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랑구의 법정동]] [include(틀:다른 뜻1,other1=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있는 비슷한 이름의 동, rd1=목동(서울))] [include(틀:중랑구의 법정동)]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묵동}}}'''[br]墨洞 | Muk-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묵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1126010400 || || '''관할 행정동''' || 묵1동, 묵2동 || || '''하위 행정구역''' || 63통 524반 || || '''면적''' || 1.90㎢ || || '''인구''' || 52,395명[*A 2023년 3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7,576.32명/㎢ || [목차][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동(행정구역)|동]]. 북쪽으로는 [[화랑로(서울)|화랑로]]를 사이에 두고 [[노원구]] [[공릉동]]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중화동]]과 접한다. 동쪽으로는 [[봉화산]]을 사이에 두고 [[신내동]]에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랑천]]을 사이에 두고 [[성북구]] [[석관동]]과 [[동대문구]] [[이문동]]에 접한다. [[먹골역]]의 유래가 된 곳이며, 글자 표기상 [[목동(서울)|목동]]과 혼동하기 쉬운 동네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7호선 지하철역의 이름이 묵동역이 아닌 먹골역이 된 셈. 경찰서에 접수된 [[양천구]]의 목동 관련 요청이 이곳 관할로 오거나, 이쪽 관련 요청이 그 반대의 저 쪽으로 가기도 하는 일도 종종 일어나곤 한다. 먹골 [[배(과일)|배]] 산지로 유명했으나, 도시개발이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배 과수원은 사라졌다. 봉화산 자락 공원에 가면 남아있는 먹골배나무를 볼 수 있으며, 개인이 분양받을 수도 있다. 중앙에 [[동일로]]를 기준으로 동쪽이 묵1동, 서쪽이 묵2동이다. 덤으로 생활권은 [[노원구]] 생활권에 가깝다(법정동 자체).[* 따라서 [[태릉입구역]] 방향으로의 대중교통 이용률이 높다.] 본래 평범한 [[베드타운]]의 형상을 띠고 있었지만 최근에 [[롯데시네마]] 중랑점이 오픈하였고 [[먹골역]]을 중심으로 유흥가가 많이 생겼다. == 관할 행정동 == === 묵1동 ===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묵제1동}}}'''[br]墨第一洞 | Muk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묵제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3060052 || || '''관할 법정동''' || 묵동 || || '''하위 행정구역''' || 37통 317반 || || '''면적''' || 1.20㎢ || || '''인구''' || 33,997명[*A] || || '''인구밀도''' || 28,330.83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중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홍근]] ,,(3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승진(정치인)|박승진]] ,,(초선),, || ||<-2> '''중랑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윤재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은경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공릉로2가길 5 (묵동 174-3) || || [[https://dong.jungnang.go.kr/dong/main.do?dong=11|묵1동 주민센터]] || [clearfix] === 묵2동 === ||<-2> '''[[중랑구|{{{#000000,#dddddd 중랑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묵제2동}}}'''[br]墨第二洞 | Muk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중랑구 묵제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랑구 || || '''행정표준코드''' || 3060053 || || '''관할 법정동''' || 묵동 || || '''하위 행정구역''' || 26통 207반 || || '''면적''' || 0.67㎢ || || '''인구''' || 18,398명[*A] || || '''인구밀도''' || 27,459.7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중랑구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홍근]] ,,(3선),, || ||<-2> '''서울특별시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승진 ,,(초선),, || ||<-2> '''중랑구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이윤재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은경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동일로 847 || || [[https://dong.jungnang.go.kr/dong/main.do?dong=12|묵2동 주민센터]] || [clearfix] == 주요 시설 == === 기관 === * 주한 [[감비아]] 명예 총영사관 *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 * [[한국전력공사]] 동대문중랑지사 * 중랑구립 직업재활센터 * 중랑구민 체육센터 * 중랑구립 정보도서관 * 묵1동 주민센터 * 묵2동 주민센터 === 주거 === * [[GS건설]] 자이1단지 - 2010년 12월 입주ㆍ137세대 * [[GS건설]] 자이2단지 - 2010년 12월 입주ㆍ274세대 * 광덕종합건설 공감대 - 2005년 3월 입주ㆍ118세대 * 고덕종합건설 / 가야건설 골든빌 - 2012년 11월 입주ㆍ47세대 * [[극동건설]] 극동늘푸른아파트 - 1998년 12월 입주ㆍ188세대 * [[금호건설]] 리본타워 - 2014년 1월 입주ㆍ86세대 * [[금호산업]] 금호어울림 - 2003년 12월 입주ㆍ193세대 * 동구종합주택건설 동구햇살 - 2004년 5월 입주ㆍ163세대 * [[대림산업]] e편한세상 화랑대 - 2017년 5월 입주ㆍ719세대 * 진덕산업 신내4단지아파트 - 1996년 6월 입주ㆍ1,070세대 * [[두산건설]] / [[대림산업]] 신내5단지 두산대림아파트 - 1995년 12월 입주ㆍ1,244세대 * 문수종합건살 묵동해오름 - 2004년 12월 입주ㆍ42세대 * 비와이씨건설 위더스빌 - 2010년 6월 입주ㆍ80세대 * [[삼성물산]] 삼성 - 1991년 12월 입주ㆍ45세대 * 풍산쉐르빌 - 2002년 9월 입주ㆍ19세대 * 세방기업 세방아파트 - 2000년 4월 입주ㆍ159세대 * 승민종합건설 묵동SM해그린 - 2006년 7월 입주ㆍ60세대 * 신도종합건설 신도1차아파트 - 1998년 10월 입주ㆍ221세대 * 신도종합건설 신도2차아파트 - 1999년 4월 입주ㆍ49세대 * 신도종합건설 신도브레뉴 - 2004년 10월 입주ㆍ100세대 * 신안건설 신안1차아파트 - 1999년 10월 입주ㆍ285세대 * 신안건설 신안2차아파트 - 2000년 3월 입주ㆍ171세대 * 신안건설 신안3차아파트 - 2000년 9월 입주ㆍ248세대 * 월드건설산업 월드메르디앙 - 2009년 3월 입주ㆍ141세대 * 월등종합건설 월등스카이뷰 - 2004년 12월 입주ㆍ36세대 * 우성건설 우성아파트 - 1975년 12월 입주ㆍ190세대 * 이수건설 브라운스톤 태릉 - 2004년 3월 입주ㆍ587세대 * 태창종합건설 태창네스트빌 - 2005년 4월 입주ㆍ33세대 * 한국종합건설 한국아파트 - 1999년 6월 입주ㆍ225세대 * 효산건설 효산센터빌 - 2008년 9월 입주ㆍ31세대 * [[현대산업개발]] 아이파크 - 2002년 6월 입주ㆍ601세대 === 편의시설 === * 중랑구립정보도서관 * 중랑구민체육센터 * 묵동 다목적체육관 * [[이마트 묵동점]] * [[롯데슈퍼]] 묵동점 * [[롯데시네마]] 중랑관 * [[삼성전자서비스]] 태릉휴대폰센터 === 은행 === * [[국민은행]] 먹골역지점 * [[우리은행]] 태릉역금융센터 * [[하나은행]] 태릉지점 === 학교 === ==== 초등학교 ==== * 묵현초등학교 * 신묵초등학교 * 원묵초등학교 ==== 중학교 ==== * [[원묵중학교]] * 태릉중학교 ==== 고등학교 ==== * [[원묵고등학교]] * [[태릉고등학교]] == 교통 == === 도로 === ==== 고속화도로 ==== * [[북부간선도로]] * [[동부간선도로]] ==== 대로 ==== * [[동일로]] ==== 로 ==== * 공릉로 * 숙선옹주로 * 신내로 * 중랑역로 * 중랑천로 === 대중교통 === ==== 도시철도 ====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태릉입구역]][*G 주소는 [[노원구]] [[공릉동]].] * [[서울 지하철 6호선]] [[화랑대역]][*G 주소는 [[노원구]] [[공릉동]].] * [[서울 지하철 7호선]] [[먹골역]] ==== 간선버스 ==== * [[서울 버스 202]] * [[서울 버스 240]] * [[서울 버스 146]] * [[서울 버스 105]] * [[서울 버스 N61]] ==== 지선버스 ==== * 굵은 글씨는 묵동 시가지 내부 위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 [[서울 버스 1122]] * [[서울 버스 1143]] * [[서울 버스 1221]] * [[서울 버스 1224]] * [[서울 버스 1227]] * '''[[서울 버스 2113]]''' * '''[[서울 버스 2114]]''' * [[서울 버스 2212]] * [[서울 버스 2236]] ==== 일반버스 ==== * [[구리 버스 75]] * [[구리 버스 75-1]] ==== 마을버스 ==== * [[남양주 버스 82]] ==== 공항버스 ==== * [[공항버스 6100]] == 정치 == 국회의원 선거구는 [[중랑구 을]]에 속한다. 민주당세가 강한 중랑구긴 하지만, 묵동은 그래도 중랑구에서 보수가 꽤 힘을 쓰는 동네들 중 하나이다. 중랑구 갑 지역에선 면목3.8동과 면목7동,망우3동이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있다면, 중랑구 을은 망우본동과 묵1동이 보수세가 있는 편이다. 특히 묵1동은 묵2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강한데, 그 이유는 바로 묵1동 3투표소에서 꾸준히 보수 정당 후보를 밀어주고 있기 때문이다. ||<-5> {{{#fff '''묵1동 3투표소의 대선 투표 결과'''}}} || || 선거 ||<:> {{{#ffffff '''민주당계 정당 후보 득표율'''}}} ||<:> {{{#ffffff '''보수 정당 후보 득표율'''}}} ||<:> {{{#ffffff '''3위 후보 득표율'''[* 10%p 이상 득표 후보만 기재.]}}} || 차이 || || 13대 대선 || 통일민주당 김영삼[br] (36.01%) || 민주정의당 노태우[br] (33.07%) || 평화민주당 김대중[br] (25.14%) || ▲2.94%p || || 14대 대선 || 민주당 김대중[br] (30.13%) || 민주자유당 김영삼[br] (40.42%) || 통일국민당 정주영[br] (20.87%) || ▽10.29%p || || 15대 대선 ||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br] (31.51%) || 한나라당 이회창[br] (57.87%) || [* 국민신당 이인제 후보 9.35% 득표] || ▽26.36%p || || 16대 대선 || 새천년민주당 노무현[br] (33.42%) || 한나라당 이회창[br] (63.81%) || [*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 2.45% 득표] || ▽30.39%p || || 17대 대선 ||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br] (14.22%) || 한나라당 이명박[br] (66.51%) || 무소속 이회창[br] (10.91%) || ▽52.29%p || || 18대 대선 || 민주통합당 문재인[br] (42.19%) || 새누리당 박근혜[br] (57.34%) || [* 무소속 강지원 후보는 8표를 득표해 3위를 기록.] || ▽15.15%p || || 19대 대선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br] (36.08%) || 자유한국당 홍준표[br] (27.08%) || 국민의당 안철수[br] (22.62%) || ▲9.00%p || || 20대 대선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br] (36.48%) || 국민의힘 윤석열[br] (60.48%) || [* 정의당 심상정 후보 2.48% 득표] || ▽24.00%p || ||<-4> {{{#fff '''묵1동 3투표소의 총선 투표 결과'''}}} || || 선거 ||<:> {{{#ffffff '''민주당계 정당 후보 득표율'''}}} ||<:> {{{#ffffff '''보수 정당 후보 득표율'''}}} ||<:> {{{#ffffff '''3위 후보 득표율'''[* 10%p 이상 득표 후보만 기재.]}}} || || 13대 총선 || 통일민주당 박찬[br] (25.04%) || 민주정의당 천명기[br] (26.82%) || 평화민주당 김덕규[br] (23.86%) || || 14대 총선 || 민주당 김덕규[br] (38.56%) || 민주자유당 김충일[br] (36.70%) || 통일국민당 강병진[br] (24.72%) || || 15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김덕규[br] (29.79%) || 신한국당 김충일[br] (42.00%) || [* 통합민주당 조명원 후보, 자민련 강병진 후보 각각 17.59%, 10.10% 득표] || || 16대 총선 || 새천년민주당 김덕규[br] (31.71%) || 한나라당 강동호[br] (48.42%) || 무소속 조명원[br] (13.53%) || || 17대 총선 || 열린우리당 김덕규[br] (36.58%) || 한나라당 강동호[br] (66.51%) || [* 3위는 새천년민주당 송재덕 후보. 4.73% 득표] || || 18대 총선 || 통합민주당 김덕규[br] (25.89%) || 한나라당 진성호[br] (52.09%) || 무소속 강동호[br] (15.32%) || || 19대 총선 || 민주통합당 박홍근[br] (33.23%) || 새누리당 강동호[br] (55.79%) || [* 3위는 무소속 진성호 후보. 5.23% 득표.] || || 20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박홍근[br] (42.29%) || 새누리당 강동호[br] (41.20%) || 국민의당 강원[br] (11.59%) || || 21대 총선 || 더불어민주당 박홍근[br] (44.62%) || 미래통합당 윤상일[br] (53.89%) || [* 3위는 민중당 이소영 후보. 22표 득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