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주마/아일랜드 생산]][[분류:경주마/프랑스 조교]][[분류:종마/아일랜드]][[분류:죽은 경주마]][[분류:1996년 출생/경주마]][[분류:2012년 죽은 동물]][[분류:새들러스 웰즈계]]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몬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other2='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 rd2=브라예)] [include(틀: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 ||<-3> '''1999년 인터내셔널 클래시피케이션 레이팅 1위'''[* 135점으로 데일라미와 동률. 같은 연도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는 134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ontjeu_Irish_Derby.jpg|width=100%]]}}} || ||<-2> 이름 || Montjeu[br]モンジュー || ||<-2> 출생 || [[1996년]] [[4월 4일]]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 ||<-2> 죽음 || [[2012년]] [[3월 29일]] (16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Bay) || ||<-2> 아비 || [[새들러스 웰스]](Sadler's Wells) || ||<-2> 어미 || 플로리페데스(Floripedes) || ||<-2> 외조부 || 탑 빌(Top Ville) || ||<-2> 생산자 || 제임스 골드스미스 || ||<-2> 마주 || 로르 불레 드라뫼르트[* 생산자인 제임스 골드스미스의 연인이고, Tsega Ltd의 소유주이다. 몬쥬가 데뷔하기 전 골드스미스가 죽자, 몬쥬의 소유권을 넘겨받았다.][br]마이클 테이버[* 아일랜드의 경주마 생산 그룹인 쿨모어 스터드의 대표. 몬쥬의 2세 시즌이 끝나고 난 뒤 지분의 반을 사들였다.] || ||<-2> 조교사 || 존 해먼드 (샹티이) || ||<-2> 성적 || 16전 11승 (11-2-0-3) || ||<-2> 총상금 || 1,497,051 유로 || ||<|2> 주요[br]우승 || G1 || 조케 클뤼브상(1999)[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아이리시 더비(1999)[br][[개선문상]](1999)[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태터솔스 골드 컵(2000)[br]생클루 대상(2000)[br][[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2000) || || G2 || 그레퓔상(1999)[br]니엘상(1999)[br]푸아상(2000) || ||<-2> 주요 수상 || 카르티에상 최우수 3세 수말(1999)[br]프랑스 리딩 사이어(2005) || ||<|2> 레이팅 || WBRR || '''L135'''[*1위](1999) / L130(2000) || || 타임폼 || 137 || ||<-2> 주요 자마 || 허리케인 런(2002)[* 아이리시 더비, 개선문상, 태터솔즈 골드 컵,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몬쥬의 초년도 산구][br][[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모티베이터(2003)[* 2005년 더비 스테이크스 우승마. [[뫼베]]의 아비이자 [[멜로디 레인]], [[타이틀홀더]], [[솔 오리엔스]]의 외조부다.][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허리케인 플라이(2004)[* 장애물 경주마로, 2019년 [[윙크스(말)|윙크스]]가 갱신하기 전까지 G1 승수 세계기록인 '''22승'''을 가졌던 말이다.][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페임 앤 글로리(2006)[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세인트니콜라스 애비(2007)[br][[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카멜롯(말)|카멜롯]](2009)[* 영국 2관(2000기니, 더비 스테이크스)마이자 아이리시 더비마. [[니진스키 2|니진스키]] 이후 42년만의 영국 [[삼관마|트리플 크라운]]에 도전했지만 엔케(Encke)에게 밀린 2착을 기록하면서 실패했다.] || ||<-2> 상세 정보 || [[https://www.france-galop.com/en/horse/alRCUjJscmNsR0xuQUFjV2d1cVpOZz09/|[[파일:france_galop_logo.svg|height=14]]]]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프랑스의 경주마.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새들러스 웰즈]]'''[br]{{{-2 Sadler's Wells[br]198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2>'''[[노던 댄서]]'''[br]{{{-2 Nothern Dancer[br]1961}}} [[캐나다|[[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5px]]]]||니어크틱[br]{{{-2 Nearctic}}}|| ||나탈마[br]{{{-2 Natalma}}}|| ||<|2>페어리 브리지[br]{{{-2 Fairy Bridge[br]1975}}}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볼드 리즌[br]{{{-2 Bold Reason}}}|| ||스페셜[br]{{{-2 Special}}}|| ||<|4>플로리페데스[br]{{{-2 Floripedes[br]1985}}}||<|2>탑 빌[br]{{{-2 Top Ville[br]1976}}}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하이 탑[br]{{{-2 High Top}}}|| ||세가 빌[br]{{{-2 Sega Ville}}}|| ||<|2>투트 시[br]{{{-2 Toute Cy[br]1979}}}||테니손[br]{{{-2 Tennyson}}}|| ||아델 투미뇽[br]{{{-2 Adele Toumignon}}}|| ||<-3>* -|| == 생애 == 영국과 프랑스에서 활동한 억만장자이자 정치인인 제임스 골드스미스에 의해 배합되어 아일랜드의 목장에서 생산되었다. 몬쥬라는 이름 역시 제임스 골드스미스가 샤토 드 몬쥬에서 따서 지었다. 그러나 제임스 골드스미스는 몬쥬가 레이스를 뛰기도 전인 1997년에 사망했고, 이후 몬쥬의 소유권은 Tsega Ltd와 쿨모어 스터드[* 유럽 경마계를 지배하는 경주마 생산 그룹. 일본 내에서 샤다이 그룹이 갖는 것과 비슷한 독과점적인 위상을 유럽에서 수십년째 가지고 있는 데다가 미국까지 영향력을 끼치면서, 말 그대로 세계 서러브레드 산업을 선도하는 그룹 중 하나이다. 이 그룹 소속의 유명 종마로는 '''[[노던 댄서]]'''와 '''새들러스 웰즈'''가 있다.]가 나누어 갖게 된다. || [youtube(tFDsBBNGqoU)] || || 1999년 [[개선문상]] 영상 || 2세 시즌에는 데뷔전과 오픈급 경기인 Prix Isonomy에서 승리했고, 3세 시즌인 1999년에 본격적으로 두각을 드러내어 프랑스 더비(조케 클뤼브 상)와 아일랜드 더비를 제패하고 [[개선문상]]에 출전하여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를 반마신차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지는 [[재팬 컵]]에도 출전하지만 4착으로 기대 이하의 성적을 내고 [[스페셜 위크]]에게 우승을 내준다.[* 개선문상과 재팬 컵은 시기가 상당히 가깝고 둘 다 꽤 긴 거리인 2400m 경기이며 지구 반대편이나 다름없는 거리 때문에 말에게 부담을 크게 주는 일정이라, 일본에서 종마 생활을 할 예정이 있었던 것도 아닌 몬쥬가 굳이 재팬 컵을 뛴 이유가 무엇인지는 아직까지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이렇게 무리해서 와줬다는 인식이 있어서 일본 경마팬들에게 몬쥬는 이미지가 좋은 편.] 비록 마지막 일정인 재팬 컵에서 약간 체면을 구기긴 했지만 그래도 화려한 클래식 시즌을 보낸 만큼, 몬쥬는 유럽의 연도대표마라 할 수 있는 카르티에상에서 최우수 3세 수말 부문을 수상한다. || [youtube(cfQ2PUw3010)] || || 2000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영상 || 4세 시즌에도 태터솔스 골드 컵, 생클루 대상,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등을 우승하며 좋은 커리어를 쌓고 은퇴한 뒤 쿨모어 스터드에서 종마 생활을 시작했다. 자마 허리케인 런이 2005년 개선문상을 우승하며 부자 개선문상 우승의 쾌거를 이룩하는 것은 물론 손녀인 [[트레브]]가 개선문상에서 2회 연속 우승(2013, 2014)을 거두는 등, 몬쥬 자신의 주특기였던 2400m 전후의 이른바 '클래식 디스턴스'[* 2400m(12펄롱)는 각국 더비 레이스 및 주요 국제대회([[재팬 컵]], [[개선문상]], [[브리더스컵]] 터프 등)의 경주거리이다.]에서 활약하는 자마들을 다수 배출하며 종마로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단 종마 생활 후반기에는 같은 쿨모어 스터드 소속에 같은 아비를 둔 종마 [[갈릴레오(말)|갈릴레오]]에 비해 선호도가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는데, 몬쥬가 딱히 자식농사를 망친 것은 아니지만 갈릴레오가 [[프랑켈]][* 유럽의 마일 전선에서 14전 14승, G1 10승에 2위와의 착차가 평균 5마신이 넘는 압도적인 성적을 바탕으로 국제 레이팅 1위와 타임폼 레이팅 1위를 모조리 접수한 경주마. 마일러지만 중거리에 해당하는 2000m에서도 그 실력을 증명했다. 비록 2400m의 클래식 디스턴스를 뛰지 않았다는 커리어상의 약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강의 경주마를 꼽으라면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 수준의 강자.]이라는 초대박을 내버리는 바람에 격차가 좀 벌어졌다. 종마 생활을 이어나가던 중 2012년 3월 29일 패혈증으로 인한 합병증이 원인이 되어 죽었다. == 여담 == * Montjeu의 원래 옳은 표기는 "몽죄"지만, 한국에서는 일본 표기인 モンジュー의 영향을 받아 몬쥬로 알려지게 되었다. * 중전차라는 이명이 있을 정도로 중마장에 엄청나게 강한 모습을 보였다. === [[일본 경마]]와의 관계 === 일본의 경주마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와 [[스페셜 위크]]와 각각 붙어 본 적이 있다. 유럽으로 원정온 엘 콘도르 파사를 개선문상에서 꺾고 우승했다. 이후 [[재팬 컵]]에도 출주했는데 원정으로 컨디션이 저하된 상태에서 4착으로 패배했다. 이 당시 재팬 컵에 출전한 일본 국내산마 스페셜 위크는 몬쥬를 꺾고 우승하자 당시 일본 내에서는 이를 치하하며 일본 총대장이란 별명을 얻게 됐다. 그렇다고 일본 경마팬들이 몬쥬를 적대시했던 것은 아니고 오히려 무리한 일정을 소화해가며 재팬 컵에 출전한 것 자체를 고맙게 여기는 여론이 많았다. 2010년대부터 일본 경마계에 [[선데이 사일런스]]계가 포화 상태에 이르는 바람에 샤다이를 중심으로 마침 유럽 경마계에서 포화 상태에 이른 새들러스 웰즈계를 물색하면서 일본 경마계와 인연이 깊은 몬쥬-모티베이터 산구 암말들을 일본으로 들여오기 시작했고, [[판탈라사(말)|판탈라사]]([[로드 카날로아]] 산구), [[타이틀홀더]]([[두라멘테]] 산구), [[솔 오리엔스]]([[키타산 블랙]] 산구) 등의 자마들이 G1에서 활약하면서 성과를 내고 있다. 몬쥬의 자마 중 사라 링크스(Sarah Lynx)라는 암말이 있는데, 2011년 재팬 컵에 출주했지만 11착으로 대패했다. 그리고 이 경기의 승자는 다름아닌 스페셜 위크의 자마이며 최초 부녀 재팬 컵 제패에 성공한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10월에 열리는 국제 대회(개선문상/캐나다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후 11월 [[재팬 컵]]에 출주하는 무리한 스케쥴로 컨디션을 망치고 패배했다는 점에서 아버지들의 관계를 빼다 박았다. 한편 손녀인 [[트레브]]는 2013년 개선문상에서 당대 일본 최강마였던 [[오르페브르]]를 2착으로 밀어내고 승리했으며 그 다음 해에도 [[하프 스타]], [[저스터웨이]], [[골드 쉽]] 등의 일본 경주마들을 상대로 승리하여 대를 이어 일본의 개선문상 도전을 좌절시키기도 했다. 그 외에 외손자인 판탈라사(말)는 2022년 [[두바이 터프]]에서 명승부 끝에 공동우승을 기록하였다. 그에 그치지 않고 이듬해 [[사우디 컵]]에서 우승하여 단숨에 일본 역사상 3번째로 상금을 많이 획득한 말이 되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는 IP 출범 초기에는 라이선스 문제 때문에 직접적으로 등장하진 않지만, 1기 애니메이션에서 해당 말에서 모티브를 얻은 [[브라예]]라는 우마무스메가 등장한다. 게임 1주년 이후 나온 메인 스토리 황금세대 '전편'에서는 라이센스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몬쥬라는 본명이 그대로 나왔고, 후편에서는 브라예와 다른 새로운 디자인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자세한 건 [[몬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문서를 참고.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odds[* 서양권에서 사용하는 배당 표기 값이다. 한국/일본에서 사용하는 배당율과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br](배당)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1998년 {{{-1 (2세)}}} || || 9.18 || 샹티이 || 라마니게트상 || 조건전 || 잔디 1600m || 31/10 || 2 || '''1착''' ||<|2> 캐시 아스무센 || (카미카릴) || || 11.7 || [[롱샹 경마장|롱샹]] || 아이소노미상 || L || 잔디 1800m || 1/2 || 1 || '''1착''' || (스파둔) || ||<-10> 1999년 {{{-1 (3세)}}} || || 4.25 || 롱샹 || 그레퓔상 || G2 || 잔디 2100m || 6/4 || 1 || '''1착''' ||<|4> 캐시 아스무센 || (센다와르)[*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프랑스의 경주마. 풀 데세 드풀랭(프랑스 2000기니) 등 G1 4승을 달성했다.] || || 5.16 || 롱샹 || 뤼팽상 || '''G1''' || 잔디 2100m || 1/10 || 1 || {{{#blue 2착}}} || 그라시오소 || || 6.6 || 샹티이 || '''조케 클뤼브상 (프랑스 더비)''' || '''G1''' || 잔디 2400m || 7/5 || 1 || '''1착''' || (노웨어 투 엑시트) || || 6.27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커러 || '''아이리시 더비''' || '''G1''' || 잔디 12f[*B 약 2414m] || 13/8 || 1 || '''1착''' || (달리아푸르)[* 아일랜드에서 생산된 영국/홍콩의 경주마. 2000년 코로네이션 컵, [[홍콩 바즈]] 우승마이다.] || || 9.12 || 롱샹 || 니엘상 || G2 || 잔디 2400m || 1/10 || 1 || '''1착''' ||<|3> 마이클 키네인 || (비에나마도)[* 미국의 경주마. 미국 G1 3승을 달성했다.] || || 10.3 || 롱샹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3/2 || 1 || '''1착''' || ([[엘 콘도르 파사(말)|엘 콘도르 파사]]) || || 11.28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5px]]]] [[도쿄 경마장|도쿄]] || [[재팬 컵]] || '''GI''' || 잔디 2400m || (2.7) || 1 || {{{#000 4착}}} || [[스페셜 위크]] || ||<-10> 2000년 {{{-1 (4세)}}} || || 5.28 ||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커러 || '''태터솔스 골드 컵''' || '''G1''' || 잔디 10.1/2f[* 약 2112m] || 1/3 || 1 || '''1착''' || 마이클 키네인 || (그릭 댄스) || || 7.2 || 생클루 || '''생클루 대상''' || '''G1''' || 잔디 2400m || 1/5 || 1 || '''1착''' || 캐시 아스무센 || (데어링 미스) || || 7.29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애스컷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2f[*B] || 1/3 || 1 || '''1착''' ||<|5> 마이클 키네인 || ([[판타스틱 라이트]]) || || 9.10 || 롱샹 || 푸아상 || G2 || 잔디 2400m || 1/10 || 1 || '''{{{#red 1착}}}''' || (크리용) || || 10.1 || 롱샹 || [[개선문상]] || '''G1''' || 잔디 2400m || 4/5 || 1 || {{{#000 4착}}} || 신다[* 아일랜드의 경주마. 2000년에 영국 더비를 우승하고 아일랜드 더비에서 '''9마신차'''로 압승을 거둔 2000년도 유럽 최우수 3세마. 통산 G1 4승.] || || 10.14 ||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25px]]]] 뉴마켓 ||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0f[* 약 2012m] || 10/11 || 1 || {{{#blue 2착}}} || 칼라니시[* 아일랜드 생산인 영국 경주마. 2000년 퀸 앤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 || || 11.4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처칠 다운스]] || [[브리더스컵]] 터프 || '''GI''' || 잔디 12f[*B] || 16/5 || 1 || {{{#000 7착}}} || 칼라니시 ||}}} [include(틀:조케 클뤼브상,grade=G1)] [include(틀:아이리시 더비,grade=G1)] [include(틀:개선문상,grade=G1)] [include(틀:생클루 대상,grade=G1)] [include(틀: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rade=G1)] ---- [include(틀:니엘상,grade=G2)] [include(틀:푸아상,grade=G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