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몬스터 헌터 시리즈]][[분류:2019년 서비스 종료]] [include(틀:몬스터 헌터 시리즈)] ||
<-2> '''{{{+1 몬스터 헌터 온라인}}}'''[br]怪物猎人 Online[br]Monster Hunter Onlin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ogo-MHO.png|width=100%]]}}} || || '''개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캡콤|[[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height=20]]]]}}}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캡콤|[[파일:캡콤 로고.svg|height=20]]]]}}} || || '''유통'''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캡콤|[[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height=20]]]]}}}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000 [[Microsoft Windows|[[파일:Windows 로고.svg|height=16]]]]}}}}}} || || '''장르''' ||[[헌팅 액션]] || || '''출시''' ||'''PC'''[br]2013년 4월 18일 || || '''엔진''' ||[[크라이엔진|[[파일:크라이엔진 로고.svg|height=64]]]] || || '''관련 사이트''' ||[[http://mho.qq.com/|홈페이지(중국)]](폐쇄) || [목차] [clearfix]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enm26pTjXk)]}}} || 중국어 정식 명칭은 '''怪物猎人 Online(Guàiwulièrén Online, 괴물렵인 Online)'''. [[2013년]] [[4월 18일]] UP+QQ 게임즈 발표회에서 공개된, 중국 게임사 [[텐센트]]가 [[캡콤]]의 정식 라이센스를 얻어 프론티어 개발진과 합작으로 만든 몬스터 헌터 시리즈. 게임 자체는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Z]]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실제로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가 다수 참전하고 효과음이나 BGM도 다수 차용되었다. 하지만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와는 엄연히 별개의 게임이다. 게임 엔진은 [[크라이엔진|크라이엔진 3]]을 사용하며, 2013년 6월 중 CBT가 진행되었다. 공개 당시에는 북미에 서비스할 계획이 있었다고 밝혔으나, 이후 '''북미와 유럽에서 서비스 할 생각은 없다'''라고 입장을 밝혔으며, 몬스터 헌터 온라인은 오직 중국에서만 서비스 한다고 했다.[[https://vignette.wikia.nocookie.net/monsterhunter/images/f/f2/MHOL-Crytek_Press_Release.png/revision/latest?cb=20140504235412|#]] [[PS Vita]]가 발매되고 얼마 후, 중국 쪽 소식통에서 VITA판 몬헌이라며 매우 고해상도의 몬헌 스크린샷이 유출된 적이 있었는데, 아마도 이 작품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해당 게임은 VITA로 발매되지 않았다. == 반응 == * [[http://jin115.com/archives/52083939.html|중국판 몬헌온에 대한 일본인들의 반응]] 드디어 좋은 그래픽의 몬헌을 할 수 있다며 기뻐하는 헌터들의 목소리가 많은 편. 다만 타격 시 효과나 사운드는 원래보다 못하다는 평인데, 중국이 게임물의 폭력적 표현에 대해 매우 엄격하게 규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일본 === 본고장인 일본의 경우는 니코동에 영상이 올라온 뒤로 반응이 제각각인데, 전체적으로 '''이게 일본에도 나온다면 당장 프론티어를 그만두겠다'''라는 의견이 매우 많다. 특히 태도의 내려찍기 모션이나 헤비보우건 리로드 등의 모션을 극찬하는 의견이 많았고, 이후 발표회 영상에서 보여준 영상 실기에서 키린셋을 입은 여성 거너의 모습에 한번 더 열광했다. 이 반면에 '''기존 유저를 배신하다니 역시 캡콤 퀄리티'''라든가 '''모든 건 닌텐도 탓이다'''라는 말도 나왔다. 하지만 오노 프로듀서가 '''몬스터 헌터 온라인의 일본 서비스는 지금도, 앞으로도 계획이 없을 것'''임을 밝혀서 많은 유저들의 아쉬움을 샀다. 다만 2018년, 캡콤 본가에서 [[몬스터 헌터: 월드]]를 발매하면서 더 이상 좋은 그래픽은 몬헌 온라인 고유의 특징으로 취급할 수 없게 되었고 일본 유저들도 자연스래 관심을 월드 쪽으로 돌리게 되었다. === 한국 === 일단 몬헌이 메이저하지는 않은 한국이기에 [[몬스터 헌터 4]]의 한글화 정발 소식에 맞춰 [[츠지모토 료조]]가 '''한국까지 와서''' 몬헌 붐을 일으키고 싶다는 공식 영상을 남겼는데, 그 이후 온라인 발표 영상이 나오면서 한국의 헌터들도 멘붕한 건 마찬가지였다. 발표회 실기 영상이 퍼지진 않았기에 티저 영상만 본 사람들이 많았지만, 대체적인 평가는 본고장 일본의 유저들과 그리 다르지 않았다. '''크라이엔진 3로 몬헌이라니 아이고 맙소사'''라는 의견이 대다수. 더불어 프론티어가 한국서 철수했던 건도 있고 해서 과연 한국에서도 서비스가 될 것인지가 주목받고 있는 중. 현재 일부 한국 유저들도 중국어라는 언어의 장벽을 극복하고, 게임을 즐기고 있다. 하지만 매우 심한 핑폭으로 고생한다고..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https://cafe.naver.com/mhokor|중국 몬스터 헌터 온라인 네이버 카페]] 이곳에서 게임 플레이할때 필요한 정보들을 구할 수 있다. 메인퀘스트 번역의 정보는 없지만 진행에는 문제가 없다. 각종 팁이나 번역된 자료들은 플레이어가 자원해서 올리기 때문에, 필요한 자료를 찾고싶으면 과거 글에서 검색을 해야하는등 신규유저는 불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편한 영문 패치를 기대하는 유저들도 많았다. 한때 영문 패치가 막혔으나 다시 풀렸다. == 베타 테스트 == [[2014년]] [[6월 18일]] 중국에서 베타중이며, 베타키가 있다면 플레이할 수 있다. 기본 베이스는 프론티어와 마찬가지로 도스, 즉 세컨드 시즌을 바탕으로 한 것 같다. 트라이와 4만큼 몬스터의 움직임이 부드럽지 않으며 단차 공격또한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4시즌에서 볼 수 있는 지형의 붕괴는 특유의 그래픽 덕에 훨씬 큰 박력을 자랑한다. 프론티어와 마찬가지로 몬헌 온라인만의 특수한 몬스터들이 있다. 12월 17일 중국에서 오픈베타 시작하였다. == 서비스 종료 == 2019년 4월 9일 [[https://mho.qq.com/webplat/info/news_version3/5499/5500/5501/5503/m4028/201904/802843.shtml|서비스 종료 공지]]가 발표되었다. 신규 가입과 다운로드가 차단되고, 2019년 12월 31일 오전 10시 서비스가 종료된다. 사유는 캡콤과의 계약 만료라고 한다. == 등장 몬스터 == ||
|| 소형 || 대형 || 합계 || || 메인 || 22 || 54 || 76 || || 프론티어 || 0 || 19 || 19 || || 온라인 || 0 || 32 || 32 || || 합계 || 22 || 105 || 127 || ※ [[히프노크]], [[볼가노스]]는 프론티어 오리지널로 계수. 중국은 [[표어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몬스터들의 이름이 전부 한자로 표기된다. '''화룡''' [[리오레우스]]처럼 한자 별명을 지닌 경우 해당 별명이 사용되며, [[도스람포스]]나 [[푸루푸루]]처럼 별명이 없는 몬스터의 경우 새로운 한자명이 추가되었다. 다만 도스 몬스터의 경우, 소형 몬스터도 한자 이름이 필요했기 때문에 도스 몬스터의 별명이 소형 몬스터의 이름이 되고, 도스 몬스터는 원래 별명에 왕(王) 등이 붙게 되었다. 또, 일본쪽에서는 [[고룡종]]은 룡(龍)으로 끝나고, 그 외의 용종은 룡(竜)으로 끝나는데, 간체자인 룡(龙)으로 통일되었다. 다만 홈페이지 등에서는 해외 유저들을 배려한 것인지 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영문명도 같이 기재하고 있다. === 소형 몬스터 === * [[수인종]] * '''백묘'''(白猫) [[아이루]] * '''흑묘'''(黑猫) [[메라루]] * '''차차수'''(茶茶普) [[차차브]] * [[초식종]] * '''초식룡'''(草食龙) [[아프토노스]] * '''갑각초식룡'''(甲壳草食龙) [[아프케로스]] * '''정령록'''(精灵鹿) [[켈비]] * '''향고저'''(香菇猪) [[모스(몬스터 헌터 시리즈)|모스]] * '''파파'''(波波) [[포포(몬스터 헌터 시리즈)|포포]] * '''설록'''(雪鹿) [[가우시카]] * [[갑충종]] * '''비갑충'''(飞甲虫) [[랑고스타]] * '''[[대뇌광충]]'''(大雷光虫) * [[조룡종]] * '''람속용'''(蓝速龙) [[람포스]] * '''황속용'''(黄速龙) [[게네포스]] * '''홍속용'''(红速龙) [[이오스(몬스터 헌터 시리즈)|이오스]] * '''백속용'''(白速龙) [[기아노스]] * [[아수종]] * '''야저'''(野猪) [[불팽고]] * '''도모수'''(桃毛兽) [[콩가]] * '''설사자'''(雪狮子) [[블랑고]] * [[어룡종]] * '''사룡'''(沙龙) [[가레오스]] * [[갑각종]] * '''소순해'''(小盾蟹) [[야오자미]] * '''소겸해'''(小镰蟹) [[가미자미]] * [[비룡종]] * '''익사룡'''(翼蛇龙) [[가브라스(몬스터 헌터 시리즈)|가브라스]][* 메인 시리즈는 [[몬스터 헌터 4]]에서 [[사룡종]]의 추가에 맞춰 사룡종으로 종족이 재분류되었지만, 몬스터 헌터 온라인은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를 기반으로 하다보니 여전히 비룡종으로 구분된다.] === 대형 몬스터 === * [[갑충종]] * '''전갑충'''(电甲虫) 라이테나 {{{-2 [신규]}}} * '''비갑충'''(绯甲虫) 라이테나 아종 {{{-2 [신규]}}} * [[조룡종]] * '''람속용왕'''(蓝速龙王) [[도스람포스]] * '''황속용왕'''(黄速龙王) [[도스게네포스]] * '''홍속용왕'''(红速龙王) [[도스이오스]] * '''백속용왕'''(白速龙王) [[도스기아노스]] * '''대괴조'''(大怪鸟) [[얀쿡크]] * '''청괴조'''(青怪鸟) [[얀쿡크 아종]] * '''독괴조'''(毒怪鸟) [[게리오스]] * '''자독조'''(紫毒鸟) [[게리오스 아종]] * '''흑랑조'''(黑狼鸟) [[얀가루루가]] * '''독이흑랑조'''(独耳黑狼鸟) [[상처입은 얀가루루가]] * '''면조'''(眠鸟) [[히프노크]] * '''은면조'''(银眠鸟) [[히프노크 희소종]] * '''금면조'''(金眠鸟) 히프노크 독행종 {{{-2 [신규]}}} * '''경뢰조'''(倾雷鸟) 파르노크 * '''사뢰조'''(沙雷鸟) 크레마인 {{{-2 [신규]}}} * '''빙뢰조'''(冰雷鸟) 크레마인 아종 {{{-2 [신규]}}} * [[아수종]] * '''야저왕'''(野猪王) [[도스팽고]] * '''도모수왕'''(桃毛兽王) [[바바콩가]] * '''금모수왕'''(金毛兽王) 바바콩가 독행종 {{{-2 [신규]}}} * '''설사자왕'''(雪狮子王) [[도도블랑고]] * '''염사자'''(炎狮子) 도도블랑고 독행종 {{{-2 [신규]}}} * '''금사자'''(金狮子) [[라잔]] * '''격앙금사자'''(激昂金狮子) [[격앙된 라잔]] * '''자향랑'''(雌响狼) 노노[[올가론]] * '''웅향랑'''(雄响狼) 카무[[올가론]] * '''하리수'''(河狸兽) 케세루벨 {{{-2 [신규]}}} * '''사리수'''(沙狸兽) 케세루벨 아종 {{{-2 [신규]}}} * '''전귀하리수'''(战鬼河狸兽) 케세루벨 특수개체 {{{-2 [신규]}}} * '''검극랑'''(剑极狼) 슬라이스마글 {{{-2 [신규]}}} * '''검찰랑'''(剑刹狼) 슬라이스마글 아종 {{{-2 [신규]}}} * [[어룡종]] * '''수룡'''(水龙) [[가노토토스]] * '''사룡왕'''(沙龙王) [[도스가레오스]] * '''용암룡'''(熔岩龙) [[볼가노스]] * [[갑각종]] * '''대명순해'''(大名盾蟹) [[다이묘자자미]] * '''규순해'''(葵盾蟹) 다이묘자자미 {{{-2 [신규]}}} * '''장군겸해'''(将军镰蟹) [[쇼군기자미]] * '''검호겸해'''(剑豪镰蟹) 쇼군기자미 특수개체 {{{-2 [신규]}}} * '''무겸해'''(武镰蟹) 쇼군기자미 독행종 {{{-2 [신규]}}} * '''채해'''(砦蟹) [[센가오렌]] * '''개암채해'''(铠岩砦蟹) 센가오렌 독행종 {{{-2 [신규]}}} * '''홍련채해'''(红莲砦蟹) 센가오렌 독행종 {{{-2 [신규]}}} * '''미정갈'''(尾晶蝎) [[아크라 바심]] * '''회정갈'''(灰晶蝎) [[아크라 제비아]] * '''다각해'''(多壳蟹) [[타이쿤자무자]] * '''귀수주'''(鬼狩蛛) 바엘리드 {{{-2 [신규]}}} * '''해수주'''(骇狩蛛) 바엘리드 아종 {{{-2 [신규]}}} * [[수룡종]] * '''공폭룡'''(恐暴龙) [[이블조]] * '''폭추룡'''(爆锤龙) [[우라간킨]] * '''쇄룡'''(碎龙) [[브라키디오스]] * '''영룡'''(狞龙) 아비올그 * '''빙영룡'''(冰狞龙) 기아올그 * '''겁룡'''(劫龙) 치에롱 {{{-2 [신규]}}} - 영어 명칭 X * [[아룡종]] * '''뇌랑룡'''(雷狼龙) [[진오우거]] * '''옥랑룡'''(狱狼龙) [[진오우거 아종]] * [[비룡종]] * '''자화룡'''(雌火龙) [[리오레이아]] * '''앵화룡'''(樱火龙) [[리오레이아 아종]] * '''금화룡'''(金火龙) [[리오레이아 희소종]] * '''열염여왕'''(烈焰女王) 리오레이아 특수개체 {{{-2 [신규]}}} * '''웅화룡'''(雄火龙) [[리오레우스]] * '''창화룡'''(苍火龙) [[리오레우스 아종]] * '''은화룡'''(银火龙) [[리오레우스 희소종]] * '''전룡'''(电龙) [[푸루푸루]] * '''홍전룡'''(红电龙) [[푸루푸루 아종]] * '''암룡'''(岩龙) [[바살모스]] * '''사암룡'''(沙岩龙) 바살모스 독행종 {{{-2 [신규]}}} * '''명암룡'''(晶岩龙) 바살모스 특수개체 {{{-2 [신규]}}} * '''개룡'''(铠龙) [[그라비모스]] * '''흑개룡'''(黑铠龙) [[그라비모스 아종]] * '''일각룡'''(一角龙) [[모노블로스]] * '''백일각룡'''(白一角龙) [[모노블로스 아종]] * '''단인일각룡'''(断刃一角龙) 모노블로스 특수개체 {{{-2 [신규]}}} * '''각룡'''(角龙) [[디아블로스]] * '''흑각룡'''(黑角龙) [[디아블로스 아종]] * '''굉룡'''(轰龙) [[티가렉스]] * '''염굉룡'''(炎轰龙) 티가렉스 독행종 {{{-2 [신규]}}} * '''패룡'''(霸龙) [[아캄토름]] * '''신룡'''(迅龙) [[나르가쿠르가]] * '''빙아룡'''(冰牙龙) [[벨리오로스]] * '''극룡'''(棘龙) [[에스피나스]] * '''극차룡'''(棘茶龙) [[에스피나스 아종]] * '''무뢰룡'''(舞雷龙) [[벨큐로스]] * '''명뢰룡'''(冥雷龙) 벨큐로스 아종 * '''탄룡'''(吞龙) 파리아푸리아 * '''빙호룡'''(冰狐龙) 듀라가우아 * '''만룡'''(蛮龙) 그렌제블 * '''흑천룡'''(黑穿龙) 메라기나스 * [[고룡종]] * '''기린'''(麒麟) [[키린]] * '''노산룡'''(老山龙) [[라오샨룽]] * '''강룡'''(钢龙) [[크샬다오라]] * '''수강룡'''(锈钢龙) [[녹슨 크샬다오라]] * '''하룡'''(霞龙) [[오나즈치]] * '''염비룡'''(炎妃龙) [[나나-테스카토리]] * '''염왕룡'''(炎王龙) [[테오-테스카토르]] * '''부악룡'''(浮岳龙) [[야마츠카미]] * '''남룡'''(岚龙) [[아마츠마가츠치]] * '''탄연룡'''(吞渊龙) 타르타로니스 {{{-2 [신규]}}} * '''요연룡'''(燎渊龙) 타르타로니스 {{{-2 [신규]}}} * '''황액룡'''(荒厄龙) 메피스토펠린 {{{-2 [신규]}}} * '''어오상황액룡'''(御五相荒厄龙) 메피스토펠린 특수개체 {{{-2 [신규]}}} * ??? * '''성룡'''(星龙) 에스트렐리안 {{{-2 [신규]}}} - 간판 몬스터 * '''화성룡'''(祸星龙) 에스트렐리안 아종 {{{-2 [신규]}}} * '''멸성룡'''(灭星龙) 에스트렐리안 희소종 {{{-2 [신규]}}} === 오리지널 몬스터 === 중국에서만 서비스된 게임인 만큼, 케세루벨을 제외하면 일본어 명칭이 없는 관계로 따로 기재된 영문명을 표기한다. ##==== Caeserber ==== ##==== Baelidae ==== ##==== Chramine ==== ==== Estrellian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HO-Estrellian_Render_001.png]] ||
[[파일:MHO-Estrellian_Icon.png|width=100]] ||이름: 에스트렐리안[br]영문: Estrellian[br]종별: ???[br][[이명]]: 성룡(星龙) || 몬스터 헌터 온라인의 간판 몬스터이자 새로운 몬스터. [[리오레우스]]가 "하늘의 제왕", [[리오레이아]]가 "땅의 여왕"이라면 이 쪽의 별명은 "지하세계의 왕자". 골격은 [[크샬다오라]] 등이 사용하는 도스고룡 골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여기에 [[진오우거]]를 적당히 섞어둔 듯한 패턴과 외모를 보인다. 하는 행동이나 외관은 크샬다오라 쪽을, 벌레를 이용해 공격하고 외관이 변신함에 따라 패턴이 조금씩 강화되며 대미지도 증가한다는 점은 진오우거와 거의 흡사하다. 진오우거가 뇌광충을 부리는 듯, 에스트렐리안도 '''별깃나비'''(星羽蝶)라고 부르는 나비처럼 생긴 곤충을 부리는데, 이 나비의 인분은 발화성질이 있어서 불속성을 띤다. 약점 속성은 물속성이다. 게임이 진행될 때마다 페이즈가 3단계로 변화한다. 1페이즈에는 별깃나비를 주변에 데리고 다니는 평범한 모습을 띠고 있으며 주변의 별깃나비들과 연계공격을 한다. 2페이즈가 되면 별깃나비들을 호출한 뒤 자신의 신체에 달라붙게 하여 마치 갑각처럼 만드는데 당연히 이 상태에서는 육질이 상승한다. 3페이즈가 되면 나비의 날개 비슷한 것이 등에 돋아나면서 불을 휘감는데 이때 전체적인 속도가 빨라진다. 공식적으로 몬스터 종족은 공개되지 않았다. [[고룡종]] 골격을 사용하지만 포획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고룡종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진오우거와 유사한 행동을 한다는 점에서 [[아룡종]]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결국 게임 서비스가 종료될 때까지 종족이 공개되지 않았다. 이명인 '''성룡'''(星龙)은 팬들의 투표로 정해진 것이다. 후보로 나온 이명 중에는 성각룡(星刻龙), 성비룡(星妃龙), 성명룡(星鸣龙), 명룡(冥龙), 옥명룡(狱冥龙), 명성룡(冥星龙), 유명룡(幽冥龙), 염명룡(焔冥龙) 등등이 있다. ##==== Tartaronis ==== ##==== Slicemargl ==== ##==== Lightenna ==== ##==== Merphistophel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