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태풍 명칭)] [목차] == 개요 == 문(Mun)은 [[미크로네시아 연방]]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야프어로 [[6월]]을 뜻한다. 2013년 제명된 태풍 '[[피토]]'를 대체한다. == 2019년 제4호 태풍 == [include(틀:2019년 태풍)] ||<#3594D3> [[틀:2019년 태풍|{{{#FFF '''2019년 태풍'''}}}]] || ||<#FFF,#1F2023> 제3호 [[스팟(태풍)#s-5|스팟]] → '''제4호 문''' → 제5호 [[다나스(2019년 태풍)#s-1|다나스]] || |||||| '''{{{+5 {{{#!html 2019년 제4호 태풍 문}}}}}}''' || ||<#3594D3> {{{#ffffff 위성사진}}} ||||[[파일:1920px-Mun_2019-07-03_0450Z.jpg|width=100%]] || ||<#3594D3> {{{#ffffff 진로도}}} ||||[[파일:Mun2019track.png|width=100%]] || ||<#3594D3> {{{#ffffff 활동 기간}}} ||||<:>2019년 7월 2일 15시 ~ 2019년 7월 4일 15시|| ||<#3594D3> {{{#ffffff 영향 지역}}} |||| '''[[중국]] [[하이난성]]''', [[광둥성]], [[베트남]], [[라오스]] || ||<#3594D3> {{{#white 태풍 등급}}} ||<-2><:><#00faf4> {{{#000 '''열대폭풍'''}}}[*JTWC] || ||<#3594D3> [[템플릿:태풍#s-2.2.2|{{{#white 10분 등급}}}]] ||<-2><:><#00faf4> {{{#000 '''열대폭풍'''}}}[*JMA] || ||<#3594D3> {{{#ffffff 태풍 크기}}} |||| '''대형(직경 1300 km)''' || ||<#3594D3> {{{#ffffff 최저 기압}}} |||| '''992 hPa''' || ||<|2><#3594D3> {{{#ffffff 최대 풍속}}} ||<:>1분 평균 || '''18 m/s''' || ||<:>10분 평균 || '''18 m/s''' || === 태풍의 진행 === 6월 30일 15시 [[남중국해]]의 [[파라셀 군도]] 부근 해상에서 열대요란 96W가 형성되었다. 다음 날 15시, 일본 기상청(JMA)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열대저기압(TD)으로 분석한 후 24시간 이내 태풍발생경보를 발표했고, 2일 아침 6시에는 JTWC에서 열대저기압 발생 경보(TCFA)를 발령했다. 그리고 같은 날 밤 21시를 기해 일본 기상청(JMA)은 남중국해의 열대저기압을 열대폭풍으로 승격시키며 태풍 '''문(Mun)'''으로 명명했다. 하지만 7월 3일 아침 6시, [[하이난 섬]] 바로 앞까지 접근한 문에 대해 JTWC는 육상마찰이 예상됨과 동시에 더이상 발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고, 기존의 TCFA를 철회했다. 그러나 다음 날 새벽 통킹 만 내 백룡미도를 포함한 근처의 지상 관측소와 해상풍 관측 등에서 열대폭풍에 부합하는 실측치가 관측되었고, 뚜렷하게 열대성을 띄고 있는 것이 확인되면서 JTWC는 이를 근거로 하여 4일 새벽 3시 문을 뒤늦게 열대폭풍 05W로 승격하였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4일 아침 6~7시경 [[베트남]] [[하이퐁]] 부근에 상륙한 이후, 12시경 열대저기압으로 약화되면서 각국은 감시를 종료하였다. [[분류:2019년 태풍]][[분류:태풍/중국]][[분류:나무위키 태풍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