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목차] == 묘지묘지의 한 == [[파일:墓地墓地の恨み.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묘지묘지의 한, 일어판 명칭=墓地墓地(ぼちぼち)(うら)み, 영어판 명칭=Ghost of a Grudge, 효과1=①: 상대 묘지의 카드가 8장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을 0으로 한다.)] [[유희왕 ZEXAL(코믹스)|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 처음 등장한 함정 카드. 시기가 한참 지나고서 뜬금없이 프리미엄 팩 16에 수록되었고 한국에도 [[프리미엄 팩]] 9에서 건너왔다. 정발본에서는 처음에는 '묘지묘지의 원한'으로 번역되었으나 재등장했을 때는 정발명인 '묘지묘지의 한'으로 등장했다. 짧지만 강력한 효과. [[No.39 희망황 비욘드 더 호프]]나 [[제로 포스]]처럼 상대 몬스터를 전부 공격력 0으로 만든다. 상대 묘지의 카드가 8장 이상이라는 조건이 붙어있긴 하지만, 그 대신에 묘지의 카드 종류가 꼭 몬스터일 필요도 없으며 서치 카드나 엑스트라 덱에서 나오는 몬스터가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2~3턴이면 보통 조건이 만족된다. 발동 후에는 공격력이 확인된 상대의 모든 몬스터, 즉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공격력을 0으로 만들기 때문에 데미지 스텝 때 한 번 날려줘서 상대의 공격을 무력화하는 것과 동시에 데미지를 주거나 [[레프티레스]]로 잡아먹는게 가능하며 상대가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로 공격할 때에 자신이 받는 데미지를 0으로 만들면서 [[역관광|상대에게 반사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나 상대가 덱을 대량으로 갈아버리는 [[라이트로드]] 같은 덱일 경우 더욱 쓰기 편하며, 그 외에 묘지에 자원을 빠르게 쌓아올려 부활시키는 드래곤족 덱 상대로도 괜찮은 성능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름은 제알의 카드답게 "묘지"와 "보치보치"를 이용한 말장난. 보치보치(ぼちぼち)는 조금씩 쌓아가는 모습을 의미한다. 또한, 같은 팩에 수록된 [[No.13 케인즈 데블]]과 [[No.31 아밸즈 데블]]과의 콤보로 상대를 [[데꿀멍]] 시킬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 2014-06-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P09-KR020 | '''[[프리미엄 팩/한국판#프리미엄 팩 Vol. 9|프리미엄 팩 Vol.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3-12-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P16-JP020 | '''[[프리미엄 팩#프리미엄 팩 14~16|PREMIUM PACK 16]]'''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1-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1TP-JP315 | [[토너먼트 팩#s-59|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1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3-2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PGLD-EN029 | '''PREMIUM GO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SE)] || == 과거로부터 온 유령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803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과거로부터 온 유령들, 일어판 명칭=恐撃(きょうげき), 영어판 명칭=Ghosts From the Past,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0이 된다.)] TCG의 배틀 팩에서 등장한 카드. 전투 보조를 위해서는 다른 카드들로도 충분하다. [[제로 포스]]나 위의 묘지묘지의 한도 나쁘지 않고. [[수축(유희왕)|수축]]이 절반으로 하기는 해도 범용성이라던가 해서 훨씬 우월하다. 이쪽이 우선시될만한 상황은, 기본 공격력이 낮은 몬스터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격파하게 하기 위해서가 될 것이다. 정황상으로 볼 때, 일러스트의 저 유령이 과거에 쓰러졌던 몬스터 2마리여서, 저 전사의 공격력을 0으로 하고 있는 것 같다. 한편, 일본어판 명칭인 공격(恐擊)의 경우, '공격(攻撃)'이라는 단어와 말장난을 살려서 카드명을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자신 묘지의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상대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협공(유희왕)|협공]]과의 연관성을 주목한 듯. 국내 번역명은 그냥 영어판 이름을 직역한 것. ||수록 시리즈 || ||<(> 2016-01-2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P15-KR087 | '''[[엑스트라 팩#s-10|엑스트라 팩 201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5-09-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P15-JP087 | '''[[엑스트라 팩#s-10|EXTRA PACK 2015]]'''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4-08-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BP03-EN233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17-11-0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CL-EN040 | [[사이버스 링크|STRUCTURE DECK : CYBERSE LIN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