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무균실.png]] [목차] == 개요 == 무균(Asepsis, [[無]][[菌]])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과 같은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또는 [[병균]]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이다. 무균 상태를 만드는 무균법은 보통 의료 현장에서 많이 쓰이지만 식품 관리[* [[햇반]], [[멸균우유]] 등], [[팹]][* [[나노]] 단위로 회로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세균, 바이러스는 그야말로 무지막지한 훼방꾼이다.]에도 많이 쓰인다. == 역사 == 1863년 [[파스퇴르]]의 미생물 실험을 흥미롭게 본 [[조지프 리스터]]는 [[상처]]가 곪는 원인이 상처 속으로 들어가는 세균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이 상처의 퍼짐이 [[패혈증]]의 원인이라고 생각한 그는 [[활성탄]]으로 패혈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1865년부터 연구를 하기 시작했다. 12명의 패혈증 환자 중 9명의 [[환자]]가 말끔히 회복되자 그는 1867년에 이에 대한 논문을 냈다. 비록 사람들의 관심은 미미했지만 그는 물체를 [[소독]]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등 오늘날 외과에서 쓰이는 무균법의 기초를 세웠다. == 종류 == 무균법은 소독인지 멸균인지에 따라 각각 내과적 무균법, 외과적 무균법으로 나뉜다. * 내과적 무균법 미생물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전파를 막는 것을 의미한다. 소독과 비슷하며 [[격리조치]], [[손씻기]][* 시간, 씻는 방법에 따라 구분된다.] 등이 해당된다. * 외과적 무균법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피부절개, 이식, 기구 삽입등에 쓰인다. 하는 방법은 [[멸균]]과 비슷하다. == 관련 문서 == * [[소독]] * [[멸균]] * [[수술]] [[분류: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