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몬스터 헌터 시리즈]][[분류:2025년 PS5·XSX 게임]][[분류:2025년 Windows 게임]][[분류:공개 전 정보(게임)]] [include(틀:몬스터 헌터 시리즈)] ||
<-2> '''{{{+1 몬스터 헌터 와일즈}}}'''[* 한국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Dungeons & Dragons), [[리그 오브 레전드]](League of Legends), [[아우터 와일드]](Outer Wilds)처럼 외국어를 옮길 때 복수 표현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으나 본작은 복수 표현을 생략하지 않았다.][br]モンスターハンターワイルズ[br]Monster Hunter Wild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몬헌 와일즈.png|width=100%]]}}} || || '''개발''' ||<|2>[[캡콤|CAPCOM]] || || '''유통''' || || '''플랫폼''' ||[[PlayStation 5|PS5]] | [[Xbox Series X\|S|XBX\|S]] | [[Microsoft Windows|Windows]] || || '''ESD''' ||[[PlayStation Network|PSN]] | [[Microsoft Store|MS Store]] | [[Steam]] || || '''장르''' ||[[헌팅 액션]] || || '''출시''' ||2025년 예정 || || '''엔진''' ||[[RE 엔진]] || ||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 || '''심의 등급''' || || || '''해외 등급''' || || || '''공식 사이트''' ||[[https://www.monsterhunter.com/wilds/k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MH_Wilds,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5년에 발매하는 [[몬스터 헌터 시리즈]] 20주년 기념작. == 발매 전 정보 == |[youtube(uJfaB4Dmkys)]|
발표 트레일러 || 2023년 12월 8일 [[더 게임 어워드 2023]]에서 첫 공개되었으며, 2025년 PS5, Xbox Series X|S, [[Steam]]으로 동시 발매된다. 같은 날 공개된 [[츠지모토 료조]]의 [[https://youtu.be/6Lu4tEc5_6c|인터뷰]]에서는 '대자연과 그곳에 사는 생물들'의 새로운 표현을 기대해달라고 하였다. 또한, 새로운 정보는 2024년 여름에 공개 될 예정이다. * 신규 필드 모래바람에 의해 형성된 '버섯바위'가 많은 사막 지대와 [[세렝게티]] 초원과 같은 사바나 기후의 초원 지대, 그리고 고리와 같은 형상의 거대한 바위 구조물과 번개에 의해 형성된 섬전암[* '''섬전암'''(閃電巖, Fulgurite)은 낙뢰에 의한 열로 유리화가 된 광물을 말한다. 트레일러 영상에서 라이드 몬스터가 연속 점프로 돌파하는 곳이 섬전암으로 이루어진 바위로, 현실에서는 불가능할 정도로 거대한 크기의 섬전암으로 지형이 형성되어있다.]이 있는 암석 지대로 구성되었다. 모래폭풍이나 낙뢰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며, 이 때문인지 필드 곳곳에 인공적으로 보이는 기다란 [[피뢰침]]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환경에 맞춰 진화한 생물들도 존재한다. * 신규 소형 몬스터 3종 [[파일:소형몹1+환경생물1.png|width=400]][[파일:소형1 번개.png|width=400]] * 암수 구분이 있는 [[초식종]] 몬스터 수컷 개체는 등에 피뢰침 역할을 하는 가시가 있으며, 이 가시는 번개에 맞으면 푸르게 빛난다. 또한, 월드 전에는 소형 몬스터가 한 구역에 3~4마리가 드문드문 배치됐었고, 월드에서도 5~6마리 정도가 돌아다니는 정도에 불과했던 것에 비하면 해당 소형 몬스터는 수십마리 규모의 군집을 이루고 있다. [[파일:소형2+소형3.png|width=400]] * [[케스토돈]]과 유사한 초식종 몬스터 머리 위로 머리깃(프릴)이 있지만 뿔은 없는 것이 [[프로토케라톱스]]와 유사하다. * 새로운 [[익룡종]] 몬스터 * 신규 대형 몬스터 1종, 기존 대형 몬스터 1종 [[파일:중형떼.png|width=400]][[파일:소형떼+리오레우스.png|width=400]] * 곰골격 [[아수종]] 몬스터 황토빛 기다란 털로 뒤덮인 몸에 생쥐처럼 길고 얄쌍한 꼬리를 가진 몬스터. 모티브는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의 바울레(Baoulé) 부족의 가면극 'Goli'로 추정된다.[* 가면극 Goli에는 형태에 따라 원반형의 'kple kple', 영양+악어형의 'goli glen', 양뿔이 달린 'kpan pre', 인간형의 'kpan'으로 총 4종류의 가면이 존재하나, 해당 몬스터와 유사한 형태의 가면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굴의 형태는 별도의 동물이 모티브가 된 것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Goli에 사용되는 가면의 색은 성별을 뜻하며, 빨간색은 남성, 검은색은 여성이다. 이것까지 고증이 되었다면, 트레일러 영상에 등장하는 개체는 전부 수컷이다.] 무리를 이루고 헌터에게 달려들고 있어서 중형 몬스터[* [[도스쟈그라스]]나 [[아오아시라]] 같은 몬스터가 중형 몬스터에 속한다. 도감 등에서는 대형 몬스터로 분류하나, 전투 BGM이 다르거나 하는 식으로 내부적으로는 구분되고 있다.]의 가능성도 있다. * '''화룡''' [[리오레우스]] 날개 뼈가 3개로, 월드에서부터 등장한 신대륙 리오레우스이다.[* 구작의 리오레우스는 날개 뼈가 2개였고, 월드의 설정집에서는 3개의 날개 뼈는 신대륙 개체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현대륙이 배경인 라이즈/선브레이크에서도 이 신대륙 모델링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월드부터의 디자인 변경을 단순히 신대륙 개체라고 표현했을 가능성이 크다.] * 신규 환경생물 2종 [[파일:소형몹1+환경생물1.png|width=400]][[파일:환경생물2.png|width=400]] * 월드의 뜸부기처럼 [[초식종]] 몬스터의 등에 올라타 부리를 벌리고 있는 환경생물[* 수컷 초식종 위에도 올라타있기는 하나, 벌린 부리를 피뢰침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암컷 초식종을 수컷처럼 위장하는 역할을 하는 공생 관계의 생물로 추측된다.([[https://gall.dcinside.com/capcommh/161188|#]])] * [[조룡종]]처럼 생긴 작은 환경생물 * 새로운 라이드 몬스터 라이즈/선브레이크의 [[가루크]]를 계승하는 새로운 라이드 몬스터가 공개되었다. [[파일:라이드 몬스터 활공.png|width=400]][[파일:라이드몬스터.png|width=400]] * 부리와 깃털을 가지고 있어 [[조룡종]] 몬스터로 추정되며, 기본적으로는 2족 보행을 하지만 빠른 속도로 질주하거나 복잡한 돌기둥 위를 연속으로 도약할 때와 같이 보다 힘이 필요한 경우 4족 보행으로 전환한다. 앞다리를 펼쳐 날개로 만들어 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 안장 뒤쪽에 텐트로 추정되는 짐이 있으며, 측면의 큰 주머니에는 보우건이 실려있다.[* 때문에 간이 캠프나 무기 스위칭과 같은 기능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기후 시스템 강화(모래 폭풍, 낙뢰) 고룡의 출현 여부나 환경생물의 출현 조건 정도로만 활용되었던 월드의 기후 시스템과 달리 헌터에게 직접적으로 위협이 되거나, 몬스터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 [[슬링어]]와 안내 벌레 사용하는 모습이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헌터의 팔에 슬링어, 허리에 안내 벌레 케이스가 달려 있다.[* 둘 다 월드와 아이스본에서 사용하던 것과 비교하면 크기가 작아졌고 형태 또한 조금 다르다.] 때문에 본작의 배경은 아이스본 이후의 신대륙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에서 장군이 슬링어 전파에 대해 이야기했고, [[몬스터헌터 스토리즈 2 파멸의 날개]]에서는 신대륙과 관련 없는 헌터들이 슬링어를 사용하며 라이더가 안내 벌레를 사용하는 등의 모습을 묘사했기 때문에 다른 가능성 또한 열려 있다. == 시스템 요구 사항 == == 스토리 == == 시스템 == == 등장인물 == == 등장 몬스터 == ||
|| 소형 || 대형 || 합계 || || 기존 || || 1 || || || 신규 || 3 || 1 || || || 합계 || || || || === 소형 몬스터 === === 대형 몬스터 === [include(틀:몬스터 헌터 와일즈/대형 몬스터)] * [[비룡종]] * '''화룡''' [[리오레우스]] == [[몬스터 헌터 시리즈/지형|필드]] == == 평가 == == 흥행 == == 기타 == * 로고의 [[몬스터 헌터: 월드#s-1.1|용 머리 수 전통]]은 유지되었다. 와일즈의 로고에 있는 용은 총 6마리이며, 가운데의 용은 숫자 6의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이 용들이 월드에서 나온 [[다섯 용의 이야기]]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https://gall.dcinside.com/capcommh/162518|#]]) * 본 작품의 공식 약칭 및 SNS에서의 해시태그는 「몬헌 와일즈(モンハンワイルズ)」 「MHWs」 「MHWilds」이다. [[몬스터 헌터: 월드]]의 약칭이 MHW에 [[몬스터 헌터 월드: 아이스본]]의 약칭이 MHWI였기 때문에, 구분을 위해 s를 붙였다. 공식적으로 '어느 쪽을 사용해도 OK'라고 한다.[[https://x.com/MH_Wilds/status/1732978651870974198|#참고]] * [[몬스터 헌터: 월드]]에서는 그래픽을 일신했지만 몬스터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했고, [[몬스터 헌터 라이즈]]에서는 월드에 나오지 않았던 해룡종 등의 골격을 부활시켰던만큼, 팬덤에서는 본작에서 다양한 종류의 몬스터가 등장하길 기대하고 있다. 또한, 개발 중이라서 그래픽이 완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월드의 그래픽을 뛰어넘었다는 호평을 받고 있다.([[https://gall.dcinside.com/capcommh/16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