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無主 == 주인이 없음. [[무주지]], [[무주공산]] 등에 쓰인다. == 전라북도 [[무주군]] == {{{+1 茂朱郡 / Muju County}}} 전라북도 동북부에 있는 군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주군)] == [[통일신라|신라]]의 행정구역 == [include(틀:9주 5소경)] [include(틀:후삼국시대 도성들)] || [[파일: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구역.jpg|width=100%]] || || {{{+1 무주(武州) }}} || [[통일신라]]의 [[행정구역]] 체계였던 [[9주 5소경]] 중 하나로 지금의 [[광주광역시]]인 무주군(武州郡)에 치소가 있었으며 현재 [[광주광역시]]+[[전라남도]] 지역 14군 44현을 관할했다. 수부도시인 무주의 다른 이름인 '[[무진주]](武珍州)'라고도 했는데, 당시 [[珍]]이 '돌'로 훈독되었으며 광주 지역에 [[무등산]]이라는 산이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원래 발음은 '무돌주'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무주의 지방군으로 검은색 옷깃의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부대와 백적·백황(白赤白黃) 만보당 부대가 지금의 나주시에 주둔했다. 참고로 현재 전라북도에 있는 무주(茂朱)와는 한자가 다르다. 현재 전북 무주군의 신라 때 지명은 단천현(丹川縣)이었다. [[청해진]]이 이곳에 있었으며 [[장보고]]의 난 때는 무주에서 격전이 벌어졌다. [[후삼국시대]]에서는 [[견훤]]이 무진주를 수도로 하여 [[후백제]]를 개국했으며, 얼마안있어 [[완산주]][* 현재의 [[전주시]].]로 천도한다. == 중국의 왕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주(당나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측천무후)] == [[중국]]의 지명 == === 중국 [[장시성]]의 도시 === 撫州 [[푸저우시(장시성)]] 참조. === 중국 수, 당나라 대의 지명 === 婺州 [[진화시]] 문서 참조. == 베트남 [[대월]] [[남북조시대]] 지방정권 == 버우 주. [[후 레 왕조]]의 신하였던 [[무문연]]이 뚜옌꽝 지역에서 근거지를 잡고 [[막 왕조]]에 대항함과 동시에 후 레 왕조의 허락을 받아 형성된 세습 지방정권이다. 이후 6대 군주인 [[무공준]]이 황실에 대한 기만 행위를 저지르자 후 레 왕조가 군대를 보내 멸망시켰다. === 역대 군주 === [include(틀:역대 부씨 정권 군주)] == [[평안북도]] [[영변군]]의 옛 지명 == 撫州 [[995년]]부터 쓰인 지명이며, [[1413년]]에 무산현(撫山縣)으로 고쳤다가 [[1429년]]에 연산(延山)과 무산을 합하여 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를 설치하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무주(동음이의어), version=61, paragraph=4)] == [[삼국지]]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무주(삼국지))]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무주(동음이의어), version=61, paragraph=6)] [[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