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몰디브)] ||
<-7><:>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20]]''' {{{#000 몰디브 외교 관련 틀}}}''' [[파일:몰디브 국장.svg|width=20]]||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남아시아의 외교)] [include(틀:몰디브의 대외관계)] [include(틀:몰디브 관련 문서)] ---- }}} || [목차] == 개요 == [[몰디브]]의 외교에 관한 문서. [[대한민국]]과 [[중국]], [[일본]] 등 외교 관계를 맺고 있지만 상주 공관은 7개국만 마련하고 있다. 비상주 공관 대다수가 [[콜롬보]], [[뉴델리]] 주재 대사가 파견 형식으로 겸임하고 있는 비상주 대사관도 존재한다.[* 보기를 들어 몰디브 주재 한국 대사관은 [[콜롬보]] 주재 한국 대사가 겸임 업무를 보는 식으로 몰디브에 정해진 기간에 맞추어서 파견 업무를 본다. [[미국]],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프랑스]], [[노르웨이]], [[독일]], [[이탈리아]] 등도 마찬가지다.] 2010년대부터 몰디브가 [[친중]] 정책을 실시하면서 인도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몰디브를 지원하고 있다. 사우디는 몰디브에 종교적 영향력이 크며 몰디브를 지원하고 있다.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몰디브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몰디브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출력=, 크기=40)] [[인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몰디브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스리랑카-몰디브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스리랑카, 출력=, 크기=40)] [[스리랑카]]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리랑카-몰디브 관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인도-스리랑카-몰디브 관계)] == [[서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 종교적으로는 서아시아내 [[아랍]] 국가들과 매우 가까운 편이다. 그리고 [[아랍어]]가 몰디브에선 영어와 함께 필수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편이고 몰디브인들도 성지순례를 하러 [[사우디아라비아]]로 가기도 한다. 그리고 몰디브도 [[이슬람 협력기구]]에 가입되어 있다. 몰디브는 사우디와 외교적, 종교적으로 매우 가까운 편이고 거기에다 사우디가 몰디브에도 투자를 많이 하는 편이다. 그리고 사우디를 따라서 카타르, 이란과 외교관계를 단절했고 [[예멘 내전]]이 일어나자 사우디 측을 지지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32&aid=0002892516|#]]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출력=, 크기=40)] [[이란]]과의 관계 === [[이란]]과는 종교적으로 가까운 편이지만, 상술한 것처럼 사우디의 영향을 받아 이란과 외교관계를 단절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32&aid=0002892516|#]] === [include(틀:국기, 국명=사우디아라비아, 출력=, 크기=40)]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사우디아라비아-몰디브 관계)] 사우디와 몰디브는 이슬람 협력기구 회원국들이다. 그리고 양국은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 [[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몰디브 관계)] 예전에 [[영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었고 동시에 [[영연방]]에 가입했었다. 하지만 몰디브의 인권 탄압과 정치적 혼란이 발생되자, 몰디브 측은 잠시 영연방에서 탈퇴했다. 그리고 영국지배의 영향으로 [[영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문화적으로도 영미권의 영향을 받는 면이 강하기도 한다. 2020년 2월 1일부로 영연방에 다시 가입했다. ==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몰디브 관계)] 몰디브는 미국과 수교했다. 그리고 여러 교류가 많은 편이다. 몰디브로 [[미국인]] 관광객들이 자주 찾아오고 있다. 2020년 10월 29일에 몰디브를 방문한 폼페이오 장관은 몰디브에 미국 대사관을 개설한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1978989|#]] == 지역별 관계 == * [[한국-몰디브 관계]] * [[중국-몰디브 관계]] * [[사우디아라비아-몰디브 관계]] * [[인도-몰디브 관계]] * [[스리랑카-몰디브 관계]] * [[인도-스리랑카-몰디브 관계]] * [[영국-몰디브 관계]] * [[미국-몰디브 관계]] == 관련 기사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368269?sid=100|"몰디브 대선 결과는 중국과 경쟁서 인도의 전략적 승리"]]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9876089?sid=104|몰디브, 中에 특사파견 지지요청…中 vs 인도·미국 대리전 양상(종합)]] - 연합뉴스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7/0000026049?sid=104|[국제] 몰디브의 롤러코스터… 친인도 → 친중국 → 친인도]] - 주간동아 == 관련 문서 == *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 [[영연방]] * [[이슬람 협력기구]]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남아시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몰디브, version=377, paragraph=6)] [[분류:몰디브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