 67세)|| ||[[경기도]] [[경성부]] 옥인동[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1909년 [[이재명(독립운동가)|이재명 의사]]의 암살 미수 이후 폐에 상처를 입어 매년 겨울철만 되면 [[폐렴]]과 [[천식]] 등으로 고통스러워 했다. 1926년에는 호전되는 듯이 보여 1월 12일 총독부 중추원 신년 제1회 회의에서 다소 무리를 했었고 부축을 받으면서 귀가했다. 이후 며칠간 [[고열]]에 시달리다 [[혼수상태]]에 빠졌고 결국 1926년 2월 11일 이완용은 그의 의붓형 [[이윤용(1855)|이윤용]]과 차남 [[이항구]]가 지켜보는 가운데 폐렴으로 인해 사망했다.] || || '''묘소'''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 '''본관''' ||[[우봉 이씨]] (牛峰 李氏)[* 23세 용(用) 항렬. 본래 참판공파(參判公派)였으나 감찰공파(監察公派) 집안으로 양자를 갔다. 2002년판 우봉이씨세보 중에 인권(仁卷, 1권) 821(八二一)쪽에 이름이 있다.]|| || '''자''' ||경덕(敬德) || || '''호''' ||일당(一堂) || ||<|4> '''재임기간''' ||제22대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 || ||[[1907년]] [[6월 24일]] ~ [[1910년]] [[8월 29일]][* 임기 중 [[이재명(독립운동가)|이재명]]의 암살시도로 부상을 입게 되었다. 당시 [[내부|내부대신]]이었던 [[박제순]]이 임시로 내각총리대신을 맡게 되었고, 이완용은 치료를 받은 후 다시 내각총리대신으로 복귀했다.] || ||제2대 [[조선총독부]] [[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 부의장 || ||[[1912년]] [[8월 9일]] ~ [[1926년]] [[2월 12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이석준 ^^(생부)^^[* 이명은 이호석(李鎬奭)] · 이호준(李鎬俊) ^^(양부)^^[br]어머니 신씨 ^^(생모)^^ · 민씨 ^^(양모)^^ || || '''형제자매''' ||형 [[이윤용(1855)|이윤용]] || || '''배우자''' ||양주 조씨 || || '''자녀''' ||장남 이승구(李升九)[* [[계몽운동]]에 참가했고, [[경술국치]] 이전에 사망하였다.][br]차남 [[이항구]][br]손자 이병길[* 이항구의 아들.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에서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발표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발표한 반민족행위자에 할아버지 이완용, 아버지 이항구와 함께 3대가 모두 선정되었다.] || || '''종교''' ||[[불교]][* 불교옹호회 고문을 역임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 || || '''소속 단체''' ||[include(틀:독립협회)] ,,(제명),,[* 1898년 7월 11일 제명되었다.] || || '''작위''' ||[[조선귀족]] [[후작]] || || '''약력''' ||학부대신, 농상공부대신[br]의정부 참정대신, 내각총리대신[br]조선귀족 백작, 중추원 고문[br]조선귀족 후작, 중추원 부의장 || || '''비고'''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br][[친일인명사전]] 등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완용 67세.jpg|width=100%]]}}} || || {{{#ffde09 '''노년의 이완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0419_56_10157.png|width=100%]]}}} || || {{{#ffde09 '''1907년 이완용 내각 출범 기념 사진. 가운데 아이는 [[영친왕|{{{#ffde09 영친왕}}}]]. 영친왕 바로 왼쪽 뒤에 있는 인물이 이완용 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한말]]의 [[관료]]이자 [[외교관]], [[친일반민족행위자]]. [[일본 제국]]이 [[을미사변]]을 일으켜 조선에서의 영향력을 늘린 후 [[김홍집]] 등을 중심으로 한 친일 내각이 정권을 장악하자 [[춘생문 사건]]과 [[아관파천]]을 일으켰다. 이후에 [[독립협회]]에 합류했지만 친러파였다는 이유로 제명당했고, 양부인 이호준이 사망하는 등의 악재가 겹치자 몇년간 은둔해 있었다. 1904년 복귀해 친일파로 전향했다. 친일파로서 [[을사조약]]을 적극적으로 체결하고 [[고종(대한제국)|고종]]의 강제 퇴위를 주도했으며, [[정미 7조약]], [[기유각서]],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하여 [[을사오적]], [[정미칠적]], [[경술국적]]에 [[그랜드 슬램|유일하게 모두 포함된]]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었다. 그러다 보니 후대에도 친일파, 매국노의 대명사격으로 일컬어지곤 한다.[* 대부분 을사오적이 누군지 물어보면 다른 인물들은 몰라도 직접 국새를 가져다 찍은 [[박제순]]과 이완용은 아는 경우가 많다.] 정식으로 [[창씨개명]]한 이름은 리노이에 칸요(李家 完用). 한국 한자음으로 읽으면 '이가 완용'. 사실 이완용 뿐만 아니라 창씨개명을 쓰던 동시대 대부분의 인물들이 자신의 한국명과 똑같거나 비슷하게 이름을 짓는 경우가 많았다. == [[/생애|생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이완용/생애)] == 평가 ==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능력과 인간성이 별개인 사람|관료로서의 능력은 출중하나, 그것을 매국에 악용해 아무리 명석한 사람이라도 돌이킬 수 없는 악행들을 저지르면 어떤 평가를 받는지를]] 제대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완용은 생전에도 주위에서 총명하다는 평을 많이 들었고 판단이 명확했으며 [[처세술]]에 능한, 흔히 말하는 '''성공가도를 달리는 데 최적화된 사람'''이었다. 이완용과 비슷한 시기에 같이 매국 행위를 해 [[조선귀족]] 직위를 받은 사람들 중에서도 이후 처신을 잘못하거나 재산 관리에 실패하여 일제강점기 중에 몰락하거나 패가망신한 사람도 많았다. 매국도 능력이 없으면 못 한다. 하지만 명석한 두뇌를 '''매국 행위와 개인의 이득을 위해 타인에게 크나큰 피해를 가하는 일에 사용했으니''' 두고두고 비판을 받는 것. 관료로서의 능력이 뛰어나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많이 받았지만, 의외로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없지 않다. 그가 [[광무개혁]] 중반에는 부친상 때문에 등용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초반에는 충분히 가능했다. 그러나 대신직이 아닌 관찰사직에 머물렀다. 당시 대신직에는 [[서자]]였던 [[김가진]]도 등용되었는데, (적어도 신분적으로는) 이완용이 안 될 이유는 없었다. 그래도 관찰사로서의 문제 해결 능력은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1898년 [[부안군]] 줄포면에 해일이 들이닥쳐서 수많은 이재민과 재산 피해가 발생했는데, 이 당시 이완용은 전북 관찰사로서 직접 부안을 방문해 참상 현장을 시찰하고, 제방을 중수하도록 지시하는 등 수습과 구호 사업에 힘썼다. 이에 군수와 주민들은 이완용의 구호 사업을 기리기 위해 휼민선정비(恤民善政碑)라는 이름의 공덕비를 세웠다. 그러나 현재 이 공덕비를 놓고 "보존하자 vs 없애버리자" 등 갑론을박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능력을 가진 다른 관료는 [[윤영렬]] 정도로 볼 수 있다.[* 윤영렬은 안성군수로 재직 중에 마장수라는 도적떼를 토벌하고, [[만주]]에서 [[경기도]]까지 남하한 [[만주족]] [[마적]]단을 소탕했다. 그리고 흉년과 질병이라는 난감한 상황 속에서 이전의 군수들이 해결하지 못 한 [[광무개혁#s-4.3|역둔토]](驛屯土)의 밀린 세금을 거두어 납부하는 한편, [[안성군]] [[호포#s-1]](戶布)의 절반을 탕감받고, "[[의병]]들이 관청 서류를 모두 불에 태워 밀린 세금의 납부가 어렵다."고 하소연해서 세금 탕감을 받아내어 백성들의 부담을 덜어줬다. 지나친 명성을 부담스러워한 윤영렬은 [[안성군]] 주민들에게 자신의 선정비를 세우지 말 것을 권고했으나 주민들은 오히려 선정비를 '''4개'''나 세웠다.] [[을사조약]] 체결, [[고종(대한제국)|고종]]의 강제 [[퇴위]] 주도, [[정미 7조약]], [[기유각서]], [[한일병합조약]] 체결 등 악질적인 친일 행각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매국노]]라 하면 바로 이완용이 연상될 정도로 '''매국노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을 확고히 했다. 그가 사망한 지 [age(1926-02-11)]년이 된 현재까지도 국가와 민족을 배신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비판받고 있다.[* [[구글]]에 [[https://www.google.com/search?q=%EB%A7%A4%EA%B5%AD%EB%85%B8&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iXv66H_NPnAhWjGqYKHYDsDAEQ_AUoAXoECA0QAw&cshid=1581783928072839&biw=1707&bih=924|'''매국노''' 이미지 검색]]을 하면 대부분의 사진이 '''이완용 관련사진'''일 정도이다(...). [[:파일:구글매국노01.png|(캡쳐 이미지)]]] 이완용과 동시기에 똑같이 매국노 짓을 한 [[송병준]][* [[헤이그 특사]] 사건 이후 어전 회의에서 [[고종(대한제국)|고종]] 황제의 면전에 대고 "[[메이지 덴노|덴노]]께 사죄해야 한다.", "자결을 하라!"는 등의 망발을 퍼부었으며 이후 고종이 폐위되고, [[순종(대한제국)|순종]] 황제가 즉위하여 이완용 내각이 들어선 후엔 농상공부대신 · 내부대신을 역임하며 국권피탈을 위한 상주문 · 청원서를 제출하는 등, 행적만 보면 이완용과 맞먹는 수준의 매국노다. 하지만 대중적인 인지도는 이완용만 못한데, 왜냐하면 그 독한 친일파 종자들 중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의 악질이라 일제 입장에서도 전면에 내세우기 어려웠던 작자여서 은근슬쩍 버림받았기 때문이다. 본래 신분도 천해서 배운 것 없는 무식쟁이라 말 그대로 똥오줌 못 가리고 양아치 짓을 서슴지 않고 다녔고, 그래서 꼴에 먹물 좀 먹었다고 말귀는 알아듣고 최소한의 눈치가 있는 이완용이 더 부리기 쉬워 이 쪽을 더 이용해 먹었다. 더구나 이쪽은 무려 '''[[강화도 조약]] 때부터''' 친일이였기에 더욱 지독한 셈이다.], [[윤덕영]] 같은 경우도 이 정도로 악명을 지속적으로 얻는 않았다는 것을 보면 이완용이 얼마나 대표적이고 악랄한 매국노였는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심지어 그의 후손들도 국가를 상대로 환수된 재산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하고, 승소까지 한 다음 외국으로 도망가는 악행을 저질러 국민들을 분노하게 만들고 있다. 현대에 와서조차 대한민국 국민들은 남녀노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을사오적]] 중 나머지 넷은 몰라도 이완용 만큼은 대부분 알고 있으며, 북한의 [[김일성]]과 함께 한반도 역사상 최악의 인물이자 한민족의 반역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이완용은 '국권피탈 3조약에 모두 찬성한 것을 넘어 체결에 직접적으로 참여 + 강제병합 후에도 일제의 학정에 아이디어를 제공 + 35년(을사조약 직후까지 포함한 40년) 동안 동포들을 지옥에 집어넣었음 + 그럼에도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죗값과 비교하면 매우 편하게 죽음' 때문에 영원히 한국인들의 지탄을 받아도 할 말이 없다.] 대한민국에서 누군가를 이완용에 비유하는 것은 거의 서양 국가에서 누군가를 [[유다 이스카리옷]], [[아돌프 히틀러]]에 비유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모욕으로 통한다. 이완용의 유명세 때문에 이완용을 제외한 을사오적들은 이름 정도만 알려져 있고,[* 그나마 [[박제순]]이 어느 정도 악명이 있긴 하다.] 비을사오적 매국노들은 여러 자극적인 에피소드들을 남긴 [[송병준]], [[윤덕영]]을 제외하면 직접적으로 국권 피탈에 관여하지 않은 [[민영휘]]보다도 인지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심지어 중국에서도 [[우페이푸]]가 [[량스이]]를 비판할 때 모욕적 표현으로 쓰는 사례가 있었다. >이완용? 그는 한마디로 '''기계 같은 사람'''이다. >---- >[[호러스 뉴턴 알렌]] 이완용은 [[처세술]]에 뛰어나고 영민했던 인물이었다. 이완용과 교류했던 미국인 선교사 알렌은 그를 한마디로 요약하면서 머리가 잘 돌아가고 영민하지만, 영혼이 없는 것 같은 기계 같은 사람이라는 평을 내렸다. 다만 의외로 검소한 습관을 지향했다고 한다. 낭비가 심하기로 유명한 궁중식단[* 상다리가 부러져라 차린다는 표현이 여기서 시작되었다.]의 병폐를 비판하고 [[샌드위치]]를 점심으로 가져왔던 사람이 이완용. 당시 궁중식단의 경우, 거하게 상을 차린 후 윗사람이 다 먹지 못한 음식들은 그대로 아랫사람에게 주었다. 먹다 남긴 거나 먹으라는 의미가 아니라 덕을 나눠준다는 의미였다.[* 아무나 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니다. 임금을 비롯한 중전, 대비급의 인물들이나 할 수 있었고, 실제 [[선조(조선)|선조]] 때 서인 [[정철]]의 경우, [[후궁]]이 이런 짓을 한다고 대놓고 깠다가 [[역관광]]당한 예가 있다.] 그래서 반찬을 집을 때에는 결코 남이 먹다 남긴 것처럼 헤집지 않는 습관이 생겼다. 다만 그러다 보니 식사시간이 한없이 길어지고, 임금부터 다 먹고 나면 너무 많은 시간이 흐르곤 했다. 그래서 이러한 비효율성을 타파하고 덤으로 음식물 쓰레기도 줄이고자 했다.[* 이런 문화는 일본에도 존재해서 덴노의 점심 저녁상에는 엄청나게 많은 식사가 차려졌다고 한다. 특히 메이지덴노는 점심 때 양식을 즐겨서 시종들이 가장 기대하는 시간이었다고.] 아이러니하게도 이완용은 생전에 [[일본어]]는 한 마디도 할 줄 몰랐다고 한다. [[한문]]이라면 눈 감고도 [[한시]] 몇 편 줄줄 쓸 만큼 통달했을 [[사대부]] 입장에선 어지간한 단어는 다 [[한자어]]인지라 문법 몇 개만 익히면 되는 일본어는 전혀 배우지 않고, 완전 이질적인 [[영어]]는 원어민 수준으로 배워 익힌 걸 감안하면 굳이 배울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걸로 보인다. 영어는 처음엔 [[육영공원]]에서 배웠지만, 서툴러서 [[미국]]에 파견되었을 때는 큰 활약을 못했다. 하지만 오랜 미국 생활로 영어 실력이 일취월장하여, 나중에는 [[조선총독부]] 관료들보다 유창하게 구사했다고 한다. [[이토 히로부미]]나 [[테라우치 마사타케]] 같은 [[일본인]]들과 대화할 때는 [[영어]]를 사용하거나 통역사와 함께 다녔으며, 정사를 맡을 때도 [[이토 히로부미]]와 같이 영어를 할 줄 아는 일본인과 했다. 여건이 충분함에도 일본어를 배우지 않은 데서 알 수 있듯 일본인 인맥을 넓히려 하지도 않아서 그가 공직에 있을 때 아는 일본 정치인들은 이토나 테라우치 총독 정도만 알고 있었다고 한다. 이런 사람이 1906년 학부대신[* 오늘날의 [[대한민국 교육부|교육부]] [[장관]]에 비유할 수 있다.] 재임 시절 공교육에 일본어 수업 시간 도입을 추진하고, 가장 수업시수가 많은 과목으로 만들어 일본에서는 '''"이완용이 아니면 할 수 없었던 일"'''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 가족 == * 친부 이호석 / 친모 신씨 * '''이완용''',,(1858 ~ 1926),, / 妻 양주 조씨 * 장남 이승구 ,,(1879 ~ 1905),, / 임건구 * 손자(양자) 이병길,,(1905 ~ 1950),, 이항구의 친자 * 증손자 이윤형 ,,(1935 ~),, * 차남 [[이항구]] ,,(1881 ~ 1945),, * --손자 이병길--,,(1905 ~ 1950),, 이승구의 양자로 입적 * 손자 이병희 * 손자 이병주 ,,(1913 ~ ?),, 1962년 '''일본''' 국적 취득 * 손자 이병철 * 손녀 이병오 * 양부 이호준,,(1821 ~ 1901),, * 의붓형 [[이윤용(1855)|이윤용]],,(1855 ~ 1938),, * 의붓조카 이명구 본인의 평판이 워낙 나빴던 탓에, 그의 아들 이승구[* 협성회 등 구한말 계몽운동에 참여했으나 1905년 26세에 사망했다.]가 26세로 요절하자 이완용이 며느리와 [[간통]]을 해서 아들이 자살한 것이라는 조롱성 루머가 돌았다. 이 내용은 [[매천야록]]에도 기재되어 있어서 흔히 이 에피소드를 사실로 아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본래부터 몸이 허약해서 을사조약 이전인 1905년 음력 7월에 이미 병으로 세상을 떠난 뒤였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651|해당 기사]]. 제 양부에게는 의외로 효자였다고 한다. 공무로 바빴음에도 10리가 넘는 길을 하루도 빠짐없이 다니며 양아버지 이호준을 문안하였고, 양 이복형[* 이완용의 양아버지 이호준의 아들.]인 의붓형 [[이윤용(1855)|이윤용]]이 서자였음에도 서로 우애가 돈독했다고. 가문 시조묘를 찾아 복원하기도 했다. == 여담 == [[파일:낙서.jpg]] * [[일제강점기]] 때 [[화장실]]의 [[낙서]]에는 이완용에 대한 엄청난 욕과 성드립이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고 한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starcraft_new&no=4461412&page=1|당시 화장실 낙서들]]. 이완용의 식당/요리옥/요리점이라는 낙서가 꽤 많이 보이는데, [[똥이나 처먹어 이 새끼들아|변소가 이완용의 식당이라는 의미인 듯 하다.]][* 출처: 변은진. (2011). 일제 전시파시즘기(1937~45) 조선민중의 '불온낙서' 연구. Han'guk Munhwa (Seoul, Korea), (55), 309-344.] * [[순종(대한제국)|순종]] 때인 1908년, 이완용은 조선시대에 간신으로 취급받은 사람들의 복권을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 그 중에는 [[윤원형]] 같은 진짜배기 간신도 있지만 붕당정쟁에 휘말려 역적 취급된 소론, 남인, 북인계 인사들도 있었고, [[이인좌의 난]]에 가담한 사람들, 여기에 '''고종을 시해하려 한''' 사람들, [[세조(조선)|세조]] 때의 이징옥, [[광해군]] 때 [[북인]](대북)의 영수로 [[인조반정]] 때 처형된 [[정인홍]] 등도 있었다. 상당수가 현대에 재평가되고 있는 인물. 순종의 즉위 기념 대사면령의 일환인데, 고종 친정 직후부터 명예회복 운동이 불었으나 [[최익현]] 등이 결사 반대했었다. 이후에도 이완용은 [[박지원(실학자)|박지원]], [[정약용]], [[남이]] 등 그동안 신원받지 못했거나 재야의 명성에 비해 공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인사들을 신원하고 시호를 수여하는 작업을 행했다. 이완용의 이러한 복권 사업은 그가 매국노라서 그동안의 간신들을 복권시키기 위해서라기보다는, 어차피 나라가 망해가니 명목상의 신원이나 해주자는 정리 작업에 가깝다. 일부 [[노론 음모론]]자들은 이완용이 친일 노론의 수괴라서 조선에 해악을 끼친 간신들을 복원시켰다고 우기기도 하는데 간신, 역적으로 낙인찍힌 것 말고는 아래 명단에 공통점이 있는 것도 아니고 정작 그 노론에게 당했던 소론, 남인계 등의 인사들도 적지 않다. 아래는 그 명단과 당파 및 기타 설명. >- 좌의정(左議政) 서흥 부원군(西興府院君) 한효순(韓孝純, 대북) >- 영의정(領議政) [[정인홍]](鄭仁弘, 대북) >- 좌의정 목내선(睦來善, 탁남) >- 이조 판서(吏曹判書) 문경공(文敬公) [[이현일(조선)|이현일]](李玄逸, 영남 남인) >- 영의정 문충공(文忠公) [[이광좌]](李光佐, 소론) >- 영의정 문정공(文貞公) [[조태구]](趙泰耉, 소론) >- 좌의정 문충공(文忠公) 조태억(趙泰億, 소론) >-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최석항(崔錫恒, 소론) >- 좌의정 충정공(忠靖公) [[유봉휘]](柳鳳輝, 소론) >- 대사헌(大司憲) [[김일경]](金一鏡, 소론 준론) >- 병조 참판(兵曹參判) 김중기(金重器) >- 회인 현감(懷仁縣監) 김도응(金道應) >- 예조 참판(禮曹參判) 정후겸(鄭厚謙, [[영조]] 때의 외척) >- 이조 참판(吏曹參判) 김하재(金夏材, [[정조(조선)|정조]]를 모독한 노론) >- 좌승지(左承旨) 안기영(安驥泳) >- 우부승지(右副承旨) 권정호(權鼎鎬) >- 부호군(副護軍) 조중호(趙中鎬) >- 선천 부사(宣川府使) 김익순(金益淳, [[김삿갓]]의 할아버지) >- 홍문관 시독(弘文館侍讀) 이희화(李喜和) >- 우의정(右議政) [[민암]](閔黯, 남인) >- 형조 판서(刑曹判書) 이의징(李義徵) >- 대사헌(大司憲) 한세량(韓世良) >- 승지(承旨) 신치운(申致雲) >- 절도사(節度使) [[이징옥]](李澄玉, [[계유정난]]에 반대한 장군) >- [[사옹원]] 판관(司饔院判官) 원용성(元用星) >- 감역(監役) 허욱(許煜) >- 군부 협판(軍部協辦) 이주회(李周會) >- 이조 참판 이진유(李眞儒) >- 승지 정해(鄭楷) >- 예조 참의(禮曹參議) 서종하(徐宗廈) >- 이조 참의(吏曹參議) 윤성시(尹聖時) >- 대사헌 [[박필몽]](朴弼夢, [[이인좌의 난]]에 가담한 소론 준론) >- 대사간(大司諫) 이명의(李明誼, 소론 준론) >- 형조 판서 이사상(李師尙) >- 이조 참의 윤연(尹㝚) >- 훈련 대장(訓練大將) 윤취상(尹就商, 소론 준론) >- 부제학(副提學) 이명언(李明彦) >- 보덕(輔德) 김중희(金重熙) >- 함경 감사(咸鏡監司) 권익관(權益寬) >- 교리(校理) 윤상백(尹尙白) >- 지평(持平) 윤지(尹志, 나주 괘서사건의 주모자로 소론) >- 목사(牧使) 이하징(李夏徵, 소론 준론) >- 동부승지(同副承旨) 유수원(柳壽垣) >- 대사헌 심악(沈䥃) >- 판윤(判尹) 박찬신(朴讚新) >- 포도 대장(捕盜大將) 조동정(趙東鼎) >- 교리(校理) 이거원(李巨源) >- 정언(正言) 이명조(李明祚) >- 경무사(警務使) 권형진(權瀅鎭) >- 이조 판서 [[윤휴]](尹鑴, 청남) >- 영의정 [[윤원형]](尹元衡) >- 지평 이동양(李東讓) >- 정언(正言) 이범제(李範濟) >- 현감(縣監) 이공윤(李公胤) >- 승지 이중술(李重述) >- 진사(進士) 이하택(李夏宅) >- 승지 이보욱(李普昱) >- 승지 김호(金浩) >- 현감 박필현(朴弼顯, 소론 준론) >- 병사(兵使) 박태신(朴泰新) >- 감역(監役) 정권(鄭權) >- 부수(副率) 조현빈(趙顯彬) >- 부사(府使) 심유현(沈維賢) >- 감사(監司) 권첨(權詹, [[이인좌의 난]]에 가담한 노론) >- 이조 참판(吏曹參判) 이사로(李師魯) >- '''[[밀풍군]]'''(密豊君) 이탄(李垣) >- 승지 이재화(李在華) >- 정언 이우화(李宇和) >- 주서(注書) 권숭(權崇) >- 이조 참판 김정관(金正觀) >- 동부승지 김정리(金正履) >- 감사 정사효(鄭思孝, 이인좌의 난에 가담한 소론) >- 정언 권집(權䌖) >- 부사(府使) 김주태(金柱泰) >- 통제사(統制使) 김윤(金潤) >- 좌부승지(左副承旨) 채동술(蔡東述) >- 좌의정 박홍구(朴弘耉) >- 승지 박홍도(朴弘道) == 대중매체에서 == 행적의 질이 매우 나쁜 인물이다 보니 대중매체에서도 매우 안 좋은 꼴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 관련 문서 == * [[친일반민족행위자]] * [[을사오적]] * [[민족반역자]]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제국의 매국노)] ---- [include(틀:아관파천)] ---- [include(틀:경술국치)] ---- [include(틀:김홍집 내각)] ---- [include(틀:조선귀족)] ---- [include(틀:한국을 빛낸 100명의 인물들의 등장인물 및 단체)] [[분류: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분류:1858년 출생]][[분류:1926년 사망]][[분류:우봉 이씨]][[분류:분당구 출신 인물]][[분류:독립협회]][[분류:외교관]][[분류:을사오적]][[분류:정미칠적]][[분류:경술국적]][[분류:온건개화파]][[분류:조선귀족 후작]][[분류:조선귀족 백작]][[분류:수구파]][[분류:폐렴으로 죽은 인물]][[분류:정2위]][[분류:이완용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