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언어적 표현 == 말그대로 신기한 물건이나 통 정체를 알 수 없는 물건을 보았을 때 쓰는 표현으로 흔히 시대극을 배경으로 한 코미디에서 우연인지 필연인지 간에 어떠한 방법으로 이 시대에 떨어져버린 미래의 물건을 본 사람, 특히 지방 관리들이나 대궐의 [[높으신 분들]]께서 많이 쓰는 표현이다. 혹은 오락프로그램 등에서 신기한 물건을 가져와서 패널들과 맞추는 코너의 제목들로도 자주 쓰이고 있다. == 고전 설화 == 원문의 제목은 "귀봉변괴 鬼棒變怪"로 되어 있다. [[고금소총]][* 조선시대에 쓰여진, [[야설|성을 바탕으로 한 고전 설화]] 모음집.]에 실린 이야기. 내용은 어느 [[과부]]에게 어느 날 밤에 [[딜도|양물]]이 날아들어오고, 그것을 본 여자는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를 읊으니, 양물이 잘생긴 청년으로 변하여 여자를 덮치고 둘은 [[성관계]]를 한다. 형상은 끝이 뭉툭한 나무 몽둥이 같은 것이고 길이는 20센티미터를 좀 넘는 정도이다. 흡사 도깨비 방망이를 연상시키는데가 있으나, 재질은 결코 나무나 철이 아니며, 뭘로 될 수 있는지 알 수 없다. 평소 때에는 어떠한 움직임도 없이 그냥 방망이 처럼 가만히 있다. 그런데, 이것을 보고 사람이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라고 궁금해하는 혼잣말을 하면, 순간 갑자기 날듯이 움직이면서 건장하고 잘생긴 더벅머리 청년으로 변하면서, 엄청나게 맹렬한 기세로 달려들어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말한 사람과 강제로 [[성관계]]를 한다. 매우 힘이 강하여 결코 저항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그 후에는 다시 아무런 움직임도, 환영도 없는 그저 방망이 같은 모양으로 돌아간다. 망치로 내리치고, 불로 태우거나 뜨거운 물로 삶으려 해도 어떠한 손상도 입지 않는다. 조선 어느 시골의 이야기로 1424년생인 강희맹이 쓴 '''촌담해이'''에 기록되어 있다. [[https://kydong77.tistory.com/m/10922|전문 보기]] [[http://bbs.ruliweb.com/family/212/board/1010/read/30568889|만화화되었다]]. == 2를 바탕으로 한 [[1993년]] 한국 영화 == [[파일:external/file.koreafilm.or.kr/tn_DPK04638A.jpg]] [[http://www.ddanzi.com/doctuCulture/30997663|리뷰(딴지일보, 후방주의)]] 조선시대 과부들만 사는 과부촌에서 과부 한 명이 야밤이 외로워서 매일 밤 산신령에게 치성을 올린다. 그리고 그 정성에 감동받은 산신령은 그 보답으로[* 위 딴지일보 리뷰에서 나무공이 남자를 딜도사나이라고 부른다.] 나무공이 하나를 선물로 건내준다. 문제는 이 나무공이에게 "이것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라는 주문을 외우면 잘 생긴 사내로 변한다는 것. 게다가 과부촌에 이 비밀이 알려지자 서로 나무공이를 가지려는 싸움이 벌어져 과부들끼리 대판 소동을 벌인다는 게 주 이야기. 감독은 [[양병간]]. 내용은 흔히 80,90년대 한국 코믹에로영화[* 오히려 에로보다도 해학극이다. 지금 보면 우스울 정도이다.]이지만 제작사의 탁월한 작명센스 덕분에 당시 제법 유행한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 거기에 솔로몬의 재판의 패러디 등[* 두 과부가 나무공이의 주인임을 자처하자 사또가 그럼 간단하게 둘로 쪼개서 나누자고 한다. 이를 과부 한씨가 몸을 던져 막자 아예 진짜 인간으로 환생해 한씨를 안고 관가를 걸어나가면서 영화가 끝난다.] 간간히 들어간 유머도 웃기다. 극장 흥행은 별로 성공하지 못해 서울관객 12,140명 정도에 그쳤으나 비디오나 재개봉관에서는 꽤 반응이 좋았다. 심지어 몇몇 상영회에서 상영했는데 무척 웃으며 재미있어 하고 호평을 받기도 했다. 심지어 호러&판타지 영화 상영회, 나우누리나 유니텔 호러영화 동호회에서도 상영하여 대호평을 받기도 했다. 5단 변신으로 사람처럼 변하는 나무공이 변신 장면은 가장 반응이 좋았다고. 몇몇 배역은 [[이경자]]라든지 [[성우]]들이 더빙했다. 2015년, 같은 감독이 감독한 영화 [[무서운집]]이 개봉되면서 이 영화도 다시 주목받았다. 이 영화가 개봉하고 94년쯤에 [[SBS]]에서 코미디 전망대에서 이 제목으로 한 코너가 방영했는데 조선시대 왕과 신하들이 현대물건을 보고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이러면서 멋대로 상상하는 게 줄거리였다. 그 당시 왕 역할은 [[이봉원]]이고 신하들 역할은 [[김병조]], [[김종국(코미디언)|김종국]], 박채규 등 이다. 오리지널 네거티브가 [[한국영상자료원]]에 존재한다. == BL 웹툰 == 모티브는 역시나 2번째 항목의 설화. [[피너툰]]에서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총 27화)"가 먼저 연재 되었으며, 이어지는 후속작으로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총 47화+외전 4화)가 나왔다. 이후 [[봄툰]], [[리디]], [[레진코믹스]] 등에서도 런칭 되었다. ===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 글 작가 이치카, 그림 작가 이나이. > 이야기를 수집하는 말단 관리 "자경"은 어느날 우연히 묵은 주막에서 방망이를 얻게 되는데, 그것은 주문을 외우면 인간의 모습으로 변하는 도깨비 "아라" 였다. ===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 글, 그림 작가 이나이. 전작에서 약간 세월이 흐른 후의 이야기이다. > 고을에 겁간 사건이 일어난다. 그런데 범인이 웬 방망이? 사건을 조사하는 고을 사또 "율"에게 [[양물]] 도깨비 "아라"는 무죄를 주장하다 사또의 아이를 두고 거래를 제안하는데... [각주] [[분류:한국어]][[분류:야담]][[분류:한국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