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우크라이나의 도시]] [include(틀: 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6>|| ||<-6>|| ||<-6><:>{{{#ffffff {{{+4 '''무카체보'''[br]Мукачево}}} }}}|| ||<-5> [[파일:무카체보.png|width=55%]] || [[파일:무카체보휘장.png|width=55%]] || ||<-2> '''시기''' ||<-4> '''시장''' || ||<-1><:>{{{#FFFFFF '''국가'''}}}||<-5>[[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height=15]] [[우크라이나]]|| ||<-1><:>{{{#FFFFFF '''주'''}}}||<-5>[[자카르파탸|자카르파탸주]]|| ||<-1><:>{{{#FFFFFF '''면적'''}}}||<-5>27.9km²|| ||<-1><:>{{{#FFFFFF '''인구'''}}}||<-5>85,569명[* 2022년 기준.]|| ||<-1><:>{{{#FFFFFF '''시간대'''}}}||<-5>UTC+02:00([[서머타임]] 적용)|| ||<-6>{{{#!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Mukachevo ,너비=100%,높이=300px)]}}}||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탸주]]의 주요 도시.[* 말이 도시지 2022년 기준 인구 85,000명에 불과하다.] 과거에는 무카체베(Мукачеве)와 무카체보가 혼용되었으나 2017년 5월 23일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서 무카체보를 공식 표기로 결정했다. == 언어별 표기 == || [[우크라이나어]] || Мукачево || || [[헝가리어]] || Munkács(문카치) || || [[독일어]] || Munkatsch(뭉카치) || || [[슬로바키아어]] || Mukačevo(무카체보) || || [[루신어]] || Мукачово(무카초보) || || [[이디시어]] || מונקאַטש(문카치) || == 역사 == 본래 [[헝가리 왕국]]의 영토였으나 [[헝가리인]]보다는 [[우크라이나인]], [[루신인]] 등 [[슬라브인|슬라브계]] 민족이 더 많은 지역으로 1397년 헝가리 국왕 [[지기스문트|지그몬드]]가 자신의 먼 친척뻘인 [[리투아니아 대공국]] 게디미나스 가문[*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을 통치한 [[야기에우워 왕조]]의 전신이 되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통치 가문.] 출신 페디르 코리야토비치(Федір Коріятович ?~1414)[* [[리투아니아어]]로는 테오도라스 카리요타이티스(Teodoras Karijotaitis).]에게 문카치 성(Munkácsi vár)[* [[우크라이나어]]로는 팔라노크 성(Замок Паланок).]을 주면서 역사에 처음 등장했다. 1526년 [[모하치 전투]]로 헝가리 왕국이 붕괴된 후 헝가리를 상속받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헝가리 왕국과 [[오스만 제국]] 산하 [[헝가리인]]의 자치 공국 [[트란실바니아 공국|에르데이 공국]] 사이를 오락가락 했다. 1678년 헝가리인 귀족 [[퇴쾨이 임레]]가 반 합스부르크 봉기를 일으킨 중심지였으나 [[제2차 빈 공방전]]이 실패로 끝나고 곧바로 벌어진 [[대튀르크 전쟁]]에서 [[황제군|합스부르크 제국군]]의 공격을 받았다. 당시 에르데이 공국을 호령한 라코치 가문의 당주 라코치 페렌츠 1세의 미망인이자 퇴쾨이 임레와 재혼한 옐레나 즈린스카(Jelena Zrinska 1643~1703)[* [[크로아티아인]]이나 보통은 [[헝가리어]]인 즈리니 일로너(Zrínyi Ilona)로 더 잘 알려져있다.]는 문카치 성에서 3년 동안 항전했으나 포위를 버티지 못하고 결국 항복했고, 이후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옐레나의 아들 [[라코치 페렌츠 2세]]는 양아버지 퇴쾨이 임레와 마찬가지로 이곳을 거점으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쿠루츠 봉기를 일으켰으나 실패로 끝나고 1711년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했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헝가리 국왕 [[카를 6세]]는 자신이 총애한 쇤보른 가문(Schönborn)에게 무카체보를 하사해 19세기 초까지 쇤보른 가문이 이 지역의 영주 노릇을 했다. [[나폴레옹 전쟁]] 당시 헝가리의 [[성 이슈트반 왕관]]이 문카치 성으로 피난오기도 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그리스 독립]]을 위해 활약한 [[알렉산드로스 입실란티스]]는 1821~1823년 사이 문카치 성에서 수감생활을 했다. 헝가리가 [[대타협]]으로 주권을 되찾은 후에는 베레그 주(Bereg vármegye)에 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면서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 영토로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일시적으로 [[헝가리 왕국(1920~1946)|헝가리]]가 수복하기도 했으나 [[소련]]에게 빼앗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우크라이나 영토가 되었다. == 인구 == [[우크라이나인]] (77.1%) [[러시아인]] (9%) [[헝가리인]] (8.5%) [[독일인]] (1.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만 해도 [[유대인]]이 인구 절반을 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벌어진 [[홀로코스트]]로 대부분 몰살당했고 그 자리를 우크라이나인이 채워 현재는 우크라이나인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 볼거리 == [[라코치 페렌츠 2세]]가 어머니 옐레나 즈린스카와 함께 항전하면서 어린 시절을 보낸 팔라노크 성이 가장 유명하다. 팔라노크 성에는 2008년 [[우크라이나-헝가리 관계|헝가리와 우크라니아의 관계]] 개선을 바라며 헝가리 왕국의 [[국조]](國鳥)로 알려진 투룰(Turul) 동상이 세워졌으나 2017년 [[우크라이나어]] [[공용어]] 조치[* 동부의 [[러시아어]]를 저격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문제는 [[헝가리어]], [[슬로바키아어]], [[루마니아어]], [[폴란드어]], [[불가리아어]] 등 우크라이나 내 소수민족들의 언어 사용을 모두 제한하면서 주변국들과 갈등을 빚었다. [[헝가리]]가 유독 강경하게 나왔을 뿐.]로 양국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결국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민족주의]]를 강화한 우크라이나 정부가 2022년 11월 투룰 동상을 우크라이나의 상징인 트리주브(тризуб)[* [[우크라이나#s-2.3|우크라이나 국장]]에 들어간 문장이 트리주브다.]로 대체했고 투룰 동상은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당연 [[헝가리]]에서는 발끈. 이외에도 20세기 초 헝가리 왕국 시절 [[아르누보]] 양식으로 지어진 시청사, 11세기부터 이어져온 성 미콜라 수도원(Миколаївський Мукачівський жіночий монастир)이 유명하다. == 기타 == 이곳 출신으로 가장 유명한 인물은 [[헝가리인]] 화가 문카치 미하이(Munkácsy Mihály 1844~1900). 성씨에서 알 수 있듯 무카체보 출신으로 그가 태어난 생가가 오늘날까지도 남아있다. 유럽 [[최빈국]] 우크라이나에서도 가장 가난한 곳 답게 [[스타벅스]]나 [[맥도날드]]가 없다. 다만 [[삼성전자]] 휴대폰 매장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