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청계천의 교량]] [include(틀:청계천의 교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학교.png|width=100%]]}}} || || {{{#fff ''' 무학교 '''}}} || [목차] [clearfix] == 개요 == {{{+1 無學橋/ Muhakgyo}}} [[청계천]]의 [[교량|다리]]이다. [[청계광장]] 기준으로 청계천의 20번째 다리이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제2동 255번지와 [[성동구]] 하왕십리동 596번지 사이에 있다. 다리 위로는 무학로가 지난다. == 이름과 역사 == [[조선시대|조선 초기]]의 [[승려]]였던 [[무학대사]]의 호[* 무학은 법명이 아니라 호이며, 실제 법명은 자초이다.]에서 따온 도로 무학로가 지나는데에서 유래했다. 무학로의 이름은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기 위해 여러 곳을 돌던 중 [[왕십리]]까지 왔다는 설화에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에는 없었고 [[2000년대]]에 [[청계천]] [[복원]][[공사]]를 하면서 새로 지은 다리이다. [[현대건설]]에서 시공했으며 2005년 9월 30일에 준공했다. == 구조 == * 길이 43.6m, 폭 34.8m 규모이다. 가운데에 왕복 4차선의 [[차도]]가 있고 차도 가운데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있다. 다리 양 가장자리에는 [[인도(동음이의어)#s-2|인도]]가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학교 구조.png|width=100%]]}}} || || {{{#fff ''' 무학교 구조물 '''}}} || 강관트러스교량으로 하부는 강재아이빔으로 들보를 걸쳤다. 교각은 없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학교 표지판.png|width=100%]]}}} || || {{{#fff ''' 무학교 알림표지판 '''}}} || [[교량|다리]] 양 측면 중앙에 무학교 알림표지판이 있다. 짙은 회색 바탕에 흰 글씨이며 큰 글씨로 ‘무학교’라 쓰여있고 그 아래에는 [[로마자]]로 ‘Muhakgyo’라 적혀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학교 수문.png|width=100%]]}}} || || {{{#fff ''' 무학교 수문 '''}}} || 다리 하단 북편에는 폭우 시 수위 조절을 할 수 있게 만든 수문이 있다. [[아치(건축)|아치]]형에 [[한옥]] 대문 형식을 취하고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무학교 계단.png|width=100%]]}}} || || {{{#fff ''' 청계천 산책로로 들어가는 무학교 진입로[*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 무학교의 동남쪽에 [[청계천]] [[산책|산책로]]를 오갈 수 있는 계단이 있다. 번호는 32번. 계단 하단에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그려져 있다. == 교통 == === 지하철 === * [[서울 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 2번 출구 (도보 11분) *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1 ·]][[서울 지하철 2호선| 2호선]]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9번 출구 (도보 12분) * [[서울 지하철 2호선]]: [[용두역|용두역]] 5번 출구 (도보 15분) === 버스 === * [[https://place.map.kakao.com/7876126|이 곳]]을 참조.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계천 성북천 합류.png|width=100%]]}}} || || {{{#fff ''' 청계천과 성북천의 합류 지점. 주황색 다리는 성북천교이다. '''}}} || 무학교와 서쪽에 있는 [[비우당교]] 사이에서 성북천이 [[청계천]]과 합류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계고가 교각.png|width=100%]]}}} || || {{{#fff ''' 존치한 청계고가도로 교각 '''}}} || 무학교와 비우당교 사이에 청계고가도로를 철거할 때 남긴 교각 3개가 있다. 청계고가도로의 역사적 의미를 남기기 위해서라고. 단,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흉물로 오인받는 모양이다.[[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464050|#]] 2013년 7월에는 〈서울미래유산〉으로, 2021년 9월에는 '[[활명수]]',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국회의사당]] 청사'와 함께 〈서울특별시 이달의 문화유산〉으로 지정받았다.[[http://www.kplus.kr/news/articleView.html?idxno=42074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계천 터널분수.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청계천 터널분수2.png|width=100%]]}}} || ||<-2> {{{#fff ''' 터널 분수[*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cheonggye/enjoy/guide.jsp?bridge=tunnel|사진 출처 - 서울특별시: 청계천, 〈청계천즐기기〉.]]] '''}}} || 청계고가도로 교각의 남쪽 벽면에 터널분수가 있다. 곡선을 그리며 나오는 물줄기가 꼭 [[터널]]같다해서 붙은 이름이다. 청계천 복원사업이 막바지이던 2005년 7월 20일에 [[서울특별시]]에서 시험가동했다.[[https://www.hani.co.kr/arti/PRINT/51625.html|#]] 노즐 수는 42개이며 5m 높이의 석축에 50m 폭으로 설치되었다.[[https://www.sisul.or.kr/open_content/cheonggye/enjoy/guide.jsp?bridge=tunnel|#]] 16m 거리를 분사하는 터널 분수의 모습은 〈청계 8경〉 중 하나일 정도로 굉장히 멋있고 아름다운 풍경으로 꼽힌다. 4월부터 10월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1시까지, 3월과 11월에는 오전 8시부터 오후 10시까지 가동한다. 겨울에는 추위로 인한 파손을 막기 위해 물이 나오지 않는다.[[https://news.v.daum.net/v/20060228183209781?f=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