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고구려]]의 승려 == '''墨胡子''' (? ~ ?) [[신라]]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구려]]의 승려. 고구려에서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 '고구려인'인지는 불명확하며, 이름에 들어간 '오랑캐 호(胡)' 자 때문에 서역출신 승려라고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눌지 마립간]] 때 고구려에서 내려와 일선군(一善郡)[* 현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의 모례(毛禮)라는 사람의 집 안에 굴을 파고 그 속에서 숨어 살며 불교를 포교하다가 [[중국]] 남조의 [[양(남조)|양나라]] 사신이 가져온 향(香)의 용법을 신라인에게 가르치고, 때마침 병을 앓고 있던 공주의 병을 고쳐주었다고 한다. 그 공으로 왕이 많은 상을 내렸으나 '''잠깐 사이에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었다'''고 한다. 이와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가 [[삼국사기]]에는 눌지왕 시대의 묵호자로, [[삼국유사]]에는 [[미추 이사금]] 때의 '[[아도]](阿道)'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미추왕의 재위기간에 일어났다고 친다면 고구려의 불교 공인 시기보다도 앞서는 이야기가 되는 지라 신빙성은 낮은 편. 이미 삼국유사의 저자 [[일연]]도 이 점을 지적해 '''고구려에서도 아직 불교를 몰랐을 시기에 신라에 먼저 불교가 전해졌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지적하고, 삼국사기에 묵호자 이후에 신라에 왔었다는 '''아도라는 인물이 묵호자와 용모와 거동이 매우 닮았었다'''는 기록을 들어 '''아도와 묵호자는 동일인물'''이며, 두 이름 중 하나는 '''가명 내지는 타칭(他稱)'''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위의 이야기에 나오는 모례라는 사람은 모록(毛錄)이라고도 하는데, 한국에서 불교 사원을 가리켜 [[절(불교)|절]]이라고 부르는 것이 '''모'''례('''毛'''禮)의 이름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있다. 물론 毛와 禮 모두 훈차보다는 음차로 쓰던 글자라서 신빙성은 낮다. == [[창세기전 3]]의 등장인물 == 히든 스테이지 [[무영릉]]의 최종보스로 무영릉의 수호령 같은 존재. 도트 캐릭터는 [[그리피스]]와 망토색만 다르고 똑같다(...). 메뉴얼에 의하면, 본래 고대 [[한 제국|한족]]의 유명한 좌사로 사신교 천무대제의 진언을 받아 천기를 누설한 천수관음을 봉인한 뒤 스스로 강시가 되어 무영릉을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사실 처음부터 싸우려 들지는 않고, 1층에 도달해 문으로 나가려는 [[기파랑(창세기전 3)|기파랑]], [[살라딘(창세기전 시리즈)|살라딘]]과 새끼 [[아지다하카]] 죤의 앞길을 가로막아 천수관음을 가지고 나가지 못하게 하려 했다. 기파랑이 [[헬 스트라이크]]로 공격하지만 오히려 맹공격을 퍼부어 기파랑을 위기에 몰아넣는다. 맨 처음에는 소환수 묵호자를 시전할 때 구사되는 공격을 날린 뒤 묵호파(파이어볼 30연발)를 날린다. 그러나 기파랑이 [[지옥도]]로 쓴 [[위풍당당]]으로 격파당해 '''어뮬렛 어패럴'''을 떨어뜨리고 사라진다.[* 여기서 기파랑이 묵호자와 동귀어진한 것처럼 보이나 실제로는 이후로도 살아남아 묵호자를 소환수로 부리게 되었다는 것이 드러났다. 자세한 건 기파랑 항목 참조.] 결국 그냥 이벤트 인물. 어뮬렛 어패럴이 있으면 소환수 '묵호자'를 소환할 수 있다. 칼이 쉭쉭 날아다니는 게 좀 멋지다. 특정 버전에서는 아예 무영릉을 걸어 나간다는 선택지가 적용되지 않아서 묵호자랑 스쳐지나가지도 못한다(...). 아무리 비중이 없다고 해도 완전히 삭제된 건 또다른 문제. 과연 전통의 버그. 다른것보다 버그가 쩔기로 유명한 [[창세기전 3]] 답게 중간 세이브도 안되는 무영릉에서 이 소환수 얻자고 5시간 넘게 개고생했더네 '''갑자기 튕겨서 처음부터 시작'''이 걸려서, 키보드 샷건을 날리고 게임 접은 유저들이 꽤나 있었다. 그래서 묵호자 이름만 들어도 치를 떠는 유저들이 많다. === 관련 문서 === * [[창세기전 시리즈/기술]] [[분류:고구려의 승려]][[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