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목포시의 고등학교]][[분류:1944년 개교]][[분류:전라남도의 여자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전라남도 목포시의 고등학교)] [include(틀:4.19 혁명에 참여한 목포시 고등학교)] ||<-2> '''{{{#FFFFFF {{{+1 목포여자고등학교}}}[br]Mokpo Girl's High School[br]木浦女子高等學敎}}} ''' || ||<-2> [[파일:목포여고 휘장.png|width=100]] || ||<-2> [include(틀:지도, 장소= 목포여자고등학교, 너비=100%)] || || {{{#FFFFFF '''교훈''' }}} || '''어진 마음, 참된 모습 ''' || || {{{#FFFFFF '''개교''' }}} || [[1944년]] [[6월 1일]] || || {{{#FFFFFF '''유형''' }}} || [[일반계 고등학교]] || || {{{#FFFFFF '''성별''' }}} || [[여자고등학교]] || || {{{#FFFFFF '''설립 형태''' }}} || [[공립]] || || {{{#FFFFFF '''교장''' }}} || 제25대 문은희 || || {{{#FFFFFF '''교감''' }}} || 박춘남 || || {{{#FFFFFF '''교직원''' }}} || 60명[*기준 2023년 3월 1일] || || {{{#FFFFFF '''학생''' }}} || 484명[*기준] || || {{{#FFFFFF '''배출 졸업생''' }}} || 22,594명[*기준2 2023년 2월 8일] || || {{{#FFFFFF '''교화''' }}} || [[동백꽃]] || || {{{#FFFFFF '''교목''' }}} || [[동백나무]] || || {{{#FFFFFF '''주소''' }}} || [[전라남도]] [[목포시]] [[청호로(목포)|청호로]] 34 ([[대성동(목포)|대성동]] 40-1) || || {{{#FFFFFF '''관할교육청''' }}} || [[전라남도교육청]] || [목차] [clearfix] == 개요 == 목포여자고등학교는 [[전라남도]] [[목포시]]에 위치한 공립 여자고등학교이다. == 학교 연혁 == 목포여자고등학교는 [[1944년]] 3월에 목포공립여자상업실수학교라는 교명으로 3년의 교육과정을 편성 및 시행할 것으로 예결하고 [[조선총독부]] 당국으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아, 그 해 6월 1일자로 개교하였다. 당시에도 그렇고 지금도 그렇지만 [[목포시]] 자체가 땅이 없어서(...) 지금의 목포여자중학교의 전신인 목포공립고등여학교에서 개교하였고, 7월에 [[신사참배]] 거부로 인하여 폐교 처리된, 정명여학교(현. 목포정명여자중학교의 전신)자리에서 업무를 개시한 것이, 첫 교사(校舍)이다. 광복 직후인, [[1946년]] 2월 6일자로 [[인문계]]로 전환을 교육당국으로부터 승인 받아, 목포정명공립여자중학교로 승격 되었으나, [[1947년]]에 기존에 폐교되었던 목포정명여학교가 재개교하자, 개명 요구를 받아 목포항도공립여자중학교로 변경하였다. 그해 9월부터, 정명학교에서의 셋방살이를 마치고 지금의 목포역 근처인 [[호남동]] 1-10번지로 이전하였는데 이곳이 2번째 교사이다. [[1951년]]에는 정부의 중등교육기관 확립 정책에 의하여 당시 목포시 소재의 [[목상고등학교|목포공립상업중학교]]와 더불어 고등학교로 변경됨에 따라, 목포여자고등학교로 개칭되어 지금의 교명을 받게 되었다.[* 목포공립상업중학교는 1953년에 목포상업고등학교로 변경되고, 목포여고는 이보다 빨리 변경되었다.] 이 때 즈음에, 호남동 교사에서 지금의 [[목포고등학교]] 자리인 [[용당동(목포)|용당동]]교사로 이전하였다. [[1955년]] 6월에 목포여자고등학교 병설 중앙여자중학교를 개교시켜 병설로 운영되었다가, [[1963년]]에 [[목포고등학교]]와 교사를 맞바꾸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대성동(목포)|대성동]] 40번지로 병설 중학교와 함께 이전되는데, 이곳이 바로 현재의 교사이다.[* 당시 학생들은 직접 책걸상을 들고 걸어서 새 교사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1970년]]의 목포중앙여자중학교 분리 후에는 별다른 큰 변화없이, 인문계 학교로서 유지중에 있다.[* 1995년 목포중앙여중은 하당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고 목포여고가 중앙여중이 떠난 건물에 급식실을 지어 사용하다가 안전 문제로 건물을 해체하고 그 자리에 체육관을 지었다.]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났을 때에는, 학생들이 [[목포상업고등학교]]와 [[목포고등학교]]와의 연합시위를 동참하는 등. 불의에 항거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보아라! 형제들아! 보아라! 이승만 정권아! >정부의 무차비한 총격과 폭력사태로 인하여 우리의 아들이 피를 흘리며 고통에서 몸부림 쳤다. >산천은 통곡했으며, 온 세상은 피로 물들었다. >나가자! 싸우자! 우리가 이처럼 행동하는 것은 자유를 위한 몸부림이자, 민주를 향한 정의로운 투쟁이다. >...(중략) >우리는 함께 싸우며 나갈 것이다. 역사는 우리를 낙엽처럼 기억하겠지만, 우리는 함께 끝까지 나설 것이다. >민주주의여 영원하라! 대한민국 만세! > 목포상업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목포여자고등학교 학생 천 여명 일동 (1960년 4월) === 역대 교장 === ||<-7> '''{{{+5 [[목포여자고등학교 교장|{{{#white 목포여자고등학교 교장}}}]]}}}'''[br]'''{{{+3 [[The Principal of Mokpo Girl's High School|{{{#white The Principal of Mokpo Girl's High School}}}]]}}}''' || ||<-7> [[파일:목포여고 휘장.png|width=15%]] || || '''대수''' || '''이름''' || '''취임''' || '''퇴임''' || '''학력''' || '''이력''' || '''비고''' || ||<-7> '''목포공립여자상업실수학교장''' || || '''1대''' || '''야마다 타케조로'''[br],,''山田竹三郞'',, || 1944년 6월 1일 || 1945년 3월 30일 || || [[청주고등학교|청주고등보통학교]] 교사 [br] [[부산고등학교|부산공립중학교]] 교사 || || || '''2대''' || '''이종국'''[br],,''Jong-guk Rhee'',, || 1945년 3월 31일 || 1946년 2월 6일 || [[서울대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 [[타이완]] 푸런상업학교장 || || ||<-7> '''목포정명공립여자중학교장''' || || '''2대''' || '''이종국'''[br],,''Jong-guk Rhee'',, || 1946년 2월 6일 || 1947년 7월 19일 || [[서울대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 졸업 || [[타이완]] 푸런상업학교장 || || || '''3대''' || '''조희관'''[br],,''Hee-gwan Cho'',, || 1947년 7월 19일 || 1947년 8월 31일 || [[연세대학교|연희전문학교]] 문과 졸업 || [[광주교육대학교|광주사범학교]] 교사, [br] [[목상고등학교|목포공립상업학교]] 교감 || || ||<-7> '''목포항도공립여자중학교장''' || || '''3대''' || '''조희관'''[br],,''Hee-gwan Cho'',, || 1947년 9월 1일 || 1950년 11월 15일 || [[연세대학교|연희전문학교]] 문과 졸업 || [[광주교육대학교|광주사범학교]] 교사, [br] [[목상고등학교|목포공립상업학교]] 교감 || || || '''4대''' || '''이상곤'''[br],,''Sang-gon Lee'',, || 1950년 11월 15일 || 1951년 6월 24일 || || 월산심상소학교 교사, [br] [[광주여자고등학교]] 교감 || || || '''5대''' || '''안길환'''[br],,''Gil-hwan Ahn'',, || 1951년 6월 26일 || 1951년 8월 31일 || 일본체육전문학교(현. 일본체육대학) 졸업 || 광주욱고등공립학교 교사, [br] 목포공립여자중학교 교감 || || ||<-7> '''목포여자고등학교장''' || || '''5대''' || '''안길환'''[br],,''Gil-hwan Ahn'',, || 1951년 9월 1일 || 1952년 8월 8일 || 일본체육전문학교(현. 일본체육대학) 졸업 || 광주욱고등공립학교 교사, [br] 목포공립여자중학교 교감 || || || '''6대''' || '''김영주'''[br],,''Young-ju Kim'',, || 1952년 8월 8일 || 1955년 11월 10일 || [[서울대학교|경성고등상업학교]] 졸업 || 평양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 교사, [br] [[목상고등학교|목포상업고등학교]] 교장 || || || '''7대''' || '''박재각'''[br],,''Jae-gak Park'',, || 1956년 6월 14일 || 1960년 7월 5일 || || 전라남도 [[광주지방경찰청|광주경찰서]] 경위 || || || '''8대''' || '''임종대'''[br],,''Jong-dae Lim'',, || 1960년 7월 5일 || 1961년 9월 4일 || || 장흥중학교 교장 [br] [[목포고등학교]] 교장 || || || '''9대''' || '''박현수'''[br],,''Hyeon-su Park'',, || 1961년 9월 4일 || 1963년 6월 25일 || || || || || '''10대''' || '''김창락'''[br],,''Chang-rak Kim'',, || 1963년 6월 26일 || 1968년 10월 22일 || || 함북성진공립보통학교 교사, [br] 학서심상소학교 교사 || || || '''11대''' || '''전병곤'''[br],,''Byeong-gon Jeon'',, || 1968년 10월 22일 || 1970년 12월 25일 || || 여수남중학교 교감 [br] [[목포고등학교]] 교장 || || || '''12대''' || '''김갑'''[br],,''Gap Kim'',, || 1970년 12월 26일 || 1973년 8월 31일 || [[서울대학교|경성고등상업학교]] 졸업 || 여수서정심상소학교 교사 [br]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 교장 || || || '''13대''' || '''김찬현'''[br],,''Chan-hyeon Kim'',, || 1973년 9월 1일 || 1977년 5월 31일 || || 남하보통학교 교사 || || || '''14대''' || '''윤창현'''[br],,''Chang-hyeon Yoon'',, || 1977년 9월 1일 || 1980년 2월 28일 || || 해남중학교 교감 || || || '''15대''' || '''강성용'''[br],,''Seong-yong Kang'',, || 1980년 3월 1일 || 1984년 2월 28일 || || [[광주사범학교]] 교감 || || || '''16대''' || '''임행모'''[br],,''Haeng-mo Rim'',, || 1984년 3월 1일 || 1989년 8월 31일 || || || || || '''17대''' || '''임상규'''[br],,''Sang-Gyu Rim'',, || 1989년 9월 1일 || 1991년 8월 31일 || || || || || '''18대''' || '''최송선'''[br],,''Song-seon Choi'',, || 1991년 9월 1일 || 1994년 2월 28일 || || || || || '''19대''' || '''박동오'''[br],,''Dong-o Park'',, || 1994년 3월 1일 || 1998년 2월 28일 || || || || || '''20대''' || '''이희석'''[br],,''Hee-seok Lee'',, || 1998년 3월 1일 || 1999년 8월 31일 || || || || || '''21대''' || '''배석남'''[br],,''Seok-nam Bae'',, || 1999년 9월 1일 || 2002년 8월 31일 || || || || || '''22대''' || '''윤재호'''[br],,''Jae-ho Yoon'',, || 2002년 9월 1일 || 2005년 2월 28일 || || || || || '''23대''' || '''박영덕'''[br],,''Yeong-deok Park'',, || 2005년 3월 1일 || 2008년 8월 31일 || || || || || '''24대''' || '''이기봉'''[br],,''Gi-bong Lee'',, || 2008년 9월 1일 || 2011년 2월 28일 || || || || || '''25대''' || '''민연기'''[br],,''Yeon-Gi Min'',, || 2011년 3월 1일 || 2014년 2월 28일 || || || || || '''26대''' || '''장동근'''[br],,''Dong-Geun Jang'',, || 2014년 3월 1일 || 2017년 2월 28일 || || || || || '''27대''' || '''임종욱'''[br],,''Jong-uk Rim'',, || 2017년 3월 1일 || 2020년 2월 29일 || || || || || '''28대''' || '''류준태'''[br],,''Jun-tae Ryu'',, || 2020년 3월 1일 || 현재 재임 || || || ||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철도 === || 역명 || 노선 || 주요 경유지 || 열차 종류 || 비고 || || [[목포역]] || [[호남선]], [[호남고속선]] || [[광주송정역]], [[장성역]], [[익산역]], [[서대전역]], [[용산역]] [br] [[동탄역]], [[수서역]] 방향 || [[무궁화호]], [[ITX-새마을]], [[KTX]] [br] [[SRT]] || || || [[목포역]] || [[경전선]] || [[서광주역]], [[순천역]], [[진주역]], [[마산역]], [[부전역(동해선)|부전역]] 방향 || [[무궁화호]] || 1일 1회 왕복 운영 || || [[목포역]] || [[광주선]] || [[임성리역]], [[일로역]], [[함평역]], [[나주역]], [[광주역]] 방향 || [[무궁화호]] || 1일 1회 왕복 운영 [* 아침에는 하행(목포방향)만, 저녁에는 상행(광주방향)만 운행한다. ] || 철도는 학교와 멀지 않은 곳에 [[목포역]]이 위치하여 있다. 이곳에서 [[호남선]] 목포발 무궁화호, ITX-새마을, KTX와 SRT가 성황리에 운행중이고, 목포발 부전행 경전선 무궁화호가 1회 왕복하고 있으며, 광주-목포 간 통근열차 목적인 무궁화호도 1회 운영하고 있다. 특히 지금도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2000년대 후반에는 광주-목포 간 통근열차를 타고 출근하는 교직원들도 몇몇 있었다. === 버스 === ||<-2>
{{{+1 {{{#373A3C,#dddddd '''목포여고(11008)'''}}}}}} {{{#!wiki style="text-align:left" 학교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구대성동주민센터, 시청, 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석현동 )}}}]]}}}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ffffff 9번(대성초등학교, 포미타운, 문태중고, 제일중, 포르모, 법원검찰청, 전남도청)}}}]]}}}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0-1|{{{#ffffff 30-1번(대성초등학교, 홍일중고, 해양대후문)}}}]]}}} [br] {{{+1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대성초등학교, 산정농공단지, 연산주공)}}}]]}}}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0|{{{#ffffff 60번(대성초등학교, 신안비치팔레스, 동부시장, 홈플러스, 석현동, 옥암중, 전남도청, 세영리첼)}}}]]}}} [br]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5|{{{#ffffff 15번(양동우체국, 홍일중고, 목포기상대, 포미타운, 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석현동)}}}]]}}} || ||<-2>
{{{+1 {{{#373A3C,#dddddd '''목포여고(11002)'''}}}}}} {{{#!wiki style="text-align:left" 학교 건너편에 있는 정류장이다. (괄호 안의 장소는 경유지이다.) }}} || ||<-2> '''일반시내버스''' || || [[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2|{{{#ffffff 2번(목포역, 유달산우체국, 여객선터미널, 구.제일은행)}}}]]}}}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9|{{{#ffffff 9번(호남동119안전센터, 구.자유시장 삼학도)}}}]]}}}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30-1|{{{#ffffff 30-1번(호남동119안전센터, 중앙여중, 옥암중학교, 한국아델리움, 카누경기장)}}}]]}}} [br] {{{+1 }}}|| || [[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0|{{{#ffffff 10번(목포역, 구청호시장, 동부시장, 시청, 홈플러스, 버스터미널, 이마트, 한솔문고, 하당보건지소, 석현동)}}}]]}}} [br]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A500; font-size: .95em" [[목포 버스 60|{{{#ffffff 60번(목포역, 유달산우체국, 신안군교육청, 여객선터미널, 동명동물양장, 삼학도)}}}]]}}} [br] || || [[순환버스|{{{#ffffff 도심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A23D; font-size: .95em" [[목포 버스 15|{{{#ffffff 15번(목포역, 삼학우체국, 자유시장, 제일중, 국립해양유물전시관, 목포교육청, 롯데마트, 제일여고, 하나로마트, 석현동)}}}]]}}} || == 출신 인물 == * [[김미희(정치인)|김미희]] * [[김윤덕(1937)|김윤덕]] - 전 국회의원, 전 장관 * [[박은경(1965)|박은경]] * 최청자 - 현대무용가 * [[조미미]] - 원로 가수 * [[서지현]] - 법조인 * [[이수미(1952)|이수미]] * [[임인현]] == 기타 == * [[1996년]] [[MBC]] 청소년 대상 탐방프로그램인 '1318 힘을내'를 녹화한 적이 있다. 당시 [[패닉(가수)|패닉]]과 [[H.O.T.]]가 학교까지 와서 공연무대를 가졌는데 그때만 해도 패닉이 H.O.T.보다 인지도가 높았던 때라 학생들이 '쟤네는 뭐야? 패닉 언제 나와?'라고 말하던 때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