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5441 0%, #006c35 20%, #006c35 80%, #245441);" {{{#fff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사우디아라비아 총리)] ---- [include(틀:가장 영향력 있는 무슬림)]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45441 0%, #006c35 20%, #006c35 80%, #245441);"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br]{{{+1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br] محمد بن سلمان آل سعود [br]HRH[* His Royal Highness/ صاحب السمو الملكي الأمير] Prince Mohammed bin Salman Al Sau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ohammed_bin_Salman_Al_Saud.jpg|width=100%]]}}} || ||<|2> '''출생''' ||[[1985년]] [[8월 31일]] ([age(1985-08-31)]세)||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주]] [[리야드]]|| || '''현직'''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br][[사우디아라비아]] 총리[br][[공공투자기금]] 회장[br]경제개발문제위원회 위원장[br]정치안보문제위원회 위원장 || ||<|8> '''재임기간''' ||제7대 국방장관 || ||[[2015년]] [[1월 23일]] ~ [[2022년]] [[9월 27일]] || ||제7대 제2부총리 || ||[[2015년]] [[4월 29일]] ~ [[2017년]] [[6월 21일]] || ||제12대 제1부총리 || ||[[2017년]] [[6월 21일]] ~ [[2022년]] [[9월 27일]] || ||제6대 총리 || ||[[2022년]] [[9월 27일]] ~ [[현직]] || || '''링크''' ||[[https://instagram.com/hrhpsauds?igshid=NDk5N2NlZjQ=|[[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br][[어머니]] 파다 빈트 팔라 알 히슬레인[* 13남매 중 7번째로 출생했다.] || || '''형제자매''' ||[[남동생|친남동생]] 칼리드, 투르키, 나예프, 반다르, 라칸 || || '''배우자''' ||사라 빈트 마슈후르 알사우드[* [[사촌간 혼인|사촌이다.]]] {{{-2 (2008년 결혼)}}} || || '''자녀''' ||[[장남]] 살만[br][[차남]] 마슈르[br][[장녀]] 파다[br] [[차녀]] 노우라[br][[삼남]] 압둘아지즈 || || '''학력''' ||[[킹 사우드 대학교]] {{{-2 ([[법학]] / [[학사]])}}} || || '''종교''' ||[[이슬람교]] {{{-2 ([[수니파]])}}} || || '''신체''' ||183cm, 77kg || || '''재산''' ||'''불명'''[* 2022년 기준 알려진 재산으로 2조 달러라는 이야기가 있고 이 때문에 비공식 세계부자 1위로 공식 세계 부자 1위인 [[일론 머스크]]보다 10배 이상 많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의 법이 왕실의 재산을 공개하지 않도록 제정되어 있는데, 2조 달러라는 재산은 무함마드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사우디 왕가 전체 재산으로 알려져 있다.[[http://m.kmib.co.kr/view.asp?arcid=0013432402|#]][[https://woman.donga.com/3/all/12/3249817/1|#]] 또한 사우디의 원유 매장량이 의도적으로 부풀려져 있으며 당국에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공개자료를 공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2조 달러라는 자산도 언론과 왕실에 의해 부풀려진 경향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계승 서열''' ||1위 || || '''별칭''' ||'''MBS'''[* 무함마드 빈 살만(Mohammed bin Salman)의 영어 [[이니셜]]로 주로 서방권 국가의 언론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Mr. Everything'''[* 어마어마한 부와 권력을 지니고 있어 자국 안에서 '''[[무소불위|무엇이든 다 할 수 있는]] 남자'''라는 의미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4X2YrOaSPo, height=28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Q814KG4gLQ, height=280)]}}}|| ||<#006c35> {{{#fff '''소개 영상'''}}} ||<#006c35> {{{#fff '''2022년 방한 당시'''}}} ||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겸 총리, 왕실 직속 경제위원장,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구단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혁 행보를 행하는 차기 왕위 계승권자이자 국제 사회의 거센 비판을 받은 독재자[[https://m.kmib.co.kr/view.asp?arcid=0924022191|#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067126#home|#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75501|#3]]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18102401070239274001|#4]]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2071738611|#5]] 로 [[왕자]]만 수백명이 있는 숨막히는 권력다툼으로 점철된 사우디 왕가에서 치밀한 모략과 음모로 경쟁자들을 하나하나 제거하고 1인자로 올라선 [[권모술수]]의 화신 같은 인물이다. 이런 인물이 항상 그렇듯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암살이나 납치 같은 무리수도 서슴치 않고 있다. 약간 살집이 있는 이른바 후덕한 몸에 언론에 노출될 때마다 잇몸이 드러나도록 짓는 함박웃음[* 특유의 풍성한 수염 덕에 특히 순박해보이는 이미지메이킹에도 한몫 한다. 정유산업 및 도·소매 업계인이나 금융권 원유 트레이더들은 유가 급등 소식이 전해질 때마다 MBS의 함박웃음 사진을 짤방으로 쓰기도 한다. ] 때문에 겉으로 보여지는 외모와 인상은 좋은 편[* 전신을 가리는 아랍 문화권 전통복장 [[도브#s-5|도브]]를 입고 공식석상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보니 티가 나지는 않지만, 수트를 입은 모습을 보면 상당히 우람한 체격이다. 잘 관리한 수염 덕분에 턱선이 뚱뚱해보이지도 않으며 특유의 함박웃음이 더 강조된다. 체격은 2010년대 주요 강대국 정상 중 손꼽히는 거구였던 [[도널드 트럼프]]에 비교해도 밀리지 않으며, 도브가 아닌 수트 차림으로 [[마크 저커버그]] 등 마른 체형의 실리콘밸리 CEO들을 만난 사진을 보면 이들이 멸치처럼 보일 정도이다. ~~[[탈모|하지만 세계 최강의 권력으로도...]]~~ 무함마드가 총리직에 오르며 무함마드의 후임 국방장관에 오른 동복동생 할리드 빈 살만도 한 체격 하는걸 보면 집안 내력인듯 하다.]인데 하는 짓은 매우 야심차고 비정하여 외견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다. 한국 언론에서는 이 인물을 '''빈 살만 왕세자'''라고 지칭하는데, '''빈 살만'''은 이름이 아니라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살만]]의 아들'''이라는 뜻이고, 이름은 '''[[무함마드]]'''이다.[* 보통 [[아랍|아랍권]] 이름에서 아들은 빈(ibn), 딸은 빈트(bint)를 붙여 사용한다. [[작명#s-5|아라비아 부족 작명 공식]]에 따라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를 해석하면 이 인물의 이름은 '''[[무함마드]]'''이고, 그가 속한 씨족명 또는 가문명은 '[[사우드 왕조|사우드]]'이기에 여기에 [[아랍어]] 관사 '[[알(동음이의어)#s-3.2|알]](آل)'을 붙인 '알사우드'(또는 '알 사우드')가 [[성씨|성]]이 되는 것. 따라서 이 인물의 이름을 명(名)+성(姓)으로 최대한 축약하면 '''무함마드 알사우드'''(사우드 가문의 무함마드)가 된다. 그리고 광범위한 부계 씨족(성씨) 집단 내에서 이 사람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한국의 성씨 개념에 'OO공파 XX세손'이나 돌림자 개념이 있는 것처럼 아랍권에서는 이름에 부칭을 덧붙인다. 즉, '''빈 살만'''을 덧붙임으로써 이 사람이 ''' '사우드 씨족 중에서 살만의 아들인 무함마드' '''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보다 더 격식 있게, 또는 그 사람의 혈통을 명확하게 나타내려고 할 경우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즉 '사우드 씨족 중에서 압둘아지즈의 아들인 살만의 아들인 무함마드'와 같은 형태로 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우드 왕조]]의 창시자인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압둘 아지즈]]의 풀 네임인 '''압둘 아지즈 빈 압둘 라흐만 빈 파이살 빈 투르키 빈 압둘라 빈 무함마드 이븐 사우드'''로, 4~5대조 조상까지 줄줄히 붙여쓰기도 하는 것.(알 사우드가 아닌 이븐 사우드인 이유는, 이 인물이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아라비아]]의 국왕으로 즉위했음이 왕가로서 사우드 가문이 시작했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나마 '사우드 씨족의 살만'이라고 하면 그게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누구]]인지는 대부분 사람들이 알기에 더 길게 쓸 필요가 없지만, 그만큼 유명하지 않은 인물들의 경우 씨족 내에서 어떤 인물인지를 명확히 구별하기 위해서라도 4~5대 조상까지 줄줄히 불러주는 경우도 많다.(아랍 씨족사회에 익숙한 사람은 상대가 속한 씨족과 그 3~5대 부칭을 들으면 그 사람이 대충 누구의 친척인지 파악할 수 있다.)] 사실 왕세자 즉위 이전 국방장관 시절에는 '무함마드'라고 제대로 표기한 기사가 검색되지만, 무함마드 빈 살만이 왕세자로 책봉된 이후로는 '빈 살만'으로 호칭이 바뀌었다. 아마도 전임 왕세자 이름이 '''무함마드 빈 나예프'''였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려고 이렇게 한 듯하다. 서구식 이름에서 앞부분이 이름(given name), 뒷부분이 성(family name)의 역할을 하고 그 중에서 뒷부분 이름이 공식 석상에서 더 격식 있게 쓰이는 것에 우리가 익숙해진 탓에 흔히 저지르곤 하는 실수인 듯도 하다.[* 이젠 [[아랍어]] 인명을 읽을 때 '빈 라덴'처럼 부칭 '빈~'만 읽는 게 관행으로 자리잡은 듯.] 예컨대 [[오사마 빈 라덴]]도 흔히 줄여 부를 땐 '빈 라덴'으로 불리곤 했던 것을 참고할 수 있다.[* 빈 라덴의 경우 집안 이름이기 때문에 서구식 성과 비슷한 개념으로 쓰여서 꼭 틀렸다고는 할 수 없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무함마드의 위상은 절대적이다. 오죽하면 뭐든 할 수 있는 돈과 권력이 있다고 별명마저 '''Mr. Everything'''(미스터 에브리띵)[[https://www.ytn.co.kr/replay/view.php?idx=29&key=202211181538478875|#]]이라고 불릴 정도. 국방장관에 이어 총리 겸 왕세자로 실질적으로 사우디를 통치하고 있다. 아버지가 여전히 국왕이긴 하지만 87세의 고령이기 때문. == 생애 == 1985년 8월 31일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살만 빈 압둘아지즈]] 왕자와 그의 세 번째 아내 파다 빈트 팔라 알 히슬레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살만 왕자는 히슬라인 왕자비 사이에서 총 6명의 자식들을 두었는데 무함마드 빈 살만은 개중에서 장남이었다. 하지만 살만 왕자가 그전부터 왕비와 첩실들이 많았던 탓에 전체적으로 보면 8번째 자식이자 7번째로 태어난 아들이었다. 빈 살만의 어머니는 교육열이 매우 강했고, 아버지가 집에 있으면 반드시 겸상을 시켰다고 한다. 아버지는 정이 많은 성격이어서 기부를 자주 했는데 그게 걱정된 15세의 빈 살만은 장사를 하겠다고 말하기도 했고 16세 생일 이후로 가지고 있는 금과 패물 등을 팔아 투자를 했고 엄청난 개인 재산을 모았다. 그리고 국내대학인 [[킹 사우드 대학교]]에 수석입학하여 아버지의 총애를 얻었다. 대학교를 전체 4위로 졸업한 이후 사우디 정부를 돕는 민간 컨설턴트로 몇 년동안 일하면서 사회 경험을 쌓았다. 대학생 때부터 아버지 주변에서 보고 배운 것이 많아서였는지 2009년에 당시 [[리야드]] 주지사였던 아버지의 특별 고문역으로 직업정치에 입문했다. 리야드 경쟁력위원회 위원장, 킹 압둘아지즈 연구보존재단의 이사장 특별 고문 등 다양한 직위들을 꿰차면서 점차 권력을 쌓을 수 있었다고 한다. 이 때 아버지 살만 빈 압둘아지즈와 함께, 리야드주에 대부분 거주하는 수천명에 달하는 사우디 배다른 왕자들의 부패와 갑질같은 왕실의 품위를 해치는 행위를 단속하는 공식 윤리위원회를 만들어서 이들을 단속하는 역할에 앞장서서 사우디의 젊은이들에게 민심을 얻었다고 한다. 이때까지만 해도 무함마드 빈 살만은 권력 좀 있는 왕자의 아들일 뿐이었다. 하지만 당시 왕세제였던 술탄 빈 압둘아지즈 왕자가 2011년 10월 건강 악화로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새로운 왕세제가 된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마저도 건강 악화로 연달아 사망하면서 아버지 살만 빈 압둘아지즈 왕자가 마침내 새 왕세제로 등극하면서 무함마드 빈 살만의 지위도 껑충 뛰어오를 수 있었다. 얼마 지나지 않은 2015년 1월 23일에 압둘라 국왕이 세상을 떠나자 살만 빈 압둘아지즈가 새로운 국왕이 되었고 무함마드 빈 살만은 실질적인 2인자 위치의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살만 국왕은 즉위 직후 전 왕세제였던 나예프 빈 압둘아지즈 왕자의 아들이자 자신의 조카였던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자를 후계자로 임명했다. 물론 살만 국왕 역시 마음이야 제 아들을 왕세자로 임명하고 싶었지만 아직 왕위 계승 구도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왕조의 균열에 대한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자를 자리에 앉혔던 것. 대신 마음 속에 점찍어두고 있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를 권력의 핵심인 국방부 장관으로 임명하고 각종 권한들을 몰아줬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 남쪽 [[예멘]]에서는 상황이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2014년 말에 [[시아파]]인 후티가 예멘 북부를 장악하고 만수르 하디 대통령과 내각이 총사퇴를 당하자 바로 인접한 [[수니파]] 국가 사우디아라비아도 비상이 걸린 것.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가 국방장관에 취임하자마자 가장 먼저 내린 명령이 후티에 대한 대대적인 공습과 해상 봉쇄였다.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는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후티를 몰아내고 만수르 하디 대통령을 다시 복권시키고 싶었지만, 후티의 반발이 지나치게 거셌을 뿐더러 결정적으로 시아파 국가 [[이란]]이 후티를 원조해주면서 [[예멘 내전|기나긴 소모전으로 끌려들어가고야 말았다.]] 2015년에는 반테러 활동 및 [[대IS 군사 개입]]을 위해 서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의 이슬람 국가 34개국이 참여하는 이슬람 대테러 군사동맹의 창설을 발표하였다. 사령부는 [[리야드]]이다. === 사촌형을 몰아내고 왕세자가 되다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살만 국왕]]이 조카 무함마드 빈 나예프 왕자를 일단 왕세자로 지명하긴 했다지만, 형제간 암투가 횡행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친아들도 아닌 조카가 왕세자 자리에 앉아있는 게 국왕의 마음에 들 리가 없었다. 결국 2017년 6월 21일, 살만 국왕은 나예프 왕자를 폐하고 '''친아들'''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를 새 왕세자로 봉한다는 칙령을 내렸다. 사실 국왕의 친아들도 아니었던 나예프 왕자가 왕세자 자리에서 쫓겨날 거란 관측은 2015년부터 쭉 제기되어왔던 추측이었다. 어쨌든 이에 따라 왕위 계승에 있어서 세대교체는 물론이거니와 사우디아라비아 초대 계승 이후 두 번째로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01&aid=0009352577&sid1=104&ntype=MEMORANKING|부자(父子) 상속]]'''까지 확정지었다. 무함마드 빈 살만이 마침내 왕세자 자리에 올라가자 국제적으로도 그의 왕세자 즉위에 축하하는 말들이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가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까운 협력 관계'를 유지할 것이라는 말을 남겼으며, 무함마드 왕세자와 트럼프 대통령은 테러리즘에 대한 공동 대응, [[카타르]]와의 외교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갈등 등 여러 문제들에 대해서도 함께 대응할 것을 천명했다. 특히 여기서 주목할만한게 당시 무함마드 왕세자의 발언인데, 무함마드 왕세자는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이 없었다면 우리는 [[북한]] 꼴이 되었을 것이다"라는 립서비스도 했다.[[https://www.washingtonpost.com/opinions/global-opinions/a-young-prince-reimagines-saudi-arabia-can-he-make-his-vision-come-true/2017/04/20/663d79a4-2549-11e7-b503-9d616bd5a305_story.html|#]] 한편 기존 왕세자였던 나예프 왕자는 꼴이 꽤나 비참해졌다. 3월 6일 미영 언론이 나예프 왕자의 체포를 보도한 뒤[[https://m.news.naver.com/read.nhn?oid=001&aid=0011455983&sid1=104&mode=LSD|#]] 왕명에 따라 모든 직위에서 강제로 쫓겨났다. 뿐만 아니라 2020년 3월 이래로 아직까지도 왕궁 감옥에 삼촌이나 이복형제 등 인척들과 함께 사실상 감금되어 있는 걸로 알려져 있다. 그의 은행 계좌는 2017년 완전히 동결당했고 그의 아내와 자식들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국하는 게 금지당했을 정도니 정말 완벽하게 몰락했다고 보아도 좋을 수준이다. [[뉴욕 타임스]]는 '나예프 왕자가 몇 시간 동안 제 의지에 반하여 왕좌를 포기하라는 압력을 받았다'라고 보도하기도 했다.[[https://www.nytimes.com/2017/07/18/world/middleeast/saudi-arabia-mohammed-bin-nayef-mohammed-bin-salman.html|#]] === 2017년 대숙청 === >'''내가 장담합니다. 그 누구도 부패 혐의에서 살아남을 수 없을 겁니다. 그가 누구든지, 심지어 왕자거나 장관일지라도 말입니다.''' >---- >2017년 5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의 경고. 무함마드 빈 살만 왕자는 왕세자 자리에 오른 이후에도 숙청의 고삐를 놓을 생각이 없었다. 나예프 전 왕세자야 쫒겨났다지만 전대 국왕이던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의 파벌이 여전히 존속하고 있었기 때문. 새롭게 왕위에 즉위한 살만 국왕 역시 전대 압둘라 국왕의 파벌이 아니꼬왔던 건 마찬가지였던 터라[* 압둘라 전 국왕과 살만 국왕은 부자 관계가 아니라 형제 관계다. 그렇기에 안그래도 가족 갈등이 심한 사우디 왕실 내에서 서로 파벌이 크게 갈렸다.] 왕세자를 도와 압둘라 파벌을 쓸어버릴 작정에 나섰다. 그리고 이 압둘라 파벌과 무함마드 왕세자 사이의 갈등이 한번에 터져나온 대사건이 바로 '''2017년의 왕족 [[숙청#s-2]]'''이다. 2017년 11월 4일에 무함마드 왕세자는 '''500여 명에 달하는 정재계 고위 인사들을 체포'''해 [[리야드]]의 리츠-칼튼 호텔에 감금해버렸다. 사우디 은행은 2,000여 개가 넘어가는 은행 계좌를 동결했고 혹시나 개인용 [[제트기]]로 도망칠까봐 공군을 동원하기까지 했다. 왕자 11명이 한꺼번에 줄줄이 잡혀들어왔고 4명의 장관들이 체포당했다. 가장 대표적인 숙청 대상으로는 억만장자 사업가였던 알 왈리드 빈 탈랄, 압둘라 전 국왕의 아들인 무타이브 빈 압둘라 왕자, 투르키 빈 압둘라 왕자 등으로, 사우디에서도 한가닥한다는 인물들이 모두 구금당했다. 심지어 구금당한건지 죽은건지 확실하지 않은 인물도 있다. 전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파흐드 국왕]]의 아들 압둘아지즈 빈 파흐드 왕자가 군인들에게 저항하다가 살해당했다는 루머가 있었고,[* 사우디아라비아 정부 측에서는 성명을 통해 왕자가 '살아있고 건강하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기에 죽었을 가능성도 다분하다. 다만 왕족들을 함부로 죽이지는 않은 사우디 왕실 특성상 어딘가에 갇혀있을 확률이 더 높다.] 만수르 빈 무크린 왕자도 개인 헬리콥터를 타고 탈출을 시도하다가 격추당해 사망했다는 말까지도 있다.[[https://www.indiatoday.in/world/story/saudi-arabia-prince-bin-mugrin-helicopter-crash-crown-prince-mohammed-bin-salman-1082661-2017-11-09|#]] [[파일:Screen-Shot-2017-11-06-at-4.08.42-PM-1510002601-1510155352-1000x739.jpg|width=600]] 2017년 11월 6일 리츠칼튼 호텔에 감금된 사람들과 그들을 둘러싼 군인들. 당시 상황을 찍은 희귀한 사진들 중 하나다. 한국에도 자주 오던 세계적인 투자가인 왈리드 왕자도 14조 넘는 재산중에서 6조원이 넘는 재산을 벌금으로 내야 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824836.html|#]] 한편 리츠칼튼 호텔에 감금된 사람들도 상황은 좋지 못했다. 감금된 인사들은 '''구타의 밤'''이라는 무시무시한 명칭으로 불릴만큼 힘든 시간을 보내야했는데, 거의 대부분은 구타와 폭행을 당한 걸로 추정되며 일부는 사우디 요원에게 고문당하느라 벽에 묶여있기도 했다고 한다. 구금자들은 자신이 갇힌 이유를 전혀 알지 못한 채로 심문관 앞에서 강제 심문을 받았고, 일부는 [[제네바]]의 은행에서 돈을 인출해 가지고 오라고 협박하기도 했다.[* 참고로 제네바 은행에서는 비정상적인 인출이 이루어지자 이를 수상하게 여겨 도중에 인출을 일부 중단해버렸다.] 당연히 잠을 재우지도 않았고 원하는 정보를 불 때까지 머리를 가리고 구타했다. 약 17명은 하도 맞아서 입원해야할 정도였다고.[[https://www.nbcnews.com/news/mideast/how-saudi-royal-crushed-his-rivals-shakedown-ritz-carlton-n930396|#]] 며칠 후 나머지 수감자들은 알 하이르 감옥으로 이송되었고 일부는 풀려났지만 해외 출국이 금지된 채로 자택감금에 처해졌다. 이 과정에서 [[민간군사기업]] 내에서도 악명 높은 [[블랙워터]]를 고용해 강도 높은 심문과 고문을 행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 어마어마한 대숙청으로 인해 결국 빈살만의 적대하는 파벌은 완전히 몰락했고 살만 현 국왕과 무함마드 왕세자의 파벌이 득세하는 데 성공한다. 이 대숙청의 최고 수혜자는 당연히 무함마드 왕세자였다. 웬만한 경쟁자들을 싸그리 날려버렸을 뿐만 아니라 보안군 3개 부문에 대한 통제권을 완벽히 장악하면서 '''초대 국왕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이븐 사우드]] 이래 사우디 역사상 가장 강력한 권한을 거머쥔 인물'''로 급부상하게 되었던 것. 이 대숙청은 2019년 1월 30일까지 쭉 계속되었고, 총 381명이 체포당했으며 그 결과 1,070억 달러가 국고로 회수되었다고 한다. 참고로 숙청의 공식 이유는 부정부패, 횡령, 공권력 남용 등 다양했지만, 가장 큰 것은 역시 반대파에 대한 일괄 숙청이었다. 사우디는 22부족의 여성들을 맞이한 초대왕의 유언에 따라 형제상속을 근거로 하고 있었고 이는 22부족이 행정부의 각부서를 장악하고 있었다. 그중 [[하사 빈트 아메드 알 수다이리]]의 7명의 아들은 매우 강력한 파워를 가지고 있었는데 22명이나 되는 아내가 40명이 넘는 아들을 가지고 있었다고는 하나 단 한명이 7명의 아들을 낳았다는건 그만큼 왕에게 각별한 총애를 받았다는게 되고,배후의 수다이리 부족 역시 매우 강력한 부족이라 2명의 왕과 2명의 왕세자를 배출할만큼 권력이 편중되어 있었다. 그런데 수다이리7이 합의해서 세운 빈 나예프를 빈 살만이 겁박해 왕세자 자리를 빼았으면서, 원래 35명의 아들에 해당하는 반대파 가문은 물론이고 수다이리 7중 6명마저 살만가계에 적대적으로 돌아서면서 살만 국왕과 빈살만 왕세자는 왕실내에 공공의 적이 되어버린 것이다. 사우디는 여전히 부족이 강력한 파워를 가지고 있는 중동의 왕정이며 각 파벌마다 외교부,종교부,재정부 등등 행정부처들을 봉역처럼 가지고 있었다. 이들 파벌들이 적대적으로 돌아서면서 왕실내에 언제 사단이 날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이 상황에서 [[친위 쿠데타]]로 선수를 쳐서 왕실 파벌들을 일제히 제거해버린 것이다. 한편으로 당시 파탄 지경에 빠진 사우디의 재정상태 때문에 불가피한 측면도 있었다. 코로나 당시 유가가 사우디의 균형재정수지에 크게 미달하는 상황을 맞아 사우디의 외환보유고가 바닥을 치고 있었고 아람코 공개, 부가세 5% 도입, 부가세 15% 인상등 숨막힐정도로 가파르게 재정확보를 위한 노력이 있어왔으며 왕실의 후한 재정살포로 유지되고 있던 왕가의 지지도와 민심이 급격히 악화되기 시작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vOI4ue8XoM|교육]] 이런 상황에서 왕족들의 재산을 몰수 하지 않고서는 재정을 유지하는게 불가능했다. 이후 유가가 오르면서 사우디 재정은 다시 숨통이 트이고 아람코 공개는 취소되었으며 이 당시 재정압박에 시달린 빈살만은 [[네옴]] 시티같은 비석유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다. 이 사건으로 사우디는 명실상부한 [[전제군주제]] 국가가 되었다. 이전에도 사우디는 제도상으로는 이미 [[전제군주제]]였지만 복잡한 왕실파벌과 종교계를 주도하는 와하브 가문[* [[와하브파]]라고 해서 단순히 종교분파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아랍 국가들은 부족주의로 움직이고 모든 것은 가문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다시말해 [[와하브]]파는 [[알리-와합]] 가문의 의해서 주도된다.] 때문에 왕의 실권은 크게 제약되어 있는 상황이었다. 물론 이것은 동시에 [[사우디]]의 내적 안정성을 흔드는 행위이기에 향후 어덯게 될지는 지켜볼만한 문제다. 부족국가에서 한부족, 한가계가 폭주하여 권력을 집중시킬 경우 자칫 잘못하면 [[쿠데타]]나 [[내전]]이 발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멀리볼거 없이 [[사우드 왕조]]가문이 메카를 통치하던 [[하심]]가문을 쫒아낸 것도 [[하심]]가문이 [[칼리프]]를 선언하는 등 지나치게 강하고 넓은 영향력을 획득하려는 것에 대한 부족들의 반감을 이용한 것이다. 이웃 터키나 페르사이 문명권이 전제정을 만들었던 것과 다르게 부족정 전통이 강한 아랍에서는 카리스마 강한 인물이 몇십년,한세대를 억누르는데 성공한 적은 있었으나 끝내 파국이 발생했었다. 이제껏 단 한번도 예외없이 그래왔다. 그래서 아랍국들에서 전제독재정의 전통이 없는 것이다. 각 부족들과 종교계, 보수파들의 지지를 얻을 수가 없는 [[빈 살만]]이 정보부[* 전 왕세자인 빈 나예프 가계가 장악하고 있던게 정보부였는데 살만 가계가 빼았았다.]를 크게 확대하여 공포정치를 펼치는건 필연적인 일이다. 한편으로 그래서 여성과 젊은이를 지지자로 끌어들이는 형태의 여론형성을 꾀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왕실 가계와 유력한 각 부족 가문의 지지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고, 종교계마저 억누르고 있으니 민심을 잃으면 정말 한순간에 끝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가족에 대해 보이는 비정한 면모를 보면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하면 이런 정치적 스탠스도 한순간에 돌변할 수 있다. 그야말로 사우디는 명실상부한 아랍의 부유한 [[북한]]이 되었다. 좋은 점이라면 귀족공국 특유의 비효율적인 재정운용과 사치 방탕한 문화,권력 사유화와 극심한 부패를 벗어날 수도 있겠지만 이렇게 권력을 독점한 독재자는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국가운영의 심각한 불안정성을 품게 된다. 정작 빈살만도 사치스러운 면모는 똑같이 가지고 있고[* 왕족이 사치스러운 모습을 보이는건 권위와 부를 내세우는 것으로 권력강화를 위해 도움이 되는 행위인 것은 분명하다. 문제는 어떤 이유에서이건 돈드는건 똑같다는 것이고 권력이 집중될수록 무의미한 건축과 무의미한 화려한 행사는 더 커져야한다는 것이다.] 다소 충동적인 행태를 보이는 것도 불안한 점인데 레바논 총리 사임압박 같은 외교적 폭거나,[[네옴]]시티 같은 건축학,도시공학적으로 말도 안되는 프로젝트가 단 하나의 반대도 없이 시행되는 것이 예시일 것인데, 이런 프로젝트가 모두가 예측하는 대로 재앙적인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도 [[빈 살만]]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을 것이다. == 정책 == === 대미(對美) 의존도 축소 ===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3050817490001039|사우디 무함마드의 '미국 패싱' 급물살...'미국의 적' 이란·시리아 연달아 품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40416160005911|#2]] 2020년대에 빈 살만은 [[사우디아라비아]]가 수십년 동안 고수해온 [[친미]] 외교 노선에서 벗어나 '''탈미국''', 독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핵심은 '''탈미국 = [[반미]]가 아니라는 점이다.''' 비슷한 예시로는 [[튀르키예]]가 있다. 미국과 러시아라는 두 강대국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하면서 독자 노선을 걷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2014년 국제 유가 폭락의 주범으로 지목받아 여타 산유국(주로 이웃나라들)로부터 욕이란 욕은 다 먹었는데도 불구하고 이를 주도했던 [[오바마 행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라이벌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를 줄이는 식으로 사우디 측의 뒤통수를 쳤다. [[https://www.yna.co.kr/view/AKR20160116052452070|2016년 1월 기사]] 참고로 아랍 왕정 국가들은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그 이스라엘하고도 손을 잡는 마당인데,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 행보는 사우디 입장에서 배신이라고 밖에 볼 수 없었다. [[자말 카쇼기]] 암살 사건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미국이 그렇게 티격태격했던 것도[*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7005651071|자말 카쇼기 암살 관련한 미국 CIA의 폭로]]] 카쇼기라는 언론인이 그렇게 대단하고 중요한 사람이라서가 아니라,[* 카쇼기는 [[무슬림 형제단]]에 우호적인 [[이슬람주의]]자로 미국을 비롯한 서방 입장에서 그렇게 막 달가운 사람까지는 아니었다.] '왜 해달라는 대로 해줬는데 보상이 없어?', '너희들은 이런이런 잘못이 있으니까 보상해주기 힘들어'라는 제스쳐를 표현한 차원에 가까웠다. 이런 상황에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은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도 줄이고, 그 김에 걸프 아랍 왕정 국가들에게도 석유 증산을 요구하면,[* 즉 고유가로 대박나기 직전에 유가를 낮추어달라는 양보를 요구한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입장에서는 퇴짜를 놓는 것이 당연하다. [[2022년 대러시아 경제제재]] 관련 미국-중동 관계 관련하여 또다른 중요한 변수가 있다. 걸프 아랍 왕정 국가에서 러시아 석유 산업에 투자한 돈이 적지 않은데,[[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1978|#]] 이들 입장에서 서방이 러시아 경제를 망하게 만들면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러시아에 투자한 막대한 투자금 역시 증발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빈 살만이 미국을 견제하면 그동안 같은 아랍 국가들에게 따가운 눈초리를 받아오던 사우디아라비아 측의 위상도 올라간다. 즉, 빈 살만 정권에서 탈미국 외교로 돌아선 것은 빈 살만이 개인적으로 조 바이든 대통령을 미워해서이다 혹은 '자말 카쇼기 사건 폭로 관련해서 삐졌다' 라는 식으로 단순하게 해석하기는 어렵다. 이것이 미국이 빈 살만을 대하면서 골머리를 앓는 이유인데 빈살만이 카다피등 전통적인 반미노선을 했다면 차라리 미국으로서도 상대하는 게 훨씬 편했을 것인데, 빈살만은 미국에게 이득을 줄 것은 확실하게 내주면서 사우디아라비아가 필요하다면 미국에 손해를 끼치더라도 확실하게 국익을 챙기는 모습을 보여준다. 즉, 사우디는 미국에게 사우디아라비아가 더 미국에게 밀착하는 것을 보고 싶다면 사우디아라비아에게 그만큼의 '''대가'''를 쥐어달라는 것이고 미국이 사우디에게 충분한 보상을 제공하지 않겠다면 사우디도 자국의 이익만을 적극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잘 보여주는 게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 기업을 위해 '''46조 원'''규모의 미국산 [[보잉 787 드림라이너]] 여객기를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1307490779372|주문한 것]]과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석유 감산으로 유가 하락을 막아 수익을 늘리고 [[네옴 시티]] 프로젝트의 안정적 진행을 위하여 [[이란]]과 [[시리아]]와의 관계 정상화를 추구한 것과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대가로 우라늄 농축 기술과 핵연료 기술 등 민간 핵시설 계획을 지원과 미국산 무기 구입 시 제한 완화를 포함하여 미국 측에 강한 국가 안전보장 조치를 요구한 것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310073400009|#]] === 對 이란 정책 === 2016년 1월, 사우디 정부가 그동안 사우디 내 [[시아파]] 운동을 주도해왔고, 이란이 옹호해왔던 사우디의 시아파 성직자 님르바크르 알 님르 등 시아파 인사 47명을 반정부 테러리스트 혐의로 처형하였다. 이에 이란인들은 분노하여 대규모 시위를 벌이고, [[테헤란]] 주재 사우디 [[대사관]]에 화염병을 던지고 불태우기까지 하였다. 일이 커지자 무함마드 왕세자는 살만 국왕과 함께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이란과 [[단교]]를 선언하였고 이란 외교관을 단교선언 48시간 내로 추방하였다. 2018년 3월, 왕세자는 미국의 한 방송에 출연하여 "이란이 핵무기 개발에 성공한다면 사우디도 [[핵개발]]을 할 것"이라는 엄포를 놓았다. 2023년에는 방침을 180도 바꾸어서 이란과 복교를 했다. 이는 매년 시아파 후티 반군과 대결하는 [[예멘 내전]]에 수십억불의 전비를 계속 내기는 부담되고, 이란 또한 경제난 때문에 마찬가지 입장이라 서로 이해가 맞아 떨어져 합의를 했기 때문이다. === 예멘 내전 적극적 개입 및=== [[아랍에미리트]]와 다른 걸프 왕정 국가들, [[이집트]], [[이스라엘]]과 함께 대 이란 포위망을 형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 반군을 막고자 [[예멘 내전]]에 개입하고, 이란과 [[무슬림 형제단]]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카타르]]와 단교했다. 이스라엘은 이란을 막기 위해 UAE, [[바레인]], [[모로코]]와 정식으로 수교했는데 사우디가 배후에서 이를 지원했다. 하지만 2023년 들어 사우디도 계속 지원에 부담을 느끼고 휴전을 모색하고 있다. === 종교 정책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10/0200000000AKR20180110099000009.HTML|근본 이슬람 종주국 사우디, 온건 이슬람국으로 달라질까]]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D&nNewsNumb=201801100037|빈 살만의 새로운 사우디아라비아]] 살만 압둘아지즈 국왕의 영향력이 약화되고 무함마드 왕세자가 사실상 실권 대부분을 쥔 상황에서, 사우디는 여성 운전을 허용하고 여성 [[참정권]]을 허용하는 등 개혁 행보를 이어갔다. 2018년 3월에는 미국 [[CBS(미국 방송)|CBS]]의 인터뷰에 응하며 보수적인 무슬림 [[수니파]] 세력에 맞서 여성에 대한 대대적인 사회 변화를 약속하였다. 4월에는 직장에서 남녀가 함께 일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이렇게 와하비즘을 거부하는 행보는,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슬람 근본주의]] 일변도로 향하던 중동 왕조 및 국가들의 좋게 말하면 '이슬람 선명성 경쟁', 나쁘게 말하면 '이슬람 극단주의화' 사회 문화에 지쳤고, 이렇게 수구적이고 강경파스러운 행보가 계속된다면 석유 이외에 아무런 산업도 없는 사우디의 현실에 더 이상 미래가 없다는 것을 자각했기 때문으로 판단하고 있다.[* 두바이 토후이자 아랍에미리트 총리였던 라시드 빈 사이드 알 막툼이 남긴 "나의 조부와 아버지는 낙타를 타고 다니셨다. 나는 메르세데스를 몰고 내 아들은 랜드로버를 몬다. 내 손자도 랜드로버를 몰겠지만, 내 증손은 낙타를 타고 다니게 될 것이다(My grandfather rode a camel, my father rode a camel, I drive a Mercedes, My son drives a Land Rover, his son will drive a Land Rover, but his son will ride a camel)." 라는 말이 대표적이다. 사우디가 계속 석유나 팔아먹으면서 안주하고 있다가 석유가 고갈되어버리면 우린 다시 과거로 돌아간다는 경고의 표출인 셈이다.] 사우디의 동생 국가라고 할 수 있던 [[아랍에미리트]]가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의 주도로 이슬람 근본주의와 석유 경제에만 의지하지 않고 개혁과 변화를 통하여 지금의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건설하면서 미래의 생존 모델을 보여주고, 젊은 [[카타르]]의 아미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도 UAE에 이어서 과감하게 문호를 개방하고 두바이와 경쟁하는 생존 모델을 잘 운영하는 것에 대해 '''"나도 그렇게 할 수 있다."''' 같은 자신감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심지어 빈 살만은, "앞으로 이슬람 발흥 이전의 중동 역사도 중동 역사로 받아들이겠다" 라고 사회개혁을 주장하는 발언도 했다. 하지만 이런 급진적인 개혁으로 [[와하브파]]로 대표되는 [[이슬람 근본주의]] 성직자들과 보수파들의 매우 강한 반발과, [[쿠데타]] 우려를 비롯해 극심한 반대를 받을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도 사실이다. 4월 28일 이후 4주간 공식석상에 나오지 않았을 때 나온 쿠데타설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2023년 현재 빈 살만이 절대권력을 유지하며 권력 장악이 확실한만큼 쿠데타가 벌어지더라도 미국의 지지하에 확고하게 제압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9월 중순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사우디 검찰이 사우디에서 가장 유명하고 인기가 있는 수니파([[와하브파]]) 성직자 3명에 대해 [[사형]](死刑)을 구형하고자 준비하는 중이다. 원래 와하비즘이 [[국교#s-2]]인 사우디는 와하브파 성직자에 대해서 사형집행까지는 하지 않는 것이 불문율이었지만, 이 관습을 깨버리고 이슬람 극보수파 율법학자들에게 '''{{{#FF0000 피의 경고}}}'''를 함과 동시에 와하브파에게 '''"사우디 왕가는 율법학자 니네들보다 더 우위에 있으니까 나한테 까불면 진짜로 죽는다."''' 라는 것을 드러내려고 한다는 분석이 있다. 대내적으로는 여성 노동력을 활용하여 경제를 부양시키고[* 사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 부양을 위해서는 여성의 사회 참여가 필수적이다. 애초에 '''[[산유국]]'''인 사우디라서 가능했을 뿐이다. 애초부터 인구의 거의 절반밖에 안되는 인원으로 거대한 현대 경제를 부양시킨다는 것 자체가 근본적으로 말이 안 되고 자원 빈국에서는 넌센스에 가까운 일이다.] 영화관, 콘서트 등 오락거리를 마련하고 종교경찰의 횡포를 제한하여 국민들의 불만을 달래는 목적이 크다. === 탈석유 신성장 정책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12915011595831|석유 판 돈으로 '탈석유' 꿈꾼다…사우디, 1,300조 국제공항도 건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10213340004843|'석유 없는 시대에도 부국', 사우디 빈 살만의 꿈]] 무함마드 왕세자는 사우디를 기존의 석유의존적 경제에서 탈피해 첨단기술과 민간 투자의 중심지로 거듭나게 하는 국가 개발 프로젝트 '''비전 2030'''를 추진 중이다. 최첨단 도시 '''[[네옴|네옴 시티]]'''('''Neom City''') 건설을 계획했다고 한다. 여기에 들어가는 비용은 5,000억 달러, 한화 약 679조 6,400억원에 달한다고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이 도시 계획의 핵심이 될 마천루인 더 라인만 해도 공사 비용이 '''1조 달러, 한화 약 1,358조 3,500억원에 달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예산은 그 이상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네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계획 자체는 현실성이 거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일부의 우려나 반대에도 불구하고 빈살만이 네옴시티 건설을 처음부터 계획하고 추진하는 이유는 일견 황당무계해 보이는 이 프로젝트에 자신의 정치적 생명이 걸려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2018년 8월 말에는 개혁의 최선봉 과제였던 [[아람코]]의 기업공개를 아버지인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살만 국왕]]이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2939118|불허]]하였다. 실권 대부분을 쥐었다고 평가받는 시점에서 나온 이야기라 정치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아직까진 국왕의 절대적 권위에는 이기지 못하니 무함마드의 개혁은 당분간 멈출 것 같다. 2021년에 비영리 도시를 세우겠다는 계획을 [[https://m.yna.co.kr/view/AKR20211116084000009?section=international/all|발표]]했다. e스포츠를 통하여 사우디의 이미지 개선을 시도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ESL]]을 사우디 국영기업이 10억 달러에 인수 한 다음 게이머즈 8이라는 '''총상금 4,500만 달러'''의 엄청난 규모의 게임 대회를 개최 할 준비를 하고 있다.[[https://gamers8.gg/esports|#]] 하락세였던 스타크래프트 2도 50만 달러라는 큰 상금이 걸린 대회가 열리는데다가 도타 2의 경우는 '''1500만 달러라는 [[The International|TI]]급의 상금이 걸려''' 오일머니가 얼마나 무서운지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롤드컵의 총 상금이 많아봐야 300만 달러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규모다.] == 사건 사고 == === 레바논 총리 납치 및 사임 협박 === 2017년 사우디를 방문한 [[레바논]] 현 총리를 납치후 사임을 협박하는 대형사고를 쳤다.[[https://www.yna.co.kr/view/AKR20171226002800072|#]] 당시 사우디에서는 레바논 총리의 휴대전화를 압수하는 한편, 총리의 수행원과도 단절시킨 후 총리에게 사우디 측에서 준비한 '''사임 발표문을 줘서 읽도록 강요'''하고 이를 언론 보도하였다. 또 구금 과정에서 사우디 측 요원들이 총리를 떠미는 등 모욕적 대우를 했다고 한다. 결국 강제 사임 발표를 하며 하리리 총리는 암살 위협이 있었다며 이란과 [[헤즈볼라]]를 비난했고 사우디아라비아에 의해 강제로 사임을 발표했던 레바논 총리는 귀국 후 사임 발표를 공식 철회했다. ===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 === 2018년 10월 2일에 발생한 [[자말 카슈끄지|자말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강력히 의심받았다. 이는 타국 주재 대사관에서 자국민을 상대로 국가가 저지른 잔인한 살해사건으로 부각되었고, 당초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사태를 불러 일으켜 사우디와 무함마드 왕세자에 대한 전 세계의 분노를 초래했다. 사우디의 정치적 우방인 미국조차도 크게 분노하고 우려할 정도였다. 이 때문에 이 위기를 수습하지 못하면 국제사회의 압박과 비난 속에 빈 살만의 개혁은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12월 27일에 왕세자는 개각을 단행, 외무장관을 실권이 없는 [[한직]]인 무임소장관으로 전출시키고, 4년 만에 국가안보 보좌관을 부활시킴으로 자신의 실권을 더 강화했다. 개각 이후 내각의 힘은 줄이는 동시에 자신의 실권은 늘리고, 외교 경력이 전무한 이브라힘 알 사이프가 외무장관에 임명됨으로 대내외적으로 왕세자의 영향력은 앞으로도 여전할 것이다. 집권 전부터 인권 문제를 외치면서 사우디를 국제적 왕따로 만들겠다던 조 바이든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석유값 폭등으로 지지율이 하락하자 '''바로 사우디로 날아가 증산을 해달라며''' 애걸복걸 한데다가 바이든 면전에서 빈 살만은 '''사우디가 아직도 왕따인가?''' 라면서 바이든을 조롱하는 지경에 이르었다. 이후 이란과의 복교, 중국과의 협력 강화로 탈미국 정책 기조를 이어나가자 결국 [[미국]]마저도 현실에 타협하고 인권 따위보다는 동맹국이 더 중요하다며 언론인 암살을 명령한 빈살만의 '''[[유전무죄 무전유죄|면책 특권을 인정]]'''[[https://www.sedaily.com/NewsView/26DOAYTP7B|#]]하면서 문제가 될 여지는 소멸했다. == 방한 == === 2019년 === 2019년 6월 26일 ~ 27일에 1박 2일의 일정으로 최초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사우디 왕위 계승자로 1998년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압둘라]] 왕세제 이후 21년 만이다.[[https://www.nocutnews.co.kr/news/5172809|#]] '''차기권력 1순위'''인만큼 왕세자의 방한임에도 국빈 예우를 받았다. 국빈급 해외 정상급 인사의 공항 영접은 보통 [[외교부장관]]이 하지만 이번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나와 영접했다. 또한 [[청와대]]는 공식 환영식에서 무함마드 왕세자를 위해 해외 정상의 국빈 방한에 동원되는 [[사열#s-2|의장대 사열]]까지 준비했다.[[https://www.nocutnews.co.kr/news/517339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년 빈 살만 왕세자 방한.jpg|width=100%]]}}}|| || {{{#FFF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하는 무함마드 왕세자'''}}} || 6월 26일, [[문재인]] 대통령과 회담을 가지고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에너지 신산업 분야 등 [[양해각서]](MOU) 10건을 체결하였다. 규모는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899474.html|83억 달러]], 한화로 약 10조원에 달한다.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한국 5대 기업 오너들과 오후 삼성그룹 영빈관인 용산구 이태원동 승지원(承志園)[*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가 살던 집을 개조한 곳이다.]에서 예정에도 없던 [[https://www.yna.co.kr/view/AKR20190626184051003?input=1195m|합동 간담회]]를 했다. 사우디 언론은 최태원 SK 회장과 구광모 LG 회장[* 권영수 LG 최고운영책임자 부회장 또한 동석했다.], [[정기선]] [[현대중공업]] 부사장 등이 각각 무함마드와 1대 1 내지는 1대 2[* 언론에서는 1대 1이라고 보도했으나, LG그룹처럼 1대 2로 면담하는 사진도 있다.] 면담을 하는 사진을 공개했다.[[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906272232001|#]] 이재용 부회장이 개인 연락처를 통해 만남을 알려, 비서실도 간담회 개최 사실을 몰랐다고 한다. 대한민국의 자주국방 모델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다고 알려졌다. 한국의 [[국방과학연구소]](ADD)를 본떠 자체적인 무기 개발 기술력을 키우겠다고 한다.[[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85775|#]] === 2022년 === 2022년 11월 17일, [[한국-사우디아라비아 관계|한-사우디 수교]] 60주년을 맞아 3년 만에 [[https://youtu.be/Qc81YFR2-kM|다시 한국에 방문했다]]. 초대형 도시 건설 프로젝트 '[[네옴시티]]' 사업 관련 기업인들을 만나기 위해 [[롯데호텔 서울]]에 1박 2일 일정으로 머물 예정이다. 11월 10일 호텔 관계자에 따르면 이그제큐티브 타워 한 동 전체를 예약했으며 왕세자가 오기 전 이미 사우디에서 온 선발대가 투숙하고 있다고 한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109/116394558/1|#]][[https://www.mk.co.kr/news/business/10523255|#]]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년 빈 살만 왕세자 방한.jpg|width=100%]]}}}|| || {{{#FFF '''윤석열 대통령과 악수하는 무함마드 왕세자'''}}} || 11월 17일 0시경 한국에 입국하여 [[한덕수]] 국무총리의 영접을 받고 롯데호텔로 이동하였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확대회담과 단독회담, 오찬을 가졌다. [[윤석열]] 대통령 내외가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입주한 이후 첫 해외 정상급 인사다. [[윤석열]] 대통령과 빈 살만 왕세자는 양국 관계를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데 공감했으며, 네옴시티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양국이 협력하기로 약속했다. 또, 빈 살만 왕세자로부터 한국 정부의 북한 비핵화 노력에 대한 지지도 확인 받았다.[[https://newsis.com/view/?id=NISX20221117_0002090737|#]] 오후 5시경에는 [[롯데호텔 서울]]에서 [[이재용]], [[정의선]], [[최태원]], [[김동관]], [[정기선]], [[이재현(기업인)|이재현]], [[박정원]], [[이해욱]] 등 한국 대기업 총수 8명과 차담회를 가졌다.[[https://yonhapnewstv.co.kr/news/MYH2022111701910064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362006632526704|#]] [[https://www.yna.co.kr/view/AKR20221117162251003|#]] 명색이 20대 그룹 오너임에도 하루 전날 불러서 오너들이 긴급히 일정을 변경한 것이 주목되기도 했다. * 방한 관련 뉴스 기사 모음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0967|#1]]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0966|#2]]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0965|#3]]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0963|#4]]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0969|#5]]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8048_35744.html|#6]]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8049_35744.html|#7]][br][[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8050_35744.html|#8]]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8051_35744.html|#9]]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75127|#10]]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75128|#11]]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75129|#1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975130|#13]]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604134|#14]]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604136|#15]] 빈 살만 왕세자가 묵는 방이 1박에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117/116534152/1|22,000,000원]]'''('''2,200만원''')이라고 한다. 다만 호텔의 가장 좋은 방인 로얄, 프레지던셜 룸의 비용은 명목상으로 걸어둔 비용이고, 실제로는 [[VIP]]가 방문할 경우 특별 할인이나 각 국가간의 조율로 분담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마케팅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수천만원의 비싼 호텔 룸에 유명인사가 묵게 되면 주요 언론에서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게 되어 고급 호텔이라는 인식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릴 수 있다. 하지만 방 하나 빌린 게 아니고 예약이 취소된 손님들에게는 수백만 원 대의 쿠폰으로 보상해줬다고 하니, 엄청난 돈을 쓴 것은 사실이다. 20시간의 방한이었지만 이처럼 많은 화젯거리를 남기기도 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NMzuY2dAlk|#]] 원래 한국 방문은 동남아시아 연쇄 국제회의 후 방일 사이에 급하게 잡힌 이벤트라 2박 3일간 방문하는 일본과의 정상회담 등 이벤트에 크게 비교될 가능성이 높았는데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1118/116545552/2|방일 일정이 완전히 취소되어]] 방한 일정이 크게 부각되게 되었다. 한편, 사우디-일본 양국에서는 방일 일정을 취소한 것과 관련하여 입장을 전혀 내놓지 않고 있다. 취소된 것은 본인의 판단이었다고 추측 보도되었다.[[https://m.yna.co.kr/view/AKR20221123060100073?section=international/all|#]] 이후 방일시 공항도착 후 의전문제로 인하여 방일일정이 취소되었던 것으로 나왔다.[[https://youtu.be/2QfNKbEPyNs|#]] 사우디 측은 공항도착 후 영접시 빈 살만의 지위인 왕세자에 걸맞게 황사[* 이전에는 왕세제라고 적혔으나 실제 직함은 ‘황사’, 굳이 말하자면 일거리만 늘려준 것이다.]인 [[후미히토]] 친왕이 나서는 것을 요구했으나[* 한국측은 의전 서열 2위인 한덕수 국무총리가 맞이했다.], 일본 측은 내각 서열 2위인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이 공항에 나서는 것을 제안했다.[* 이에 관해서 공주였던 코무로 마코 논란과 개인처신 문제로 힘을 잃은 후미히토가 무함마드의 영접을 성공하게 된다면 이를 통해 궁내청을 비롯한 친후미히토 세력이 다시 결집하는 것을 경계했다는 시각도 있다. [[마사코 황후]]가 젊은 시절 외교관으로 근무했어서 친[[나루히토]] 성향의 정부 조직은 [[일본 외무성|외무성]]인데, [[기시다 후미오]] 총리도 전직 외무대신 출신이라 외무성과 관계가 가깝고 [[보수본류]]답게 비교적 온건파로서 극우와는 선을 그어서 친후미히토 세력과 극우를 달가워하지 않기 때문이다.] ==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구단주 == [[국부펀드]]인 [[공공투자기금]](PIF)를 이용해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매입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357129|#]] 2018년부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맨유]]를 4조원이 넘는 돈으로 산다고 나섰으나 글레이저 구단주에게 거절당했고, 결국 뉴캐슬로 방향을 바꾸었다. 그러나 [[프리미어 리그]] 사무국도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대략 이렇다. * 사우디아라비아 인권 문제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저지르는 불법 프리미어 리그 시청 방송[* 소위 해적방송] 적발 미흡. 이러한 이유를 들었고 결국 2020년 7월 31일, 사우디 국부펀드는 뉴캐슬 유나이티드 인수를 포기하기로 했다. 사실은 사우디 왕가 소유인 PIF가 PL 중계권사인 카타르의 비인 스포츠[* beIN Sports. [[알 자지라]] 계열사로 카타르 왕가와 관계가 크다.]와 극심한 마찰을 겪고 있기 때문이었다. 사우디는 [[카타르]]와 국가 간 갈등으로 인해서 중동의 독점 중계권사인 베인 스포츠와 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불법으로 방송을 하던 거였다. 이에 1조 원이 넘는 돈을 주고 아랍 독점 중계권을 계약한 베인스포츠에서 항의했고 해적 방송이 문제가 되자 EPL 사무국은 PIF가 소유자 테스트(Owners and Directors)에서 떨어졌다며 뉴캐슬 인수를 불발시켰다. 그래서인지, 2021년 재정난에 빠진 쑤닝 그룹이 소유한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를 팔기로 하면서 유력한 인수 후보 및 새로운 구단주로 무함마드 왕세자가 떠오르고 있다. 이탈리아 스포츠 지 보도에서도 새롭게 인터밀란을 사고자 하는 후보들 중 무함마드 왕세자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1년 10월 7일부로 [[뉴캐슬 유나이티드 FC]]를 인수하는데 성공한다. 인권 문제는 일단 넘어가는 대신에 [[프리미어 리그]] 사무국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구단 운영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보증도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PIF 측은 베인스포츠와 중계권 문제를 해결[* 그간 프리미어 리그 중계를 거저 하던 해적방송은 왕명으로 모두 폐쇄되었고 앞으로 해적방송이 걸리면 죽을 각오하라는 엄명까지 내려졌다. 잡히면 감히 왕명을 우습게 보았다고 모가지가 싹둑할 수도 있을 텐데 이런 각오를 하고 해적방송 사업을 할 이는 없을 것이다.]하는 데에 성공했다. 아무튼, 무함마드 왕자가 사실상 구단주인 사우디 왕가 펀드에서 인수 확정되자 뉴캐슬의 서포터들이 홈경기장으로 몰려와 환호하고 리그 19위로 또 강등이냐고 절망하던 분위기가 무슨 리그 우승을 확정한 듯이 바뀌어 벌써부터 축배를 터뜨리고 난리법석이었다. 심지어, 아랍풍 옷차림을 하고 환영한다고 사진도 찍을 정도이며 이미 시즌권 예매가 폭증하고, 구단 홈페이지 웹사이트 접속 마비가 되어버렸다. 가장 가까이에 [[첼시 FC]], [[맨체스터 시티 FC]]라는 대성공 사례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영향력을 매우 크게 보았다. 하지만 알 나얀이나 알 사니처럼 생각보다 많은 투자를 안 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 결국 2023-24 시즌까지는 [[아만다 스테이블리]]가 구단 경영을 주도하면서, 타 오일머니 구단에 투자가 많은 편은 아니지만 그만큼 효율적인 투자와 경영을 하는 방향을 선택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그 근거로 바로 빈 살만의 친척인 왕족 압둘라 빈 무사아드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가 구단주로 운영하는 [[셰필드 유나이티드 FC]]나 카타르 왕족 셰이흐 압둘라 알 사니가 운영했던 [[말라가 CF]]를 들고 있다. 둘 다 현재 2부리그로 강등당한 신세인데 다만 이들은 왕족이긴 해도 왕가 친척 정도라 자산 규모에서 차기 사우디 국왕이 될 빈 살만이나 [[파리 생제르맹 FC]] 구단주인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과는 엄청난 차이가 난다. 게다가 말라가 같은 경우 원래 그다지 유명하지도 않던 이 팀에 셰이흐 구단주가 제법 투자하여 라리가 4위, 챔스 8강까지 오르는 팀 역사에서 전성기를 누렸다. 물론 전술했듯이 중계권 관련 분쟁으로 인해 손실이 나서 투자를 끊어버리자 2부 리그로 강등당했고, 2020년에는 경영권까지 몰수당했다. 그러나 이 둘과 달리 무함마드 왕세자가 투자에 인색할 우려는 없다고 봐야 한다. 구단 인수까지 1년 이상 여러 논란이 있었는데 막상 인수한 후 방치하는 것도 말이 안 되고, 무엇보다도 왕위 계승자의 자존심과 직결되는 문제다. 인수 이전까지 리그 우승이 1번 뿐이던 첼시는 석유 부자 [[로만 아브라모비치]]가 구단을 인수한 이후 리그 우승 5번과 챔피언스리그 우승 2번을 거두며 화려한 성적을 거뒀다. 또한 리그 우승이 2번이고 90년대 말엽에는 경영난으로 구단 역사상 최초로 3부 리그까지 강등당하는 암흑기를 겪었던 맨체스터 시티는 UAE의 [[만수르 빈 자이드 알나얀]] 시대에 들어서 수많은 우승컵을 모두 쓸어담았을 뿐 아니라 2022-23 시즌에는 프리미어리그에서 2번째(맨유에 이어)로 [[트레블]]까지 달성하는 화려한 성적을 거뒀다. 마찬가지로 [[파리 생제르맹 FC]] 역시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카타르 국왕]]의 투자로 리그 우승부터 챔피언스리그 준우승도 거두는 등 타국 이슬람 왕족들의 화려한 유럽리그 투자와 그에 따른 화려한 성과를 거둔 선례가 되었다. 시즌 중반에서야 뉴캐슬 인수에 성공해 2021-22 시즌에는 겨울 이적시장에서 리그 잔류를 위해 긴급히 몇몇 포지션에 선수들을 보강하는 정도에 그쳤다.[* 이 당시에는 아직까지 구단에 새 풋볼 디렉터가 선임되지 않았던 점도 이러한 결정에 한몫을 했다. [[댄 애쉬워스]]가 공식적으로 부임한 것은 2022년 6월의 일이기 때문.] 하지만 그 이전 [[에디 하우]] 감독을 선임한 것이 신의 한 수가 되었고, 이후 2022-23 시즌에도 전임 구단주 마이크 애슐리가 남기고 간 부채 관련 이슈로 인해 지나치고 비합리적인 투자를 자제하고 이 부채를 상환할 계획을 먼저 잡기로 결정을 내렸다. 그렇게 맞이한 2022-23 시즌에는 프리미어 리그에서 4위권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차기 시즌 챔피언스리그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결국 [[UEFA 챔피언스 리그]] 진출에 성공하면서, 2023-24 시즌부터가 진정한 빈 살만의 대대적인 투자가 시작될 것이라는 것이 축구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다만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공동 구단주로 함께하고 있는 협력 파트너이자 실질적인 구단 운영 이사인 [[아만다 스테이블리]]의 말에 따르면, 구단의 수익적인 문제와 FFP 이슈 등으로 인해 2023-24 시즌에는 가성비 선수 두 명 가량 영입과 빅 사이닝, 기존 선수 일부 매각 등의 방침으로 여름 이적시장 계획을 전면적으로 수정하면서 구단의 수익 모델을 먼저 키우는 형식으로 구단 운영을 건전하게 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여담 == * 2022년 기준 알려진 바에 의하면 개인재산은 '''[[https://m.inews24.com/v/1539840|2조 달러]]''', 한화 약 '''2,890조 3,900억원'''이라고한다. 언론에 따라서 재산규모가 들쭉날쭉하다. 앞으로도 돈이 솟아나오기 때문에 의미가 없기도 하지만 대체로 '''비공식 세계 최고 갑부'''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다. 개인재산은 원래 외부에서 정확하게 알 수 없고 상장된 주식의 지분 등을 추적하여 '''유추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가 소유한 정확한 재산은 '''불명이다.''' 이 사람이 국부펀드를 운영하는데 그 가치가 '''3,000조원'''인 것을 보아 그냥 그것을 개인재산으로 이야기한 것이 퍼진 것이기도 하고 '''실제 2조 달러라는 재산은 무함마드 개인의 재산이 아니라 사우디 왕가 전체 재산'''으로 알려져 있다. * 2018년 4월, [[타임지]]와 한 인터뷰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 [[와하브파|와하비즘]]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물론 자신의 개혁 의지를 표현한 정치적인 [[립서비스]]겠지만, 일종의 건국 이념을 부정하는 말을 해외 언론에 대놓고 말하는 것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또 역대 사우디 지도자들 중 최초로 아랍의 전통의상인 카피예와 토브를 입지 않고 서구식 노타이 수트 차림으로 나와 [[빌 게이츠]]와 [[손 마사요시]] 회장을 만나기도 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 회담에서도 통역 없이 대화할 정도로[[https://www.youtube.com/watch?v=yhw37reiFj0|#]] 영어를 잘 하지만, 이건 빈 살만이 독특한 게 아니라 사우드 가문에서 태어난 왕족들이 다 마찬가지다. 사우드 가문의 왕자와 공주들이 태어나서 가장 먼저 배우는 언어는 [[아랍어]]가 아니라 [[영어]]이다. 영어를 구사하는 가정교사와 보모 밑에서 성장하다가 6 ~ 7세부터 [[아랍어]]를 개인과외로 배우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사실상 영어가 [[모어]]이고 아랍어가 제 1외국어다 보니 영어가 아랍어보다도 좀 더 편하게 느껴질 것이다. * [[긴축]]정책을 내세우는 것과는 달리 뒤로는 사치를 일삼는다는 논란이 있다. 2008년 프랑스 [[베르사유 궁전]] 인근에 건설된 샤토 루이 14라는 저택이 2015년 3,900억원에 팔렸는데, 실소유주가 '''중동의 부자'''라는 것만 알려진 채 베일에 싸여 있었다. 2017년 [[뉴욕 타임스]]가 실소유주가 무함마드임을 폭로했다. 또한 다른 설에 의하면 러시아 재벌이 소유한 7,000억원짜리 초호화 요트를 무함마드가 충동구매했다는 설도 나돌았다. * [[아마존닷컴]]의 [[제프 베이조스]] 회장의 휴대전화 해킹 배후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있었던 것으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3&aid=0009666397|밝혀졌다.]] 이에 대해 사우디 측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2&oid=005&aid=0001280925|전면부인]]했다. 베조스 소유의 [[워싱턴 포스트]]가 무함마드에 비판적인 기사를 계속 내보내자 복수로 베조스와 내연녀의 채팅을 해킹해 [[타블로이드]] 언론사에 뿌렸다고 추정한다. * 게임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본인도 쉬는 시간에 게임을 즐긴다고 하며, 자신이 보유한 회사인 일렉트로닉 게이밍 디벨롭먼트 컴퍼니에서 일본 게임회사인 [[SNK]]를 [[https://n.news.naver.com/article/293/0000032171|인수]]하였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국면에서는 간접적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말과는 달리 러시아 경제제재도 거부하고 전쟁과 대러제재로 서방측이 되려 러시아산 [[원유(연료)|원유]] 수입 불가로 서로서로 에너지난을 대비해 찾다보니 당연하게도 원유가격이 급등했다. 당연히 미국과 [[EU]]에서 원유 증산을 요구함에도 원유가 급등하면 할수록 [[산유국]]만 좋기에 증산 계획은 없다며 고자세로 계속 거부하는 등의 행보를 보였다.[* 당연히 객관적으로 봐도 [[오일머니]]를 더 벌 수 있는 만큼 생산량을 유지해서 돈을 더 버는 게 좋은 입장이다.] 더불어 현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이 후보시절 언론인 암살 당시 민주주의와 인권을 거론하며 무함마드를 강하게 비판했고 당선 이후에도 비난하여서 둘의 관계는 껄끄러운 사이다. 원유 가격이 급등하자 바이든은 사우디를 다급하게 방문 및 접견하며 악수를 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언론인 암살사건 면죄부를 줬다고 비난을 받았고 이후에도 증산약속을 받았다고 발표했다가 무함마드는 현재로서는 그럴 계획이 없고 당황스럽다며 반박하면서 바이든에게 망신을 줬다. * [[양안관계]] 문제가 나오면 항상 침묵으로 일관한다. 딱히 이해관계도 없을 뿐더러, 중국은 사우디의 최대 석유 수입국이고, 대만도 큰 고객이라 양쪽을 자극하는 일은 피한다. *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위구르]]인 탄압 문제를 두고는 "중국은 테러를 방지할 권리가 있다."라면서 중국 편을 들었다[[https://web.archive.org/web/20191114165603/https://www.telegraph.co.uk/news/2019/02/22/saudi-crown-prince-defends-chinas-right-put-uighur-muslims-concentration/|#]]. 위구르 이슬람과 사우디의 이슬람이 같은 [[수니파]]인 점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하다. 다만 이는 사우디가 중국과 경제적으로 밀접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고, 위구르족과 동족인 튀르키예를 제외하면, 타 이슬람 국가들 대부분(사우디, 알제리,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이집트, 레바논, 수단, 시리아, 모로코 등)은 이 문제를 종교문제보다는 소수 민족문제로 보기 때문에 서방과는 달리 별 관심이 없다. * 국부펀드 PIF가 자문단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쿠슈너 전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지난해 퇴임 후 설립한 사모펀드 '''어피니티 파트너스'''에 20억 달러(약 2조 7,000억원) [[https://m.yna.co.kr/view/AKR20220412000400072?section=international/all|투자했다.]] * 쿠피야를 착용한 경우가 많아 눈치채기 다소 어렵지만 간혹 쿠피야를 착용하지 않은 모습을 보면 [[탈모]] 증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M형 탈모와 원형 탈모가 [[https://www.gulftoday.ae/news/2020/12/25/saudi-crown-prince-mohammed-bin-salman-takes-first-covid-19-vaccine-in-kingdom|전부]] [[https://www.pinterest.co.kr/pin/827325394029717137|있다.]][[https://www.fmkorea.com/best/5227559713|#]][* 사실 아버지 살만 국왕도 프로필 사진을 자세히 보면 앞머리가 아예 없다. 조상 때부터 내려온 유전인 모양.] * 정치적으로는 살벌하게 짝이 없는 인물이지만 미디어에 노출된 모습은 의외로 친절한 이미지다. 공식행사에나 인터뷰 중에 미소짓는 사진을 자주 볼 수 있다. 말 그대로 사람 좋은 아랍 아저씨같은 친근한 인상이다. * [[애플]]을 좋아하기로 유명하며 사우디에 애플 스토어 유치를 시도했으나, 수익성 문제로 거부당하고 대신 [[알베이트 타워]]에 [[Apple 공식 인증 리셀러]]가 생겼다. [[메카]]에 있기 때문에 전세계에서 오로지 [[무슬림]]만 출입 가능한 애플 매장이다.[[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117696|#]] * 무함마드의 지시로 사우디 내 우려를 무릅쓰고 크레딧 스위스에 약 15억 달러(약 2조 1,000억원)를 과감히 '''베팅'''했는데, 약 80%인 12억 달러(약 1조 6,200억원) 정도 손실이 났다.[[https://m.yna.co.kr/view/AKR202303211396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2023년 한국 연구진이 [[LK-99]] 초전도체 개발했다는 이슈가 돌았을 때, "조그만 기름집을 운영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초전도체 기술을 배워 가난한 저희 나라에 보탬이 되고 싶다"라고 말하는 짤방이 돌았다. [[https://www.news1.kr/articles/?5129509|#]]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717117?sid=104|'석유 없는 시대에도 부국', 사우디 빈 살만의 꿈 [Deep&wide] ]] - 한국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0909045?sid=104|[Why] 빈살만이 좋아해서?... 사우디가 게임산업 투자 늘리는 이유]] - 조선비즈 == 둘러보기 == [include(틀: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 [include(틀:왕위 계승자 일람)] ---- [include(틀:총리 및 수상 일람)] [[분류:1985년 출생]][[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분류:사우드 가문]][[분류:사우디아라비아의 무슬림]][[분류:왕위 계승자/현직]][[분류:뉴캐슬 유나이티드 FC]][[분류:축구경영인]][[분류:리야드 출신 인물]][[분류:정치인 자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