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산림과학]], 그 중에서도 임산공학의 일종이다. [[목재]]의 물리적 성질을 다루는 학문이다. == 역학적 성질 == 목재를 구분할 때 주요 물성은 다음과 같다. 어떤 종류의 나무를 쓰는지, 그리고 얼마나 오래된 나무를 쓰는지, 목재에 수분이나 열, 전기 등이 얼마나 가해지는지에 따라 이런 물성들이 변한다. * 비중 : 물의 밀도 대비 목재의 밀도 * 파괴계수(Modulus of Rupture): 파괴계수는 판재의 가운데에 얼마나 힘을 가해야 부러지는지를 나타낸다. 이 수치가 클 수록 튼튼한 목재이며 단위는 평방 인치당 파운드(lb / square-inch)이다. * 탄성계수(Modulus of Elasticity): 탄성계수는 나무가 얼마나 잘 휘냐를 나타낸다. 물론 큰 값일 수록 잘 휘지 않는다.단위는 평방 인치당 파운드(lb / square-inch)이다. * 압축강도(Crushing Strength): 압축강도는 얼마나 큰 힘으로 판재의 양끝에서 압축을 해야 부러지냐를 나타낸다. 하지만 거의 모든 나무는 아주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단위는 평방인치당 파운드(lb / square-inch) 이다. * 수축률(Shrinkage): 수축률은 나무가 살아있는 상태 대비 오븐 건조를 했을때 얼마나 수축되느냐를 표시하는 수치다. R은 반지름방향(Radial), T는 접선방향(Tangential), V는 R과 T를 반영한 체적의 수축량, T/R은 반지름방향 대비 접선방향의 수축률 비율이다. [[밀도]], [[비중]], [[응력]], [[변형률]], [[탄성]], [[점탄성]], [[경도(성질)|경도]] 등의 문서도 참조바람.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목재,version=74)] [[분류:농업]]