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포일러)] ||<-4>
'''{{{#de1b24 {{{+1 무지카트}}}[br]ムジカート[br]Musicart}}}''' || ||<-3> [[파일:무지카트.webp|width=100%]] || ||<-3> {{{#de1b24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de1b24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의 무지카트 일러스트'''[* [[목성(takt op.)|목성]](왼쪽 위), [[카르멘(takt op.)|카르멘]](왼쪽 아래), [[운명(takt op.)|운명]](가운데), [[작은별 변주곡(takt op.)|작은별 변주곡]](오른쪽 위), [[발퀴레(takt op.)|발퀴레]](오른쪽 아래)이다.]}}} || || '''통칭''' ||<-2> '''무지카트[br]Musicart[br]ムジカート''' || || '''한국어 명칭''' ||<-2> '''연주자(演奏者)''' || || '''성별''' ||<-2> '''[[여성]]''' || || '''소속''' ||<-2> '''무소속''' or '''[[심포니카]]'''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람으로서의 삶을 버리는 대가로''' >'''"음악의 힘"을 얻은 소녀''' >'''싸워서, 이기는 것만이──''' >---- >─게임판 무지카트 소개 영상 공통 문구 >'''세계를 물들이는 저명한 악보(무지카트)들.''' >'''世界を彩る著名な楽譜(ムジカート)達''' >'''고귀하고 아름다운 무지카트들''' >'''気高き美しきムジカート達''' >'''朝雛タクトやコンダクターの指揮で戦う対D2用の『兵器』。『シンフォニカ』によって、人間を素体にして生み出された存在。楽譜を身に宿し、音楽に反応する不思議な鉱石『ハルモニア鉱石』を用いて、音楽を力に変えて戦う。D2に対して有効な攻撃手段を有し、撃退することを可能としている。存在自体が希少であり、製造過程には秘密が多い。ムジカートは人間であった頃の記憶を失っており、歳を重ねることもないため見た目が大きく変わることはない。''' > >'''[[아사히나 타쿠토]]와 [[컨덕터]]들의 지휘로 싸우는 대 [[D2(takt op.)|D2]]용 『병기』. [[심포니카]]에 의하면 인간을 소체로 삼아 탄생하는 존재. 악보를 몸에 깃들인 뒤 음악에 반응하는 불가사의한 광석 『[[하르모니아 광석]]』을 써서 음악을 힘으로 바꿔 싸운다. D2에 대항하여 유효한 공격 수단을 손에 넣어 격퇴할 수 있다. 존재 자체가 희소하여 제조 과정에 있어서는 비밀이 많다. 무지카트는 인간이었던 시절의 기억을 잃어버리고 나이를 먹지 않기 때문에 겉모습이 변할 일이 없다.''' >---- >[[https://game.takt-op.jp/introduction/keyword/|takt op.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 공식 홈페이지 소개문]] [[takt op.]] 시리즈의 설정 및 개념. 게임 한국판에서는 '''[[연주자(takt op.)|연주자]]'''(演奏者). == 모티브 == 모티브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학문과 시, 음악, 연극의 아홉 여신들인 [[무사이(그리스 신화)|무사이]](Μοῦσαι/Mousai), 예술가와 음악가들과 친분을 맺으며 영감의 원천이 된 여성 모델인 [[뮤즈]](Muse)로 보인다. == 특징 == 말 그대로 [[모에화]]된 [[클래식 음악]]이자 음악 그 자체를 의인화한 화신들. 기본적으로 무지카트는 ''''음악이 된 인간''''이 아니라 ''''인간이 된 음악''''이다. '''[[하르모니아 광석]]을 기반으로 태어나 모체가 된 인간에게 깃들면서도 그 인간과 구별되는 독립된 인격체이자 [[정령]]들이다.''' 어원은 music([[음악]])+art([[예술]])이다. [[D2(takt op.)|D2]] 섬멸과 인류 구제를 위해 음악의 힘을 몸에 깃들어 싸우는 존재들로 [[심포니카]]가 오랜 세월과 노력을 들여 [[하르모니아 광석]]의 힘을 융합한 기술로 개발해 낸 대 D2용 "[[병기]]"이다. 이러한 만큼 무지카트들의 자긍심은 아주 높으며, 대체로 컨덕터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는 이유이다. 상세한 특징은 아래와 같다. === 자격 요건 === 아무나 무지카트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몇몇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무지카트가 될 수 있다. * '''여성일 것''' [[뮤즈]]가 컨셉인 것 때문인지, 모든 무지카트는 여성이다. 남성 무지카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 '''젊을 것''' 무타의 언급으로는 나이가 많으면 무지카트가 될 수 없다고 한다. 상한선은 20대 초중반이고, 대다수는 10대 중후반이다. * '''α-유전자가 있고 활성화도가 높을 것''' α-유전자는 무지카트나 컨덕터가 되기 위해 필요한 유전자[* 이란성 쌍둥이가 서로 α-유전자 보유 여부가 불일치한 경우가 있었다. 유전이 될 수도 있지만, 돌연변이일 가능성이 크다.]이다. 덧붙여 α-유전자 보유 남성의 경우 무지카트는 될 수 없으므로 컨덕터가 된다. 그렇다고 컨덕터가 금녀의 영역인 것은 아니며 알파 유전자를 지닌 여성들도 선택과 역량에 따라 얼마든지 컨덕터가 될 수 있다. [[아브릴 버그만]]과 스타인 부인[* 1대 파반느와 계약한 컨덕터였다.], 목성과 공투한 여성 컨덕터의 예만 볼 수 있듯이, 여성의 경우에는 무지카트와 컨덕터 둘 중 하나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거나 무지카트와 컨덕터 둘 중 하나에 적성이 맞는 α-유전자가 따로 있는 모양. * '''악보의 선택을 받을 것''' 모든 조건을 만족하더라도 악보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무지카트가 될 수 없다. 무슨 악보가 자신을 선택할지는 정할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다. === [[컨덕터]]와의 계약 === >문득 생각한다. >그때 컨덕터에게, 이쪽에서 “계약”을 청했으면, 결과는 달라졌을까. >'''“계약”은 컨덕터가 청하는 것. ──그런 풍습을 날려버리고.''' >---- >[[목성(takt op.)|목성]], 일러스트레이션 노블 2화 클래식 악보를 몸 안에 품고 싸우는 전사이자 연주자로서 자신들을 이끄는 [[지휘자]]인 [[컨덕터]]와 계약을 맺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지카트의 능력을 더 끌어낼 수 있다. 한 명의 무지카트와 계약하는 컨덕터는 보통 한 명으로 2인 1조의 콤비로 활동한다. 계약은 필수가 아니며, [[발퀴레(takt op.)|발퀴레]]처럼 계약을 맺지 않고 혼자서 활동할 수도 있다. 계약은 선택이기 때문에 굳이 계약을 맺지 않고도 컨덕터가 무지카트를 지휘하는 것이 가능하며, 자유롭게 제안하거나 해지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의 [[운명(takt op.)|운명]]의 경우는 계약 과정상의 특이 사항으로 인한 예외라고 봐야 한다.] 계약은 컨덕터가 무지카트에게 제안하는 것이 관례이다.[* [[아브릴 버그만]]도 평소에 개인적으로 사이가 나쁜 [[박쥐(takt op.)|박쥐]]에게 먼저 계약을 제안하여 임시 파트너십을 맺었으며, 게임판에서 비록 거절당하긴 했지만 타쿠토도 먼저 운명에게 계약을 요청했다.] 무지카트도 계약을 제안할 수 있지만 흔하지 않으며, 굴욕적이라는 인식이 커서 기피된다.[* 이 설정이 게임상 시스템에도 반영되어 있는데, 티타임을 통한 대화로 무지카트의 신뢰도를 올릴 수 있으며, 무지카트의 신뢰도가 4 이상을 넘어가면 무지카트들이 직접 계약을 청해온다.] ==== 계약 기피 사유 ==== 게임 시점에서는 여전히 계약을 하려고 하는 무지카트들도 있지만, 계약하지 않은 무지카트들이 더 많아졌다. 계약을 고민하더라도 생각만 하고 실제로 하지 않고 비즈니스 관계 혹은 전우로서만 지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타쿠토를 만난 처음부터 계약을 하자고 제안한 [[작은별 변주곡(takt op.)|작은별 변주곡]]이나 스토리 중간에서 계약을 제안해서 체결한 운명의 경우도 존재하나 이마저도 다른 무지카트들에게 제지당하거나 핀잔을 듣는 등 시선이 차갑다. 아래와 같은 점들이 그 이유로 추정된다. * 시간이 지나며 기술의 발전으로 컨덕터 없이도 무지카트의 전투에 제한이 줄어들어 계약의 필요성이 줄어들게 되었다. * D2와 고전하며 전사하는 컨덕터의 수가 증가했고[* 물론 무지카트 또한 전사했지만, 무지카트와 다르게 컨덕터는 평범한 인간일 뿐이기 때문에 공격에 더 취약하여 손실이 컸다.], 그로 인해 컨덕터의 수 자체가 적어져 계약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 계약 관계는 아닐지라도 전선에서 호흡을 맞춰온 컨덕터를 잃는 경험으로 마음의 상처를 받은 무지카트들이 컨덕터와 협력하거나 계약하는 것을 꺼리게 되었다. * 계약이 자신의 역랑을 끌어올리는 방법이라기보단 자유와 주도권을 잃고 컨덕터에 종속되는 일이라는 인식이 강해졌다. * 여러모로 속이 구리고 질이 나쁜 불량한 컨덕터[* 애니메이션의 자간이나 쉰들러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들에게 이용당하거나 뒤통수 맞을 가능성을 대비하기 위해 계약을 피하게 되었다.[* 실제로 애니판 5화 막바지에서 발퀴레는 쉰들러로부터 넌 필요 없다는 말을 듣고 버려진다. 당연히 심포니카를 위해 충성을 바쳤거늘 되려 냉혹한 토사구팽의 선언을 들은 발퀴레는 망연자실한 표정을 짓고 상처를 입는다. 뿐만 아니라 첫 만남부터 살벌한 신경전을 벌였던 타쿠토는 물론이고 쉰들러 때문에 컨덕터를 도구 취급하는 인간이란 존재 자체를 혐오하게 되어 타쿠토에게도 까칠하게 냉대하는 계기가 된다.] * 애니메이션 결말 시점(2047년)에 있었던 일련의 사건들[* 뉴욕 심포니카의 최고책임자이자 그랜드 마에스트로 자간이 ''''D2로 인한 사람들의 절규와 단말마 속에서 피어나는 음악을 듣고 싶다.''''란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흑야운철을 폭주시켜 뉴욕에 D2가 집결하는 사태를 일으킨다. 비록 사태는 해결되었으나 심포니카 지부 건물이 붕괴되고 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는 피해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 자간과 동조해 사태를 일으킨 [[천국과 지옥(takt op.)|천국과 지옥]]이 사망하고 매몰, ([[안나 슈나이더]]가 계승해 게임 시점에선 부활하게 되지만)운명 또한 소멸, 타쿠토는 거의 죽을 뻔해 20년간 동면하는 결과를 맞았다.]로 인해 무지카트들 사이에서 컨덕터를 향한 불신과 배신감이 퍼져나가 계약 그 자체를 기피하는 풍조가 생기게 되었다. === 신체적 변화와 기억 상실 === 무지카트들은 신체적으로 체형, 얼굴형 등의 면에서 모체의 속성을 어느 정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이며, 세부적인 디테일은 모체에 따라 조금식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헤어 스타일과 치마 형태가 달라진 [[운명(takt op.)|운명]]이나 눈 밑 그림의 색깔, 목걸이의 형태 등이 달라진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takt op.)|파반느]]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마치 특정 캐릭터를 [[코스프레]] 한 것처럼 비슷한 형태가 된다. 무지카트가 된 이후에는 모체의 기억을 모조리 잊어버린다. 다만 기억을 완전히 잊어버리는 것은 아니라 모체의 성격이나 취미는 어느 정도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가령 [[운명(takt op.)|모체가 디저트를 잘 만들었기 때문에 디저트를 잘 만드는 경우]]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takt op.)|모체가 D2에 대한 복수심이 가득했기 때문에 D2를 섬멸하겠다는 의지로 가득찬 경우]]를 들 수 있다. 다만 무지카트가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takt op.)|죽기 직전에 모체의 기억을 떠올릴 수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 기억이 아예 사라진다기보다는 억눌려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지카트가 된 소녀들은 사람으로서의 인격은 사라지고, 무지카트로서의 인격이 새로 생겨나게 된다. 무지카트를 만들려면 소녀의 시체를 활용하기에, '''[[인신공양]]'''과 같다는 인상을 풍긴다. 또한 무지카트가 되면 원래 인간의 사회적 신분이 자연히 소멸하고 사망 처리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러모로 윤리성과 인도성, 도덕성 차원에서 이의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사항. === 강인한 육신, 평범한 정신 === 무지카트는 불로의 몸이라 죽을 때까지 늙지 않고 젊음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신체 내부 조직이나 외견이 크게 바뀔 일이 없다.[* [[takt op.Destiny|애니판]] 설정과 거의 다르지 않으나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게임판]]에서는 이 설명이 추가되었다. [[운명(takt op.)|운명]]의 스포일러 방지를 위함인 듯.] 하지만 [[불사]]는 아니라서 과도한 체력을 소모하거나, 외부의 공격에 의해 일정 이상의 피해나 치명상을 입거나, 보유 f홀이 파괴되거나 하는 경우 그 무지카트는 사망한다. 보유 f홀이 파괴되는 등 사망 조건에 해당하면 몸에서 악보가 해방되면서 소멸한다.[* f홀을 본능적으로 목숨으로 여기는 무지카트들의 특성상 f홀이 파괴되었다면 치명상을 입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f홀만 파괴되고 모체가 멀쩡하다고 해도 애초에 이미 죽은 사람의 몸이 소재이므로 결국 소멸할 것으로 추정된다.] 육체가 강인한 반면에 정신은 평범한 인간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작중에서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일러스트레이션 노블#s-1.2|일러스트레이션 노벨 2화]]에서 전투 중 치명상을 입고 전사한 컨덕터를 기억하며 눈물 흘리는 목성이나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일러스트레이션 노블#s-1.11|일러스트레이션 노벨 11화]]에서 전투 과정에서 정신 질환을 얻게 되게 된 G선상의 아리아처럼 끔찍한 사건이나 과거의 아픈 기억에 시달리는 무지카트들이 종종 있다. 심포니카에서 여기에 대해 어떤 대책을 시행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다. == 탄생 및 제조 과정 == 무지카트가 태어나고 만들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은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애니메이션의 묘사[* 죽은 사람의 몸에 하르모니아 광석의 힘으로 불러낸 정령이 들어갔더니 무지카트가 되었다.]와 게임 스토리의 묘사[* 살아 있는 사람이 악보실 안의 관에 들어가고, 그 관에 물을 부은 뒤 관을 열면 무지카트가 되었는지 아닌지 알 수 있다. 조건이 된다고 해도 악보의 선택을 받지 못하면 무지카트가 되지 못 한다.]를 종합해 봤을 때, '''죽은 소녀의 몸과 하르모니아 광석이 만났을 때, 악보의 선택을 받는 경우 무지카트가 된다'''라고 정리할 수 있다. 무지카트 양성에 필요한 하르모니아 광석의 채굴을 심포니카에서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무지카트의 양성도 심포니카에서 독점하고 있다. 다만 [[환희의 송가(takt op.)|최초의 무지카트]]가 그랬던 것처럼 어떠한 경로로던 하르모니아 광석을 개인이 입수한다면 [[운명(takt op.)|심포니카의 개입 없이도 무지카트가 탄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심포니카가 무지카트 양성에 사용하는 인적 자원을 어떻게 수급하고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무지카트들 간의 관계 == 공교롭게도 무지카트는 저마다 담고 있는 클래식 곡 악보의 특성 상 상호간에 상생이 맞거나 불협화음으로 사이가 상당히 안 좋다고 한다. 카논의 설명에 나오듯 카논처럼 모든 무지카트와 조화로운 관계를 가진 기적적 존재 취급을 받는 무지카트가 아닌 이상 목성과 발퀴레와 같은 케이스가 흔하다고 한다. 이는 악곡 [[카논(음악)|카논]]의 특성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다. 카논의 경우 일반적으로 돌림노래 형식으로 작곡되는 음악이며 음악가들이 보통 공연보단 대화의 요소로 쓰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지닌 음악인지라 파헬벨의 카논이 네임밸류가 되어서 독특할 뿐이지 소통을 상징하는 음악인 만큼 모두와 조화로운 관계를 가지는 대화의 장을 상징하는 요소로서 고증을 지켰다고 볼 수 있다. == [[f홀(takt op.)|f홀]][* [[바이올린]] 등의 비올족 악기의 울림을 위한 f 자의 구멍을 뜻한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f홀(takt op.))] == 목록 == [include(틀:takt op./무지카트)] === [[takt op.Destiny|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무지카트는 아레와 같다. '''볼드체'''는 주연, 그 외는 카메오 출연이다. * '''[[운명(takt op.)|운명]]''' (1대) * '''[[거인(takt op.)|거인]]''' * '''[[발퀴레(takt op.)|발퀴레]]''' * '''[[천국과 지옥(takt op.)|천국과 지옥]]'''[* [[천국과 지옥]]은 본래 한 곡이 2인의 무지카트로 분리된 형태이기 때문에 2인 1조 그룹처럼 돌아다닌다.] * '''[[지옥의 오르페(takt op.)|지옥의 오르페]]''' * [[작은별 변주곡(takt op.)|작은별 변주곡]] * [[호두까기 인형(takt op.)|호두까기 인형]] * [[월광(takt op.)|월광]] * [[G선상의 아리아(takt op.)|G선상의 아리아]] * [[환상 즉흥곡(takt op.)|환상 즉흥곡]] ===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게임]] === 게임 시작 시점에서 플레이 가능한 무지카트는 아래와 같다. * '''[[운명(takt op.)|운명]]''' (1/2대) * '''[[목성(takt op.)|목성]]''' * '''[[작은별 변주곡(takt op.)|작은별 변주곡]]''' * '''[[발퀴레(takt op.)|발퀴레]]''' * '''[[카르멘(takt op.)|카르멘]]''' * '''[[호두까기 인형(takt op.)|호두까기 인형]]''' * '''[[볼레로(takt op.)|볼레로]]''' * '''[[박쥐(takt op.)|박쥐]]''' * '''[[월광(takt op.)|월광]]''' * '''[[시바의 여왕 벨키스(takt op.)|시바의 여왕 벨키스]]''' * '''[[다프니스와 클로에(takt op.)|다프니스와 클로에]]''' * '''[[G선상의 아리아(takt op.)|G선상의 아리아]]''' * '''[[마왕(takt op.)|마왕]]''' * '''[[위풍당당(takt op.)|위풍당당]]''' * '''[[환상 즉흥곡(takt op.)|환상 즉흥곡]]''' * '''[[캐논(takt op.)|캐논]]''' * '''[[아를의 여인(takt op.)|아를의 여인]]''' * '''[[엘리제를 위하여(takt op.)|엘리제를 위하여]]''' * '''[[백조의 호수(takt op.)|백조의 호수]]''' * '''[[마탄의 사수(takt op.)|마탄의 사수]]''' * '''[[라 캄파넬라(takt op.)|라 캄파넬라]]''' * '''[[사계-봄(takt op.)|사계-봄]]''' * '''[[사계-여름(takt op.)|사계-여름]]''' * '''[[사계-가을(takt op.)|사계-가을]]''' * '''[[사계-겨울(takt op.)|사계-겨울]]''' * '''[[거인(takt op.)|거인]]'''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takt op.)|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 '''[[바다(takt op.)|바다]]''' * '''[[세헤라자데(takt op.)|세헤라자데]]'''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takt op.)|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돈 조반니(takt op.)|돈 조반니]]''' * '''[[탄호이저(takt op.)|탄호이저]]''' === 미실장 무지카트 === 스토리에 등장은 했지만 아직 정식으로 플레이하지 못하는 무지카트들이다. 볼드체는 플레이 가능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뜻한다. * [[환희의 송가(takt op.)|환희의 송가]] ==== 설정 및 언급 ==== * 영웅 위풍당당과 티타임에서 제노바 심포니카에 있다고 짤막하게 언급된다. 영웅이라고 언급만 되는데 쇼팽의 폴로네즈 6번인지 베토벤의 교향곡 3번의 영웅인지는 불명. 파반느의 화면 대사에서 언급되는데 모두가 신뢰하고 강력한 힘을 가진 무지카트라고 언급된다. * --해왕성-- 원정에서 언급되며 예술가인 것으로 추정되나, 이번에 이름이 비슷하고 똑같이 예술가 설정인 [[바다(takt op.)|바다]]가 실장된 것으로 보아 바다(海)를 영문 번역팀이 해왕성(海王星)의 약자로 착각해 바다를 Nep(Neptune의 약자)로 번역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탄호이저(바그너)|탄호이저]] 원정 스토리에서 언급되며 같은 바그너 곡인 발퀴레랑 같이 행동하는 것을 타쿠토가 본 모양이다. ==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일러스트레이션 노블|일러스트레이션 노블]] == 애니판으로부터 20년 후의 이야기를 다루는 게임에 등장하는 주요 무지카트들의 프롤로그 스토리를 다루고 있다. 배경은 게임의 현 시열대로부터 조금 과거 시점으로 보이며 총 열두 명의 무지카트들이 주인공인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므로 참조하길 바란다. == 여담 == * 원곡자가 같은 무지카트의 경우에는 특징을 공유하는 경우가 가끔 보이는데 대표적으로 [[루트비히 판 베토벤]]의 무지카트의 경우에는 환희의 영향인지 전부 은발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takt op./등장인물, version=73, paragraph=3, title2=takt op./설정, version2=18, paragraph2=2)] [[분류:takt op.]][[분류:takt op./등장인물]][[분류:takt op./설정]][[분류:무지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